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

        방희원(Bang, Hui-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동기 수준에 따른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86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에 대한 설 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취동기 수준을 구분하기 위해 성취동기 총점을 기준으로 상,하 수준을 각 50%로 범주화한다음 SPSS 24.0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몰입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몰입이 낮다. 둘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업적 정서조절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이 낮다. 셋째, 성취동기 수준에 따라 학습전략은 차이가 있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전략이 높고, 수준이 낮을수록 학습전략이 낮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성취동기는 학습몰입, 학업적 정서조절, 학습전략을 학습상황에 맞게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데 중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성취동기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를 위한 학습-상담-진로-취업의 연계프로그램 등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863 undergraduate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e study.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Learning Flow Scal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cale, Learning Strategy Scale were used. To distinguish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performed with the SPSS 24.0 program, categorizing the upper and lower levels into 50% of each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flow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flow. Seco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differs according to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motivation level of achievement, the high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e low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lower the control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depending on achievement motivation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the higher the learningstrategy. The lower the level, the lower the learning strate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of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ary and active control of learning flow,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achievement motiv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integrated and systematic programs such as learning-counseling-career-employment linkage for learner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방희원(Bang, Hui-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7년 3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부산시 소재 D대학교 대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숙달접근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 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숙달접근목표지향성, 수행접근목표지향성,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매개 한다. 하지만 수행접 근목표지향성은 매개효과가 없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숙달접근목표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진로 교과목과 진로프로그램의 운영, 진로상담이 병 행되어야 하며, 대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진로에 관심을 갖고 자발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39 undergraduate students of D university in Busan were selected and surveyed from March 6 to April 14, 2017, and the final 232 students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we conducted a random correlation analysis and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goal approach orient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s. In order to promot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various career courses, career program management, career counseling should be performed in parallel, and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naturally interested in the career and voluntarily prepare for the career. A variety of approaches about career should be sought to enable a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동기, 학업적 정서조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방희원(Bang, Hu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동기, 학업적 정서조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시 소재 4개 대학 학생 8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63명의 자료가 분석되 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와 AMOS 24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동기는 학업적 정서조절과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성취동기는 학업적 정서조절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학업적 정서조절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간접 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습상황에 최적화된 학습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학생참여중심의 활성화와 학습자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대학에서의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과 확대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flow of University students. Model fit indices have been estimated to examine the model identification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structural relationship has been analyzed using structural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motivation affects learning flow directly.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indirectly affects learning flow via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directly affects learning flow vi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conclusion,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re variables to predict learning flow. However, it is more effective when they are closely connected each other than when they affect learning flow independently. To increase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flow, all of these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ir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 KCI등재

        진로동아리 활동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방희원(Huiwon Ba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3 열린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교 1~4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진로동아리 활동 프로그램 참여자 113명 중 사전-사후검사 모두 실시한 6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다. 둘째, 진로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은 진로역량에 효과가 있다. 셋째, 진로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은 진로준비행동에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동아리 활동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역량,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체계적인 진로준비를 위해 신입생 대상 학과기반 진로탐색을 위한 진로동아리, 진로설계기반 진로역량 함양을 위한 재학생 대상 진로동아리, 고학년/취업준비생 대상 실전취업을 위한 경험기반 취업동아리 개설 및 활동이 요구되며, 나아가 학생 자율성과 주도성을 함양하고 진로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동아리 활동을 진로학기제와 같은 학점 제도와 연계, 개편할 필요성도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long term effects of career club activity program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5 out of 113 participants in the career club activity program operated for 1st to 4th graders at D University in Busan, who conducted both pre- and post-exa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club activity program is effectiv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e career club activity program is effective in career competency. Third, the career club activity program is an effective tool for career prepa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lub activity is effective in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n and reorganize career clubs for department-based career exploration for freshmen, career clubs for students to cultivate career design-based career skills, and experience-based employment clubs for seniors/job seekers.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link and reorganize club activities with credit systems such as the career semester system to foster student autonomy and initiative and revitalize career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 및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방희원 ( Bang Hui-won ),조규판 ( Cho Gyu-p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 및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9년 10월 28일∼12월 13일까지 부산시 소재 D 대학교에 재학 중인 217명의 재학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 Ver. 26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진로동기 및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진로동기, 진로성숙도,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진로동기는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한다. 셋째, 진로성숙도는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한다. 이는 대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을 잘 하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함께 진로동기와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진로상담, 진로코칭 및 컨설팅, 다양한 주제의 진로 프로그램의 기획 및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맞춤형 진로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17 undergraduate students of D University in Busan were selected and surveyed from October 28, 2019 to December 13, and 203 students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26,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motivation, career maturity,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Second, career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ird, career maturi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is means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in order to adapt well to university life adaptation. In order to do this, customized career support is needed to suit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s through career counseling, career coaching, and planning and operation of career programs on various topic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방희원(Bang, Hui-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17년 3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부산시 소재 D대학교 대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성취 목표지향성을 상, 하 수준으로 범주화하였고, 수준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라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준비 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진로교육에 대한 방향 모색과 맞춤형 진로지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areer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39 undergraduate students of D university in Busan were selected and surveyed from March 6 to April 14, 2017, and the final 232 students data were analyz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categorized as high, low level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areer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y level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self-efficacy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 Seco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 Third, there i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 In Conclusion, to facilitate university students career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look for various career directions and provide tailored career guidance based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

      • KCI등재

        여고생이 지각한 교사기대 수준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교적응의 차이

        방희원(Bang, Hui-Won),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이 지각한 교사기대 수준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H여고 학생 298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여고생의 교사기대 수준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기대 수준을 총점을 기준으로 상, 중, 하로 구분하였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기대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차이가 있다. 교사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다. 둘째, 교사기대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동기는 차이가 있다. 교사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습동기 가 높다. 셋째, 교사기대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다. 교사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 한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학교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기대와 태도를 가지고 수업 및 생활지도에 임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according to teacher expectancy level perceived by high school female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98 students from H girl’s high school in Busan were surveyed. Teacher expectancy is categorized as high, middle, low level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teacher expectancy level.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eacher expectancy level.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related adjustment according to teacher expectanc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s how should teachers expect and behave to their students in school with classes and guidences.

      • KCI등재

        어린이를 위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디자인 연구

        희원(Hee-Won Paek),고일주(Il-Ju Ko),그린(Green Bang) 한국게임학회 2018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8 No.5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도심 생활 어린이들의 신체활동을 늘릴 수 있는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의 체감형 스포츠 게임 연구들은 성인 대상이 대부분이며,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어린이를 위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는 일반적인 체감형 스포츠 게임과 어린이 디자인의 공통 요소를 도출한 것이다. 도출된 요소는 실제 게임 종목에 적용하여 어린이용 게임을 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출된 어린이용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인 몰입감, 상호작용, 신체활동을 적용한 어린이용 스크린 클라이밍 게임을 제작하였고, 사용자평가를 통해 요소가 적절히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어린이를 위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를 활용하여 보다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게임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hysically interactive sport games are emerging as a solution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in urban life. Existing studies on physically interactive sport games have been conducted with adults, while studies on children are insufficient. The elements of physically interactive sport games for children are derived from the common elements of physically interactive sport games and design for children. The derived elements are applied to actual game item to design a game for children.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physically interactive sport games for children were applied to children’s screen climbing games, and games could be identify improvements through user evaluation. It is expected games to take into consideration more children"s characteristics can be designed by utilizing the elements of physically interactive sport games for children.

      • 어린이를 위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 제안

        희원(Hee-Won Paek),길영익(Young-Ik Gil),고일주(Il-Ju Ko),성보경(Bo-Kyung Sung),그린(Green B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신체활동이 부족한 어린이들의 활동량을 늘릴 수 있는 해결 방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체감형 스포츠게임관련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제안하는 어린이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는 기존 성인대상의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들과 어린이 디자인 요소들의 공통 요소를 도출하고, 어린이에 맞춰 재해석한다. 도출된 요소는 적용해야 할 어린이 체감형 스포츠 게임에 맞춰 실제 요소를 도출하고, 실제 요소들을 고려하여 게임을 제작한다. 어린이 체감형 스포츠 게임 요소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체감형 스포츠 게임 제작 및 평가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규판(Cho, Gyu-Pan),방희원(Bang, Hu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론 및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학습몰입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인지적 몰입, 정의적 몰입, 행동적 몰입의 세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구성요인에 부합하는 80문항을 제 작하였다. 측정하는 내용이 유사한 문항은 수정 또는 삭제하여 60문항을 1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1차 예비문항에 대해 전문가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인지적 몰입 13문항, 정의적 몰입 13문항, 행동적 몰입 14문항의 40문항을 본 조사를 위한 2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부산시 중·고등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한 뒤 타당화 과정을 거쳐 인지적 몰입 9문항, 정의적 몰입 9문항, 행동적 몰입 8문항의 3개 요인 총 26문항이 학습몰입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학습 몰입척도는 세 구성요인간의 상관이 높아 구인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문항내적합치도가 높아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몰입척도는 청소년들의 학습몰입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ment the Learning Flow Scale for adolescent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ree sub-factors of learning flow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cognitive flow,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80 items that represented the three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60 items were selected as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by modifying or deleting similar sentences, and then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two expert. As a result, 40 items were selected as 13 cognitive, 13 emotional, 14 behavioral learning flow. 40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three factors with 26 items that are 9 items for the cognitive learning flow, 9 items for emotional learning flow, and 8 items for behavioral learning flow.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ree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scale was computed and they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The scale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refore, the Learning Flow Scale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to measure learning flow for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