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새만금 신항의 특화항만 개발방안 연구

        박형창(H.C. Park) 한국항만경제학회 2008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4 No.4

        새만금 신항만은, 1996년 전국신항만 개발계획에 포함시켰고, 1998년 "새만금 신항만 기본 및 실시설계"까지 마친 후, 2008년 9월 10일에 발표한 광역경제권 사회간접자본(SOC)분야 선도 프로젝트에 새만금 신항만 개발이 선정 되었다. 이에 따라 새만금 신항을 차별화된 항만으로 특화개발하는 방안과 신규물동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새만금 신항과 배후지의 식품가공무역단지와 해외농업개발을 통해 확보된 식품원료와 연계된다면 시너가 효과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새만금 신항을 식품전용항만으로 개발했을 국가전략상 식량안보를 해결할 수 있고, 동북아 식품생산 및 유통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며, 신선농산물의 보관 중계지로서 먹을거리 변화추세에 아주 적합한 항만개발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새만금 신항을 식품전용항만으로 개발하면 차별화된 경쟁력우위의 항만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Saemaneum Newport plan was included the whole national newport development plans in 1996, and finished the basic execution plan in 1998. T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Saemangeum Newport development was selected as the leading project in the field of SOC for the great-sphere economic bloc on September 10, 2008. After the announcement, this paper assumed the new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and the plans to develop Saemangeum Newport as the specialized port. If Saemangeum Newport and the Food processing complex of the rear area are related to the supplied food materials by developing the overseas agriculture, it's possible to create the effect of synergy. When Saemangeum Newport is developed as the exclusive port for the foodstuffs, we can solve the food problem and this port will be the hub of North-eastern Asia's 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is port also will be a proper transit port for the storage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s to meet the change of the food trend. Therefore, if Saemangeum Newport is developed as the exclusive food port, it will be developed as the competitive port by holding a dominant position.

      • KCI등재

        군산항 유치가능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추정 연구

        박형창(Hyoung-Chang Park) 한국항만경제학회 2008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4 No.2

        전라북도에서 발생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264,120TEU 중에서 군산항에서는 6.60%만이 처리되고 나머지는 광양항과(55.90%) 부산항(34.15%), 기타항(4.45% )에서 94.40%가 타항만에서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산항에서 처리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은 31,715TEU로 전국항만 대비 0.20%를 처리하고 있으며, 중국의 상해항과 청도항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이 전체 26,912TEU로 군산항 전체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처리물량의 80.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전라북도에서 발생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50%만 군산항을 이용해도 약 130,000TEU을 유치할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적권역을 이용하지 않고 타항만으로 유출입되는 l,947,069TEU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약 10%만 군산항으로 유치한다면 약 190,000TEU의 물동량 증대를 가져올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중 중국의 상해항과 청도항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중 최적권역을 이용하지 않은 타항만을 이용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은 총 383,184TEU로 이중 약 10%만 군산항으로 유치하면 약 38,000TEU의 컨테이너화물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of Jeollabukdo are handled at Gunsan port, which just hold 6.60% of the total amount 264,120 TEU. The rest of them reaching 94.40%, are handled at Gwangyang port(55.90%), Busan port(34.15%) and others(4.45%).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handled at Gunsan port are 31,715 TEU that hold only 0.20% of all cargos in Korea. On the other hand,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handled at Shanghai and Qingdao port are 26,912 TEU which hold 80.15% of the total handling container cargos at Gunsan port. If 50% of container cargos produced in Jeollabukdo are handled at Gunsan port, the total handling container cargos will be 130,000 TEU. And if the container cargos reaching 1,947,069 TEU which are using other ports can be attracted to Gunsan port, it is expected that around 190,000 TEU will be increased in the quantity of goods. The total container cargos of Shanghai and Qingdao port not handled by the nearest ports are 383,184 TED. If Jeollabukdo attract around 10% of those cargos into Gunsan port, about 38,000 TEU container cargos will be handled at Gunsan port.

      • KCI등재

        전라북도 물류산업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김중식,박형창 한국항만경제학회 2007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3 No.1

        전북지역이 내륙물류의 집적과 대 중국 해상물류의 교두보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항만을 보유하고 있고 지정학적 위치와 교통여건 등 에서 우수한 곳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물류산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는 전라북도를 신산업 생산 및 물류중심지역으로 육성하고, 전주·군장광역권을 환황해권 생산·물류 및 동북아 교류의 거점권역으로 육성 개발하려는 계획이 수립되어 물류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여건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전라북도의 물류기반 인프라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국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상물류기반시설 현황에서도 전북지역과 유사한 항만을 보유하고 있는 지역에 비해 부문별로 낙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북도내 일반기업체들과 물류업체들의 실태조사에서도 물류관련 인식수준이 아주 낮아, 수송분담 구조의 불균형, 전산화․정보화․표준화 미비 및 미숙, 물류아웃소싱 저조 등 물류관련 활동이 낙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따라 전라북도의 물류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물류인프라 확충방안을 마련하여 타 지역과의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야하며, 전북도내 물류관련 업체들의 물류관련 인식이 제고되어야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전북도 행정당국에서는 물류인식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 대안을 마련하여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로화물 편중운송 비중을 철도 및 연안해송으로 분산시키는 방안, 물류전산화․정보화․표준화를 통해 물류시스템을 제고시키는 방안, 물류아웃소싱 및 물류공동화를 통해 물류흐름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여 전북도내 중소기업들에게 물류비 절감 혜택이 돌아 갈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전라북도가 이러한 물류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 중국 물류Gate 구축”에 물류산업의 정책목표를 두고, 타 지역과 “차별화된 물류산업 육성” 정책방안을 제시하여 추진해야 물류산업 경랭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 전북지역이 우리나라 중부권 및 전북권의 대중국물류 Gate로서 기능을 수행하여 국가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Jeon-buk is well equipped for the growth of the logistics industryas it is the center of inland and marine traffic. However, it was not activated because of the infrastructure insufficiency.This paper surveyed the logistics industry facilities, interviewed people who are engaged in its business,researched into their business difficulties andthe problem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s a result of research,this paper makes an alternat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of Jeon-buk area.

      • KCI등재

        군산항 컨테이너화물 유치를 위한 실태조사연구

        송용종(Yong-Zong Song),박형창(Hyoung-Chang Park),김명룡(Myoung-Ryong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07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3 No.4

        군산항 물류 기ㆍ종점(O/D) 분석결과 군산항 컨테이너화물 유치를 위해 단기적인 방법으로서 내륙운송비절감으로 경쟁력이 있는 전북권 및 충청권의 최적권역 물동량을 확보하고, 대외적으로는 현재 군산항에서 가장 많은 화물을 처리하는 인근 중국 항만과의 교류활성화를 통하여 컨테이너화물을 유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당장 시급한 것은 수요자들이 군산항을 이용하고자 하는데 느끼는 불편사항을 파악하여 개선함으로서 고객만족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군산항을 이용하고 있고 이용을 고려하고 있는 화주와 선사 그리고 물류업체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애로요인을 파악하였다. 실태조사에 나타난 군산항의 가장 큰 문제는 수심을 확보하여 정기선사들이 입ㆍ출항하는데 걸림돌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항만운영, 항만관련제도정비, 항만인프라 등을 개선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사항이 개선되어 군산항에 컨테이너화물 유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 정기선사들이 기항하게 될 것이고, 신규항로가 개설되어 적기에 선적하게 되면 물류비절감에 따라 화주들은 군산항을 이용하게 되어 경쟁력이 확보될 것이다. To induce container cargos to Gunsan port, we should struggle on securing the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from the competitive Jeonbuk and Chungcheong areas by reducing transportation expenses by land, and make an activating plan for th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Gunsan port and nearby ports in China. As a result, if the plan to induce container cargos to Gunsan port is activated, the regular liners will stop at Gusan port. So the new sea route will be opened so that consignors can ship cargos in the proper time. The consignors will use Gunsan port frequently because of the reduction of distribution expenses. To do so, for the first, many incentives should be implemented to attract container cargos. In addition, various facilities should be fully equipped and improved.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problems for which consignors, the shipping lines and forwarders may feel uncomfortable when they use Gunsan port.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he biggest problem in Gunsan port is the depth of water. The management, relation system,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system of Gunsan port are also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will make an alternative plan to improve these problems and help the container cargos induce to Gunsan 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