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통합학급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기술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과 비장애아동의 정서능력 및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명애,전수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act of a role-play centered self-determination skills program on: (a)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b) the emotional competence of nondisabled children, (c) the attitude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4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y and 19 nondisabled children. A role-play centered self-determination skills program composed of 37 sessions was implemented in an inclusive classroom during 3 months. The program included 9 subskillls such a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kills, choice-making skills, self-advocacy skills, support- networking skills, community use skills, social skills, cooperating skills, and stress management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nondisabled children.(c)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y of after implementing the role- play centered self-determination skills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통합학급에서 실시한 역할놀이 중심의 자기결정기술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과 비장애아동의 정서능력 및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통합학급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아동 3명과 비장애아동 19명(남 10명; 여 9명)이었다. 72개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12주 동안 37회기(1회기 당 40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의 변화는 준거참조검사인 방명애(2006b)가 개발한 프로그램에 기초한 자기결정척도(180문항: 9개 하위영역)를 사용하여 얻은 사전검사를 준거로 하여 사후검사를 비교분석하였다. 비장애아동의 정서능력은 문용린(1999)이 개발한 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비장애아동의 태도는 Voeltz(1980)의 수용성척도와 Siperstein과 Gottlieb(1977)의 활동선호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장애아동의 자기결정기술은 향상되었고, 비장애아동의 정서지능과 태도의 변화를 두 종속표본 t-검정을 하여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어머니가 인식하는 삶의 질, 가족지지 및 사회적지지

        방명애,오경화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논집 Vol.2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04 mothers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174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ata on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f 478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ollected through an electronic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 test, F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educational placement of their child.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quality of life,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grade of their child. Lastly, instrument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of family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had an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s: The typ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educational placement,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programs and polic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적 중재접근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방명애,김혜인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2 놀이치료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collaborative intervention approach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thos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clas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89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cla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intervention approach.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llaborated with school principal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most frequently. Third, the barriers against collaborative intervention approach were the lack of understanding other disciplines and lack of time. Four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were needed most for improving collaborative intervention approach. Fifth, regular and systematic parent education was required for encouraging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involve in collaborative intervention approach. Last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more involved in collaborative intervention approach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intervention approac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school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을 위한 협력적 중재접근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7개 특수학교와 95개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를 교사연수 시 편의군집 표집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계와 두 독립표뵨 t 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협력적 중재접근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협력적 중재접근이 가장 많이 실시되는 협력 유형은 조정과 자문이었다. 둘째, 특수교사는 학교관리자 및 일반교사와 가장 빈번히 협력하였다. 특수학교 교사는 학교관리자, 언어치료사, 물리치료사 순으로 협력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특수학급 교사는 일반교사, 학교관리자, 언어치료사 순으로 협력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학교 교사는 서로의 전문 분야에 대한 무지를, 특수학급 교사는 협력적 중재접근을 실시하기 위한 시간 부족을 가장 심각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특수교사는 효과적인 협력적 중재접근의 개선방안으로서 행정적 및 재정적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장애학생의 부모를 협력적 중재접근에 포함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특수교사는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부모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여섯째, 협력적 중재접근을 더 많이 실시하는 특수교사가 협력적 중재접근의 효과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교육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 수용태도 및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방명애,최정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3

        연구목적: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 수용태도 및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3학년 한 학급의 비장애학생 22명과 통합된 장애학생 1명이었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에 20회기로 구성된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장애공감 활동은 공감의 인지적 요소, 정서적 요소 및 표현적 요소를 포함하여 짝 활동, 모둠 활동, 학급활동 등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함께 어울리는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 실시 후에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수용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 실시 후에 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참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초등 통합학급의 장애공감 활동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장애 수용태도 및 지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므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사회적 통합교육을 위하여 장애공감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on the empathy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of non-disabled students and the school adapt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22 non-disabled students and one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 third grade elementary inclusive class located in Daejeon. Twenty two non-disabled students evaluated the school adapt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ata of the empathy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of non-disabled students were collected by the self-report instruments. The 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 First, the empathy competence and attitude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of non-disabled students were improved by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Second. the school adapt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of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improved by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Conclusion: An activity program for disability empath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non-disabled students and a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us, a disability empathy program is needed for successful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연극놀이 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적응행동과 감각표현에 미치는 영향

        방명애,오경숙,박혜영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4 놀이치료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연극놀이 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집단연극놀이 상황에서의 적응행동과 감각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 고등부에 재학 중인 정신지체 학생 10명(경도 5명; 중등도 5명)이었으며, 주 4회씩 7주간 2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연극놀이 상황에서의 적응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Wasserman 외(1979)의 평가척도를 수정한 적응행동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감각표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프로그램의 내용을 반영해 개발한 감각표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극놀이 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집단연극놀이 상황에서의 적응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정신지체의 정도와 성별은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연극놀이 훈련프로그램이 집단연극놀이 상황에서의 정신지체학생의 감각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정신지체의 정도와 성별은 프로그램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특수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역할놀이에 감각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연극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훈련프로그램을 접목한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집단연극놀이 상황에서의 적응행동과 감각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학제간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rama play training program on adaptive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group drama educational settings and (b)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rama play training program on sensory expression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group drama educational settings. The subjects were 10 high school students(5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5 students with moderate mental retardation; 5 male students and 5 female students) enrolled in a special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The drama play training program was composed 28 sessions conducted for 7 weeks. The research findings were that the drama play training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adaptive behaviors and sensory express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group drama play educational settings, and that gender and the degree of mental retardation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to the effects of the program.

      • KCI등재

        역할놀이 중심의 장애체험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방명애,서진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9 놀이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할놀이 중심의 장애체험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이며, 연구대상은 16명(남아 9명, 여아 7명)이며, 8주 동안 16회기를 통해 시각장애, 청각장애, 발달장애, 지체장애의 장애영역별로 장애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역할놀이 중심의 장애체험 활동을 각 장애영역별로 4회기씩 총 16회기 실시하였다. 비장애유아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Voeltz(1982)를 기초로 하여 제작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각 회기 장애체험활동 후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느낌을 그림과 글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 중심의 장애체험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켰다. 둘째, 역할놀이 중심의 장애체험 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성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역할놀이 중심의 장애체험 활동 후 작성한 활동지를 분석한 결과, 비장애유아들은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영역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통합교육 현장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role play-based program for experiencing disabilities on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16 nondisabled children(9 boys and 7 girl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4.6 years old. The research design was a single group pre- and post- design. The 16-session role play-based program was implemented for eight weeks. The program included various activities for experiencing visual disabilities, auditory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he role play-based program influenced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positively. (b)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boys' group and the girls' group in the attitudinal changes. (c) Nondisabled children perceived that the role play-based program was effective for changing their attitudes.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a) It should be figured out that effective components of the program package. (b) Various systematic strategi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changing nondisabled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