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都市經濟活性化를 위한 都市政府의 役割에 관한 硏究

        朴惠子 湖南大學校 1990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1 No.1

        Nowadays, the demands for urban economic development as a kind of public service have been greatly increased. Conventionally the central government has taken charge of economic development. but now autonomous urban economic development by the city government is demanded. The local cities are the center places of their regions in many aspects and play important roles for their regional development. In short, the local cities are economic centers, nodal points and growth poles. Therefore, the economic role of the city is important and is required to be improved for the be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conomic role of the local city government and the strategy for the role playing. Part 2 deals with the necessity of urban economic development and di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city governm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for the activation of urban economy. Part 3 identifies the problems of urban economy in Korea and reviews overall types of strategies which can be taken by the local city government. part 4 presents examples of successful local economic development efforts in U.S.A. and explores practical tips on implementing some common strategies such as inducing new businesses, retaining existing businesses, and revitalizing commercial districts. Finally, Part 5 deals with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city government in Korea and their restrictions.

      • 지방자치시대 문화정책에 있어 정부간 역할분담에 관한 연구 : 광주 비엔날레를 중심으로

        박혜자 湖南大學校 1996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7 No.1

        One of the distinguished phenomena presented in the stage of high urbanization is that the demands on the cultural administration have been increased rapidly in comparison with the economic and other administrative function regarded as of great importance in its early stage. Besides,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expedites the process of decentralization and the increasing role of local government in cultural policy. In this viewpoint,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cultral polic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For it, this research analyzes the amounts of government investment on cultural sector before/after the implemnt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and the policy-making and implementaion process in case of Kwang-ju Biennale.

      • KCI등재

        스테파노 바네오의 레카네뚬 데 뮤지카 아우레아 제 2권에 의한 비율 연구

        박혜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8 이화음악논집 Vol.12 No.1

        서양음악에서 중세와 르네상스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는 비율(proportion)이론은 두 음 사이의 음정의 의미와 서로 다른 두 박자 간의 길이를 측정하는,즉 음가를 수학적 비율(ratio)로 축소(diminution) 또는 확대(augmentation)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비율은 수학에 의한 비율을 실제음악에 적용함으로써 템포(tempo)의 변화와 함께 리듬(rhythm)의 다양성과 복합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6세기에 비율의 종류는 일반적인 추측과는 달리 15세기에서 사용된 비율의 종류보다 오히려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즉, 15세기 비율 이론을 가장 체계적으로 정립해 놓은 논서 인 요하네스 팅토리스의 음악의 비율(Proportionale Musices)에서는 5유형에 속하는 25종류의 비율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이 논서보다 60년 후에 출판된 16세기 중반의 논서 인 스테파노 바네오 레카네뚬 데 뮤지카 아우레아(Recanetum de Musica Aurea)에서는 이 시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율이라는 설명과 함께 비율을 2유형의 5종류로 제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세와 르네상스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는 비율 이론에 대해 그 새로운 가능성을 스테파노 바네오의 레카네뚬 데 뮤지카 아우레아에서 언급된 비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즉, 16세기의 비율 이론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 새로운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스테파노 바네오가 그의 논서 에서 제시한 비율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15, 16세기에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그러나 성립이 가능한 비율을 제시하기 위하여 요하네스 팅토리스의 음악의 비율에서 언급한 15세기 비율 이론을 제시하고 이 두 논서에서 언급된 비율의 범위를 초과하여 성립이 가능한 비율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성립이 가능한 비율(현대 보에서 사용하는 박자 표기로 전환이 가능한 것들과 더 이상 전환 시킬 수 없는 것들이 있다)의 제시는 16세기에 15세기 보다 비율이 제한되었으나, 15, 16세기 비율의 개념은 16세기의 리듬과 대위의 개념을 넘어 새로운 리듬과 대위적 개념, 즉 새로운 이론 하에서 새로운 비율이 창출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것임을 확신하는 바이다. Proportion which is a significant feature in Western music of the Medieval age and Renaissance is diminution or augmentation of note values which measures intervals between two notes and the length of two different tempos by mathematical ratio. That is, proportion demonstrates variety and complexity of rhythms by applying mathematical ratio to notation. However, the range of proportion was more restricted in the 16^(th) century than in the 15^(th) century. That is, Johannes Tinctoris's Proportionale Musices, which is a writing that most systematically explained the theory of proportion in the 15^(th) century mentions 25 species of proportions which belong to 5 types. In contrast, Stephano Vanneo's Recanetum de Musica Aurea, which was published in the mid 16^(th) century in 60 years after Proportionale Musices, limited proportions to five species. This paper aims to present potential proportions that can be established beyond the scope of proportion proposed by Stephano Vanneo and Johannes Tinctoris. This paper introduces Stephano Vanneo's proportion explained in Recanetum de Musica Aurea and Johannes Tinctoris's proportion discussed in Proportionate Musices. Then, proportions that can be established beyond the scope of proportions presented in these two writings are proposed. This study presented proportions that are possible beyond the proportions presented by Stephano Vanneo and Johannes Tinctoris. These possible proportions suggest that: while the 16^(th) century proportions were more limited than the 15^(th) century proportions, the concept of proportions in the 15^(th) and 16^(th)c enturies presented new rhythm and contrapuntal concepts beyond the 16^(th) century rhythm and contrapuntal concept. That is, it proposes a theoretical basis to create new proportions under a new theory.

      • Proportion 개념에 의한 박자체계 발전의 이론적 필연성

        朴惠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이화음악예술연구회 1995 音樂藝術論壇 Vol.- No.4

        서양음악에 있어 proportion(비율)은 2음 사이의 음정, 즉 옥타브 5도 그리고 4도 등의 음정을 이루는 2음 사이의 진동비례와 서로 다른 2박자 길이를 측정하는 2가지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Proportion이 후자, 즉 음가를 나타내는 2개의 수의 하나에 대한 다른 하나의 관계를 의미하게 된 것은 15세기에 이르러서이다. 중세와 르네상스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는 proportion 이론에 관해 그 성립가능성과 proportion 개념에 의해 초래된 강박의 위치변화는 복합박자에서 단일박자로의 발전을 가능케 하였으며 이의 이론적 필연성을 Johannes Tinctoris의 Proportionale Musices에서 언급된 proportion 예제를 중심으로 논증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오케겜의 미사 L'Homme armé 중 키리에 분석에 적용된 15세기 선법이론(Modal theory)

        박혜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7 이화음악논집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main concept of modal theory in 15th century and musical application of this theory. De Natura et Proprietate Tonorum(1476) written by Johannes Tinctoris is the thesis that set up systematically the main concept of modal theory in 15th century. Kyrie of Cantus firmus Missa, L'Homme armé by Johannes Ockeghem was analysed in this thesis to study theoretical application of Tinctoris' modal theory in actual works. Ockeghem used motive X, Y, Z and transformation of these motives, that is, expansion and prolongation, diminution, retrograde, inversion and retrograde inversion in Cantus firmus L'Homme armé. And because progression by these use was imitated and developed, an unity was given to Missa. The mixture of Perfect Tone, Imperfect Tone and More than Perfect Tone in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melody was used in 4 voices Kyrie. Therefore, the range was enlarged to diapente with semitone above diapason beyond native ambitus to mode. Range was enlarged beyond limited ambitus in four voices music by mode that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is enlargement of range became one of the reasons of mode collapse. Therefore, this thesis proves that modality of melodious concept had no choice but to change and develop to tonality of harmonic concept. 본 논문 은 15세기 선법이론의 주요 개념과 이 이론들의 음악적 적용을 연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요하네스 팅토리스의 논서「음의 본질과 특성에 관하여」는 15세기 선법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해 놓은 논서 이다. 팅토리스가 언급한 15세기 선법이론의 실제 작품에서의 이론적 적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요하네스 오케겜의 미사 L'Homme armé 중 키리에를 분석할 것이다. 분석방법은 팅토리스의 선법이론의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로 이 곡에서 정선율로 사용된 L'Homme armé 선율의 선법, 구조, hexachord와 mutation, 그리고 선율에 사용된 동기들을 분석할 것이다. 둘째로 정선율 미사 L'Homme armé를 분석할 것이다. 정선율에 사용된 동기들이 미사곡 키리에에서 어떤 형태로 모방되어 곡의 통일성을 부여하는지에 대해, 그리고 4성부 미사곡 키리에에 사용된 선법들이 상, 하행에서 Perfect Tone, Imperfect Tone, More then Perfect Tone을 조합하여 사용하므로 음역의 확대가 가능케 되었으므로 이것이 15세기 선법음악에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