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월남문학의 세 유형선우휘, 이호철, 최인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방민호 ( Min Ho Ba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통일과 평화 Vol.7 No.2

        이 논문은 해방 후 한국현대문학, 특히 1950~1960년대 문학에서 월남문학이라는 개념이 핵심적인 분석 개념이 될 수 있으리라는 가설 아래, 선우휘, 이호철, 최인훈 등 월남작가들의 단편소설 및 장편소설을 이 개념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 것이다. 선우휘의 소설 『십자가 없는 골고다』와 『망향』, 이호철 장편소설 『소시민』, 최인훈 장편소설, 『광장』, 『서유기』, 『화두』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월남문학을 비평적 개념 이상의, 학문적 분석도구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이 논문은 그것이 ‘고향상실’과 일종의 ``디아스포라``에 그 본질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했고, 그런의미에서 현대문학의 정신적 지향점을 가장 잘 탐구할 수 있는 문학임을 제안했다. 이고향 상실로부터 월남문학의 세 유형이 도출될 수 있다. 첫째 고향 회귀의 문제를 다루는 문학, 둘째 현지 적응의 고민을 다루는 문학, 셋째 제3의 진정한 고향 찾기의 문학이 그것이다. The paper assumes that the concept of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can be the key for analyses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after liberation,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in the 1950~1960s. So, it is believed that this concept can be adopted to analyze short and full-length novels of the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like Seon Woo-hui, Lee Ho-cheol and Choi In-hoon. The following novels were analyzed in detail - “Golgotha without the Holy Rood” and “Manghyang” by Seon Woo-hui, “Petite Bourgeois” (a full-length novel) by Lee Ho-cheol and “The Square”, “Journey to the West” and “Hwadu” by Choi In-hoon. For the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to be used as an academic tool for analyses that goes beyond the concept of criticism, the paper identifies that its essence lies in “loss of hometown” and a so-called ‘diaspora’. Owing to this, it is suggested as the most suitable literature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direction of the modern literature. 3 type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Literature can be drawn from the loss of hometown. First is the literature that covers the return to hometown, second is the one that covers stories of adapting to local lives and third is the one that talks about finding a real hometown

      • 새해 저술의 흐름-문학

        방민호,Bang, Min-Ho 대한출판문화협회 1997 출판저널 Vol.205 No.-

        지난 한해는 일종의 휴지기와 같아서 새로운 문학정신의 출현을 예비하고 있던 게 아닐까. 90년대 전반을 풍미했던 포스트모더니즘론.대중문학론 등이 상당히 퇴조하면서 문학은 그 충격에서 벗어나 시각을 조정하는 상태에 들어섰음을 예고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개체성의 인식과 표현

        방민호(Bang, Min-ho) 구보학회 2012 구보학보 Vol.8 No.-

        기존의 한국현대문학사 인식 속에서 박태원은 종종 소설적 기교를 가장 중시한 작가로서, 사상을 결여한 작가로서 폄하되곤 한다. 그러나 박태원이 기교를 중시한 것은 그 언어적 기교가 문학의 처음이자 마지막임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문학적 언어야말로 사상 그 자체임을 인식한 작가였다. 그는 이러한 인식의 바탕 위에서,「해하의 일야」,「수염」,「적멸」등 초기 삼부작에서「소설가가구보 씨의 일일」 과「애욕」을 거쳐「음우」,「투도」,「채가」,「재운」등으로 나아가는 일련의 창작과정을 통해, 현대적 개인의 그 개체적인 특성을 풍부하게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소설의 인물들은 니체나 들뢰즈 등의 논리의 힘에 기대어 충분히 긍정될 수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Park Taewon was often depreciated as a writer who valued narrative technique rather than the presentation of thought. But he was fully aware of that such narrativetechnique was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literature. He recognized that literary language itself represented thought. Based on such understanding, he attempted to demonstrate modern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works from a trilogy of The Night of Hae Ha, Mustache, and Annihilation to a series of novels such as A Day in the Life of Kubo the Novelist, Love and Lust, Diary Rain, Stealing, Family Indebted, and Luck with Money. Underpinned by reasoning of Nietzsche or Deleuze,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can be well understood.

      • KCI등재
      • KCI등재

        “데가주망”의 논리 -최인훈 장편소설 『회색인』-

        방민호 ( Min Ho Ba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7 No.-

        이 논문은 최인훈의 장편소설 『회색인』을, 이 작품에 나타나는 ``데가주망``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여기서 데가주망은 ``앙가주망``과 상대적인 의미를 갖는 용어로서 사르트르가 『존재와 무』에서 논의한 것이다. 앙가주망이 현실참여를 의미한다면 데가주망은 현실로부터의 이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월남 작가인 최인훈은 자신의 내면적 분신이라 할 수 있는 독고준이라는 인물을 통하여 ``고향을 상실한 자``의 에고이즘과 그것을 통한, 사회와 개인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러한 『회색인』에는 작가 이상의 거울 및 자화상 모티프와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를 수용 변용시키는 패러디 요소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는 최인훈 문학의 풍요로움을 입증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zes Choi Inhun`s novel Hoisaekin, focusing on the term ``Degagement`` which appears in this work. Degagement in this context is a relative term with ``Engagement`` discussed in Sartre`s Beings and Nothingness. While ``Engagement`` means engagement with reality, ``Degagement`` is interpreted as a breakaway from reality. Choi Inhun, a writer who came to South from North over the border, tries to seek egoism of a man who lost his hometown with Dokgo Jun, a character who is Choi`s alter ego, and a new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In this way, the parody which adopts and transforms Lee sang`s motives of mirror and self-portrait as well as Bram Stoker`s Dracula, improves the richness of Choi Inhun`s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