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관계에서의 기대와 실제의 격차 분석: 사드배치 논란의 사례 적용

        박휘락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8 평화학연구 Vol.19 No.1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des of the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For this purpose, it explains the survival strategy of a small nation based on alliance and partnership relations. It analyzes the background and reality of the South Korea-China relation and examines the theories by applying them to the controversy over the deployment of the US THAAD systems.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China considered South Korea the enemy of its ally, North Korea, and an ally of its global rival, the US, although South Korea expected a kind of cooperation even on security issues. The regional structure in the Cold War era did not change in spite of South Korean wish. This paper analyzed that the controversy over the deployment of the US THAAD system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since June 2014 had been a good example of the abovementioned real nature of South Korea-China relationship. South Korea Should rely its national security on the US while recognizing the limit of its relationship with China. It should try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and exchange with China mainly on economy, people and culture. 본 논문은 한중관계에 있어서 기대와 실제의 격차를 분석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동맹과 동반자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약소국의 생존전략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한중관계의 경과와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드배치를 둘러싼 논란을 통하여 위에서 도출된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한국은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를 체결함으로써 안보 차원의 협력까지 확대되기를 기대하였으나 실제에 있어서 중국은 한국의 적대국인 북한의 동맹국이고, 중국 또한 한국을 세계적 차원에서 경쟁하고 있는 미국의 동맹국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국이 직시하지 않으려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도 냉전시대와 유사한 구도가 변화되지 않고 있다. 특히 2016년 6월부터 3년 정도를 논란을 벌였고, 아직도 확실하게 종료되었다고 볼 수 없는 사드배치를 둘러싼 한중 간의 논란은 위에서 분석한 한중관계의 본질을 잘 대변하는 사례라고 분석하였다. 한국은 한중관계의 이러한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한 상태에서 안보는 한미동맹에 의존하면서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분야에서 중국과 협력한다는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The Ballistic Missile Defense Construction Strategies of South Korea and Japan: Self-reliance versus Cooperation with the US

        박휘락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Vol.25 No.2

        This paper compares the South Korean Ballistic Missile Defense (BMD) to the Japanese one with a focus on the two countries’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US). It introduces the basic concept of BMD and challenges that th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presents to the BMDs of South Korea and Japan. In addition, it examines the backgrounds and capabilities of the two countries’ BMDs and outlines some differences from the examination. The comparison between South Korea’s and Japan’s BMD shows that the level of Japan’s BMD was higher than South Korea’s. The main reason for the gap lies in the level of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Japan began its BMD by closely cooperating with the United States; however, South Korea intentionally refrained from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Thus, the South Korean BMD went through several rounds of trial and error without being advised by the United States, the world’s BMD leader. If South Korea had cooperated closely with the United States, it would not have experienced controversies over the deployment of Terminal High Altitude Defense (THAAD) and could have constructed a more reliable BMD. South Korea should seek close cooperation with the US, if it wants to defend its people from a possible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attack.

      • KCI등재
      •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장기적/안정적 대비방향: 미사일 방어망 구축

        박휘락 한국군사학회 2013 군사논단 Vol.73 No.-

        North Korea announced that it succeeded to reduce the size of its nuclear weapons smaller enough to deliver them by missiles just after its third nuclear test on February 12, 2013. It has about 800-1,000 various missiles and the Republic of Korea docs not have sufficient capabilities to hit and kill the missiles, if attacked by them. It is very necessary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hurry up to establish the effective missile shields. First of all, South Korean people should clearly recognize their dire situation that they do not have any effective means of defense against North Korean possible nuclear attack. They need to acquire the PAC-3 system to provide the protection for its strategically important facilities and discuss the suitable and feasible missile defense system of its own. They should establish national level organization to assess the nuclear and missile threats of North Korea. They should demand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focus on how to deal with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and allocate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missile defense to services including Army, Navy and Air Force. They also should closely cooperate with allies, such as U.S. and Japan. It is very high time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do everything possible to protect the people from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hreat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핵 위협 고도화에 따른 정부 역할의 실태와 과제

        朴輝洛 한국의정연구회 2017 의정논총 Vol.12 No.1

        본 논문은 북핵위협이 고도화되어가고 있는 현 상황에서 행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정부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할 것인가를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쟁에 관한 정부의 일반적인 역할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핵위기 또는 핵전쟁에서 정부가 수행해야할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현 실태를 분석하고 보완되어야할 몇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한국은 지금까지 북핵에 대한 군사적 대비에만 치중한 채 정부 차원에서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여 시행하는 데만는 미흡함이 적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제 한국 정부는 북한의 핵능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어야하고, 정부차원에서 주도적으로 북핵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직부터 보강해야할 것이며, 자체적인 핵대응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미국의 확장억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미동맹을 강화하고, 전 정부 차원에서 북핵 대응에 필요한 과제를 추진해야 한다. 앞으로 북핵관련 위기가 발생할 경우 이성적으로 관리하여 핵전쟁으로 비화되지 않도록 하고, 한반도의 평화정착이나 통일을 지향함으로써 북핵 위협의 원천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paper is written to find out the necessary roles of South Korean government in coping with the increasing North Korean nuclear threat. For this purpose, it reviews the government's general roles regarding a war and draws specific roles to deal with a nuclear crisis or a nuclear war. Then, it assesses the level of curren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tasks to handl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effectively. In conclusion, this paper evaluated that South Korean government's current roles in dealing with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ere very limited. Therefor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do more in collecting accurate intelligence on North Korean nuclear capabilities, establish necessary organizations to handle the threat effectively and come up with nuclear deterrence and defense strategy on its own. It should also strengthen its alliance with the U.S. and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U.S. extended deterrence. It should effectively manage a possible crisis, which could involve nuclear weapons in order to prevent an escalation to a nuclear war. It should try to realize the peaceful coexistence and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as a fundamental way to solve this nuclear threat.

      • KCI등재

        평화협정에 관한 확증편향과 집단사고

        박휘락 한국통일전략학회 2021 통일전략 Vol.21 No.2

        본 논문은 북한의 핵위협이 심각해진 상황에서도 한국에서 평화협정이나 종전선언이 주장되는 것은 평화 관련 개념에 대한 심각한 오인식, 확증편향, 집단사고가 존재하기 때문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오류에 관한 개념을 정리한 다음에 평화협정과 종전선언이 주장되어온 경과를 살피고, 평화 등의 개념에 대한 보편적 내용을 설명한 후 한국에서 주장되는 바가 오류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일부 국민들 사이에는 평화체제, 평화협정, 종전선언 등이 평화를 보장할 수 있다는 심각한 오인식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북핵 위협이 심각해진 현 상황에서도 이러한 주장이 지속되는 것은 확증편향이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현 정부와 그 지지층들 사이에 상당할 정도의 집단사고가 작용하여 북한이 비핵화는커녕 핵무력 증강을 가속화하여 남북통일을 앞당기겠다고 공언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평화협정과 종전선언을 추진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평화의 기본적인 조건은 ‘전쟁의 부재’이기 때문에 적이 군사적으로 위협하는 상황에서 평화는 전쟁억제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의 한국에게는 북핵에 대한 대비태세를 강화하는 것이 평화를 보장하는 유일한 방도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know the reason why South Korea still discusses a peace agreement and a declaration of the termination of war even under serious North Korean nuclear threats. It assumes that there lie serious misperception, confirmation bias, and Groupthink regarding the agreement and declaration in South Korea and tries to prove it. For this purpose, it revisits the theories on confirmation bias and Groupthink, the background of the agreement, and the declaration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is article found that there have been serious misperception, confirmation bias, and Groupthink on peace, peace regime, peace agreement, and declaration of the termination of war among political leaders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its supporters in South Korea. Because of this misperception, confirmation bias, and Groupthink, they still stick to the agreement and declaration in the name of peace, though North Korea did not do anything on its denuclearization and proclaimed to expedite its unification plan with the nuclear forces. South Korea should strengthen its nuclear deterrence posture if it wants to preserve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the fundamental condition for peace is the absence of war.

      • KCI등재

        “국방개혁 2020”과 미군 “변혁”(Transformation)의 비교와 교훈 : 변화방식을 중심으로

        박휘락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평화학연구 Vol.13 No.3

        South Korean "Defense Reform 2020," which had been started by then Defense Minister Yoon in July 2004, was de facto stopped by the announcement of the "Defense Reform Plan 307" in March 2011. The main reason of this interruption before achieving any visible achievement was that South Korean military applied too slow pace of change and spent too much time for planning. South Korea appears to have adopted "Plan and Change" strategy in its reform and repeatedly stopped at its planning stage. If South Korea really wants to make a success in its defense reform, it has to stick to the true meaning of reform and make real changes, speed up the pace of changes and prefer instant execution to deliberate planning.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should focus on reforms of businesses under its direct control and achieve immediate results. It should also ensure active participation of all officers and soldiers as well as political leaders and the South Korean people. 2004년 7월 윤광웅 당시 국방장관이 주창한 “국방개혁 2020”은 법제화를 통하여 2020년까지의 지속적 개혁을 지향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2011년 3월 8일 “국방개혁 307계획”이 발표되어 상부지휘구조 개편을 포함한 전혀 새로운 방향으로 개혁이 추진됨으로써 사실상 중단된 셈이 되었다. 그러한 결과가 도출된 근본적 이유는 ‘선계획 후변화’의 방식을 선택하여 계획수립과 검토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차후에 국방개혁을 추진하여 성과를 달성하고자 한다면 ‘개혁’이 의미하는 바에 부합되도록 절박성을 바탕으로 변화를 추진하고, 장기적인 비전과 계획을 제시하는 것에만 치중하기보다는 당장 시정하여 성과를 도출하는 데 관심과 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국방부의 책임과 권한의 범위 내에서 시정할 수 있는 사항에 중점을 두어 개혁을 추진함으로써 성과의 실질성을 강화하고, 모든 장병, 정치지도자와 국민들의 긍정적인 동참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비교: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적용

        박휘락 세종연구소 2016 국가전략 Vol.22 No.2

        This paper is written to compare the degree of giving up its autonomy by South Korea to that of Japan in their alliance with the U.S. based on the "Autonomy-security Trade-off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Michael F. Altfeld and James D. Morrow. It uses three issues such as two nations' cost sharing for the U.S. forces in their land and their Ballistic Missile Defense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their policies toward China. As a result, South Korea and Japan we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big difference in giving up their autonomy for their ally, the U.S. South Korea was reluctant in the giving up while Japan was very cooperative in comparison. Although the alliance continues due to other various factors, the reluctance of giving up of the autonomy by South Korea would make the U.S. also reluctant in its support in case of South Korean security crises including North Korean nuclear threat or attack. If South Korea needs a strong security support by the U.S. especially for its nuclear deterrence and defense, it should clearly recognize the trade-off between giving up of its autonomy for the U.S. and the U.S.'s implementation of the security commitment. South Korea should do its best to strengthen its bondage with the U.S., recognize the limitation of its strategic partnership with china and materialize its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본 논문은 알트펠드와 모로우가 주장한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에 의거하여 대미동맹에서 한국과 일본이 어느 정도의 자율성을 양보하고 있느냐를 비교하고, 이를 통하여 유사시 미국이 한국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인가를 판단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목적으로 하여 위 이론을 분석의 틀로 삼아 방위비 분담, 탄도미사일 방어, 대중국 정책 방향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의 대미 자율성 양보 정도를 평가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 한일 양국은 대미 자율성 양보 측면에서 상당히 대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일본은 적극적으로 자율성을 양보하는 반면에 한국은 그렇지 않았고, 미국도 그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인다. 동맹의 강화와 약화는 다른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영향을 받겠지만,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에 의하면 한국의 소극적인 자율성 양보가 지속될 경우 유사시 미국이 안보지원에서 소극성을 띌 가능성이 높다. 북한의 핵위협으로 인하여 미국의 확고한 안보지원이 더욱 절실해진 상황이라면, 한국은 자율성 양보에 더욱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 한미동맹의 존속과 강약은 한국보다는 미국에 의해 좌우되는 측면이 크다는 점을 인정하는 가운데, 한국은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강화하고,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갖는 한계를 냉철하게 인식하며, 역안분리 차원에서 일본과의 협력을 증진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