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 개발

        방준용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In this study, major measuring tools for social responsibility, which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utilized,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measuring tool for social responsibility suitable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lthough major areas of activity were set up only for domestic and specific areas due to the na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measuring tools not only at home but also abroad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targets based on globalization trends for social responsibility. The four representativ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SO 26000, GRI, UNGC and KEJI)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for social responsibility measuring tools, including 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Sustainability Index and FTSE 4GOOD Index. ISO 26000 was selected as the basis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among existing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dividual measurement tools while organizing various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tools. ISO 26000 applied various stakeholder views from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and reviewed and reflected as many existing data as possible, and considered it suitable as the basis for a local public corporation-type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a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made it more likely to generalize different types of local public entities. After developing the primary measurement model based on ISO 26000, the entire survey was conducted on 146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excluding direct-run companies, to survey items in the measurement model. Prior to the launch of this survey,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the survey items and contents, a preliminary review was conducted by the heads of departments and practitioners of six public corporations. A survey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responsibility indicator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to refine the measurement model, and a social responsibility measurement model comprised of 147 items of 28 components in six dimensions was deriv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a policy manner, it is worth using first as a strategic approach to social responsibility, and leads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oriented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inally, by using it as a management tool for various stakeholders, it is expec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an be improved from a supply-oriented to demand-oriented perspective.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지방공기업에 적합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측정 도구 개발을 목표로 기존에 개발·활용되고 있는 사회적 책임에 대한 대표적인 측정 도구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지방공기업은 설립·운영 특성상 주로 국내 및 특정지역에 국한하여 활동영역을 설정하고 있으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세계화 추세에 근거하여 국내는 물론 국외 측정 도구들도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4개의 대표적인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ISO 26000, GRI, UNGC, KEJI)와 함께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지속가능지수, FTSE 4GOOD Index 등을 포함시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다양한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개별 측정 도구들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존재하는 사회적 책임 측정 도구들 중에서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ISO 26000을 선정하였다. ISO 26000은 개발 초기부터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을 적용하고 최대한 많은 기존 자료를 검토 반영한 것으로 철학적 토대가 견고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지방공기업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이 높아 지방공기업형 사회적 책임 측정 모델의 근거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ISO 26000에 근거하여 1차적인 측정모델을 개발한 후 2018년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대상 중 직영기업을 제외한 146개 전체 지방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항목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설문조사 실시에 앞서 설문조사 항목 및 내용의 적합성 제고를 위해 6개 공기업 유형별(도시철도공사, 도시개발공사, 특정공사·공단, 관광공사, 시설관리공단, 환경시설공단) 부서장 및 실무자를 중심으로 사전검토를 실시하였다.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의 사회적 책임 지표와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델의 정제화를 실시한 결과 6개 차원 28개 구성요소 147개 항목으로 구성된 사회적 책임의 측정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 먼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전략적 접근 도구로서 활용 가치가 있으며, 성과지향적 사회적 책임활동의 전개를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관리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공급 중심에서 수요 중심의 시각으로 조직문화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공공기관 청렴도 자가진단모형 개발 : 도시개발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방준용,김종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4

        Ethical management has been considered a party element in some respects to public institutions, where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is the reason for their existenc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government and society's demands for ethical management have become stricter as the organization's main management goal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for the balanced pursuit of profitability and public interest. Against this backdrop, public institutions have put much effort into managerial aspects to ensure a high level of institutional integrity, and are mainly evaluated by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Public institutions are rigorously assessed as being operated with national taxes, all public agencies strive to receive excellent evaluations, and a systematic integrity management system is needed to obtain a good integrity assessment. Self-correctness diagnosis for integrity management is an essential element, but due to the National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s strict guidelines on self-diagnosis, many institutions have difficulty diagnosing integrity.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more systematic, self-diagnostic model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and conducted a demonstration study on the Metropolitan Development Corporatio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irst of all, we identified the status of checklists for self-diagnosis of integrity and the level of influencing factors as a prior indicator of integrity by modifying the basis of the integrity determination model to suit public institutions. While complying with the guidelines for self-diagnosis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we sought to develop a model for self-diagnosis of practical integrity for the management of integrity of public institutions. The new model for self-diagnosis is divided into external integrity and internal integrity. In case of external integrity, it is more rigorous than the internal integrity of the measuring guidelines of the Commission, and it should be conducted to assess external stakeholders. In the case of an internal integrity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isk of corruption of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integrity based on the results of an interview. 공익성 추구가 조직의 존재 이유인 공공기관에게 있어서 윤리경영은 어떤 측면에서는 당위적 요소로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공공기관의 수익성 및 공익성에 대한 균형적 추구를 강조되면서 수익성 추구 또한 공공기관의 중요한 경영목표가 되면서 윤리경영에 대한 정부 및 사회의 요구가 보다 엄격해진 것이 사실이다. 이에 공공기관들은 높은 수준의 기관 청렴도를 위해 경영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주로 국민권익위원회의 평가를 받고 있다. 공공기관은 국가의 세금으로 운영되고 있음에 따라 엄격한 평가를 받고 있으며, 모든 공공기관들은 우수한 평가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우수한 청렴도 평가를 받기 위해 체계적인 청렴도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청렴도 관리를 위해 자체적인 청렴도 진단은 필수적인 요소이나 청렴도 자가진단에 대한 국민권익위원회의 엄격한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많은 기관들이 청렴도 진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근거하여 보다 체계적인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전체 공공기관 대상 자가진단모형 개발에 앞서 도시개발공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청렴도 자가진단을 위한 체크리스트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청렴도 결정모형에 대한 기존 문헌을 고찰하고, 공공기관에 적합하게 청렴도 결정모형을 수정하여 청렴도의 선행지표로서 영향요인의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자체진단 가이드라인을 준수함과 동시에 공공기관의 청렴도 관리를 위한 실질적인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청렴도 자가진단모형은 외부청렴도와 내부청렴도로 구분되며, 외부청렴도의 경우 권익위의 측정 가이드라인에 있어서 내부청렴도에 비해 더욱 엄격하고, 공공기관의 외부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여야 함에 따른 진단의 어려움에 기인하여 설문 등의 조사방식보다는 상시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하도록 제안하였다. 내부청렴도 조사의 경우, 고위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고위공직자 부패위험성을 진단하고, 청렴도 영향요인 진단모형에 근거하여 기관 내부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선택형 항목 및 개방형 항목을 통한 설문을 진행하고, 진단결과에 근거하여 인터뷰 기반의 정성적 조사를 통해 결과에 대한 원인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도록 권고하였다.

      • KCI등재

        지방공공기관 채용시스템의 특징과 현황, 그리고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방준용 ( Bang Junyong ),이지훈 ( Lee Jihun ),정무관 ( Mugoan Jeong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0 지역산업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지방공공기관이 일자리 창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 중 하나이면서도 이들의 채용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전국 지방공공기관의 인사채용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채용시스템의 특징과 현황 및 애로사항, 그리고 현 채용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회수된 282개의 설문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 일반직 행정직군이 채용임에도 불구하고 기관마다 상이한 운영방식과 선발도구를 활용하고 있었다. 채용된 직원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조직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 향상될 필요가 있었으며, 과목시험이 선발도구 중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채용규정과 절차에 대한 부분 및 전문성 제고,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의 등에서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 자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채용과 필기시험 전면 도입, 그리고 선발과정에서 지방공공기관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부분을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lthough this study is one of the important institutions that regional public institutions are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o job cre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lack of systematic information on their recruiting system.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current status and difficulties of the recruiting system, and how to improve the current recruiting system. Based on the collected 282 surveys, regional public institutions used different operating methods and selection tools even though they were recruited to select employees for the general administrative job group. The evaluation of the employed staff was generally satisfactory, but needed to be improve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 Subject test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mong the selection tools. And regional public institutions were aware of the difficulties in terms of recruiting regulations and procedures, enhancing their expertise and consulting with regional governmen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o evaluate applicants' understanding of regional public institutions, adopt the integrated recruiting of local governments and written tests in their selection process.

      • KCI등재

        지방공기업의 성과요인 차이분석

        방준용(Junyong Bang)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6 No.2

          This study is to focus on empirically identifying performance factors that help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Local Public Enterprise(LPE). To do s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erformance factors between LPE-Ready groups and Not-LPE-Ready groups. The performance factors, composed of two factors in terms of planning-establishment factor and internal management factor, are separately measured as follow. The planning-establishment factor is measured as the degree of building establishment conditions and reviewing establishment prerequisites through checklists. The internal management factor is measured as the degree of internal managerial autonomy, main entrepreneurship, specialization.

      • SCOPUSKCI등재

        농촌지역 모성의 산전관리서비스 이용양상과 그 결정요인

        김장락,박정한,이재경,서상홍,방준용,Kim, Jang-Rak,Park, Jung-Han,Lee, Jae-Kyong,Seo, Sang-Hong,Bang, Joon-Yong 대한예방의학회 1993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6 No.4

        농촌지역의 모성을 대상으로 산전관리서비스 이용양상과 그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부 경남 3개군(합천군, 사천군, 진양군)에서 1990년 7월 1일부터 1991년 6월 30일 사이에 분만한 모성 1,489명중 65.5%인 976명을 훈련된 면보건요원들이 1992년 1월 3일에서 1992년 2월 15일사이에 면담조사하였다. 의료서비스 이용의 관련요인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Anderson의 의료이용 행태모형을 기본분석모형으로 하고 종속변수는 산전진찰의 회수, 그것을 설명하는 독립변수로는 의료요구요인, 개인의 속성요인, 가능성요인 그리고 기타요인의 변수들을 설정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산전진찰 수진율은 97.3%로 높은 편이었으나 10회 이상의 수진율은 20.6%로 전문가에 의해 추천되는 정상임신시 $10{\sim}12$회의 산전진찰회수에는 미흡하였다. 산전진찰의 저이용(미수진 또는 4회 이하의 수진)은 모성의 낮은 교육수준, 출생아의 출생순위가 두번째 이상, 의료보호 대상자, 의원이 없는 지역, 임신중 진단된 질병이 없을 때 그리고 모성의 직업이 농업인 경우 등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거주지 군의 변수(즉 지역내 모자보건센터 유무)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산전진찰의 저이용은 인구학적 변수라 할 수 있는 출생아의 출생순위, 의료요구요인인 임신중 진단된 질병의 유무와도 높은 관련성이 있기는 하나, 더 많은 부분이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직업이라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의료보장의 종류, 지역내 의원의 유무라는 가능성요인과 관련이 있어 균점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또 변경성이란 견지에서 보면 변경성이 높은 가능성요인에 의해서 상당부분 설명되고 있어 보건정책적으로 해결 가능성이 있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면 의료보호 대상자와 의원이 없는 지역 산모들의 산전진찰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To study the pattern of prenatal care utilization and its determinants in rural Korea, 976 mothers (65.5%) out of 1,489 living mothers in Chinyang, Sachon and Hapchon Counties in Kyongsangnam Province who had delivered a baby between July 1, 1990 and June 30, 1991 were interviewed by the Myon health workers from January 3 through February 15, 1992. The Anderson's behavioral model for health service utilization was applied to develop the frames for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number of prenatal care visit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were the variables pertaining to the predisposing, enabling, medical need and other components. The proportion of mother who had ever received the prenatal care service for the index pregnancy was 97.3%. However, the proportion of mothers who had made more than 10 visits was only 20.6%, which indicated that majority of mothers had paid far less visits than recommended $10{\sim}12$ visits for each normal pregnancy. The low utilization of prenatal care services (none or less than 4 visits) was related to mother's low educational level, the high birth order, beneficiary of the medical aid, the absence of clinic in the community, no diagnosed disease of mother during pregnancy, and mothers engaged in farming. Inequity of access seemed to exist because social structure variables and the variables of enabling component were important predictors. And there seemed to be high mutability in equalizing the distribution of prenatal care services because the variables of enabling component such as type of medical security and whether there was a clinic or not in the community were substantiall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