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돈 이론을 이용한 뇌파 분석에 대한 기초 연구

        박해정,박광석,권준수,Park, Hae Jeong,Park, Kwang Suk,Kwon, Jun S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5 생물정신의학 Vol.2 No.2

        선형적이고 정적인 뇌파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비선형적이고 동적인 접근방식인 혼돈이론을 이용하여 정신분열병환자 16명, 양극성 정동장애 10명, 주요 우울증 6명 및 정상 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뇌파 분석을 시도하고, 객관적인 혼돈 연구의 도입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질환에서의 상관차원의 분포가 정상대조군보다 개인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체적으로 측두엽 부위에서 상관차원이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대상환자군의 특성, 혼돈이론을 뇌파분석에 이용할 때의 주의점등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pply a chaotic signal analysis method to the EEG research, especially in the aspect of neuropsychiatry, and to get some inspection of the chaotic phenomena according to the brain sites and subjects. We have acquired 21 channel EEG data and one EOG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and calculated the correlation dimension. The subject groups are schizophrenics, bipolar disorder, major depression and normal control. They were all awoke and eye-closed. We have found no distinctive features from our experiments except temporal regions have slightly higher correlation dimension. There is also no specific distinctions between groups. We conjecture that these results are mainly because the subjects were not well controlled. EEG dimension may change in accordance with to the age, sex, medication and the time data were selected to calculate. We have also considered some conditions for a better and more objective research of chaotic analysis to EEG research. Better conditioning and standardizing the calculation of correlation dimension is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haotic analysis to neuropsychiatry.

      • 즉석섭취 샌드위치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예측모델 개발

        박해정,배현주,Park, Hae-Jung,Bae, Hyun-Joo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2021 급식외식위생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hygiene and quality control of ready-to-eat sandwiches. Predictive models were developed to the kine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in these sandwiche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10, 15, 25, and 35℃). The result of the primary model that used the Gompertz equation showed that the lag phase duration (LPD) and generation time (GT) decreased and the exponential growth rate (EGR)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emperature. The secondary model showed an R<sup>2</sup> for M and B of 0.9967 and 09916, respectively. A predictive growth model of the growth degre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as developed. L(t)=A+Cexp(-exp(-B(t-M))) (A=Initial contamination level, C=MPD-A, B=0.473166-0.045040*Temp-0.001718*Temp*Temp, M=19.924824-0.627442*Temp-0.004493*Temp*Temp, t=time, Temp=temperature). This model showed an R<sup>2</sup> value of 0.9288. All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good fit.

      • KCI등재

        즉석섭취 샌드위치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위해분석

        박해정,배현주,Park, Hae-Jung,Bae, Hyun-J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제조공정의 특성상 생물학적 위해 중 높은 빈도로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정성적${\cdot}$정량적 검출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 편의점, 대형할인마트, 샌드위치 전문점, 개인운영제과점, 패스트푸드점, 급식소에서 판매되는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174개의 시료 중 18개, 전체 10.3%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평균 1.74 log CFU/g으로 0.30 log CFU/g에서 최대 4.08 log CFU/g까지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의 계절에 따른 검출량은 여름철(3.24 log CFU/g)이 겨울철(1.10 log CFU/g)에 비해서 3배 정도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영국 PHLS의 즉석섭취식품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본 실험의 전체 분석 대상 시료 중 95.4%가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또한 햄 치즈샌드위치에 대한 독소형성 확인 실험 결과 4.95 log CFU/g 이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증식되지 않으면 독소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샌드위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정량적 오염도 분석에 대한 본 실험 결과는 샌드위치를 포함한 즉석섭취식품의 정량적 위해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azard analysis of ready-to-eat sandwiches sold in various establishments. Sandwi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ce stores, discount stores, sandwich chain stores, bakery shops, fast-food chain stores, and food service operatio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Out of 174 samples, 18 (10.3%) contained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i with counts ranging from 0.30 to 4.08 log CFU/g. There was significant seasonal difference 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the average count in summer (3.24 log CFU/g) was 3 times higher than that of winter (1.10 log CFU/g) (P<0.001). According to the microbiological guidelines of PHLS for ready-to-eat foods, 95.4% of the samples were acceptable. As a result of enterotoxin producing experimental data ($35^{\circ}C$, pH 5.8, NaCl 0.5%), enterotoxin was not produced in a sandwich until Staphylococcus aureus increased to a level greater than 4.95 log CFU/g. This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data could be applied to future studies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ready-to-eat foods.

      • KCI등재

        대학급식소 고객의 손 위생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

        박해정(Hae-Jung Park),배현주(Hyun-Joo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7

        급식소 고객의 손 위생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소비자 위생교육의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점심식사시간에 대학교 내 학생식당을 찾은 일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손 세척에 대한 설문조사와 손의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190명의 1일 평균 손 세척횟수는 전체 평균 6.46회였다.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세균수는 평균 3.11log CFU/hand로 0.70~6.47 log CFU/hand가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1.06 log CFU/hand로 검출되지 않은 경우부터 최대 5.04 log CFU/hand까지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조사대상자 전원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율은 20.5%였다. 고객의 성별에 따른 손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남자가 여자에 비해 일반세균수 (p<0.001)와 대장균군수(p<0.05)가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도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많은 수가 검출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손 세척횟수에 따른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일반세균수는 손 세척 횟수가 4번 이하일 때 평균 3.25 log CFU/hand, 5~7번일 때 2.75 log CFU/hand, 8번 이상일 때 2.75 log CFU/hand로 손 세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01). 대장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장균군과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량은 손세척 횟수에 따른 유의적인차이는 없었다. 점심시간 전 손 세척여부에 따른 미생물학적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일반세균수는 점심시간 전 손 세척을 항상 하는 경우가 전혀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검출되었다(p<0.05).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s of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A total of 190 customers' hands were sampled to test about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s, E.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average number of aerobic plate counts was 3.11 log CFU/hand (from 0.70 to 6.47 log CFU/hand) and that of coliform counts was 1.06 log CFU/hand (from not detected to 5.04 log CFU/hand). The mean level of aerobic plate counts (t=9.87, p<0.001) and coliforms (t=7.91, p<0.05)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E. coli was not detected, but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in 39 (20.5%) of 190 samples. The average of hand-washing frequency was 6.46 times per day. By the hand- washing frequency, the mean level of aerobic plate cou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5.27, p<0.001), but coliform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eds to be given attention to hygiene of the customers' hands. And personal sanita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be carried out not only for food handlers but also for customers in foodservice operations.

      • KCI등재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 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박해정 ( Hae Jung Par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로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교육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써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권 무용(학)과가 있는 6개 대학 한국무용전공대학생 29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첫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통문화인식도는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무용수행능력은 성별, 학년, 한국무용전공 지속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relates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undergraduates`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ir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 total of 293 questionnaires have retrieved. For the research processing, frequencie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hoc SNK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 As a result,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Second,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dance for each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except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undergraduates`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ere found.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건강관리 가전제품 개선점 제안; 정화 시스템 관련 제품 사례 중심으로

        박해정 ( Haejeong Park ),김은영 ( Eunyoung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연구배경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바이러스 위협을 느낀 사람들은 라이프스타일을 변화하기 시작했고 그 변화가 표준이 되며 이를 뉴노멀 시대라고 한다. 새롭게 시작된 뚜렷한 변화 중 하나는 살균 및 소독하는 것이 일상화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보아, 향후 위생 관련 인식의 고조로 가전제품 산업에 살균 기능의 필요성이 대두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방법 먼저 코로나 팬데믹의 심각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한다. 다음으로 바이러스로부터 사람들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구매하는 건강관리 가전제품과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시스템에 대한 문헌적 조사를 한다. 이를 통해 건강관리 가전제품들 중 정화 시스템이 접목된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한계점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현재 판매되는 제품들은 강력한 살균을 위해 사물을 소독하는 제품으로 국한되어 있으며, 에어로졸의 위험성이 있는 공간 소독이 필요하다. 또한, 오염된 공기 정화 시스템은 필터를 통해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청정 방식이 대부분이며 바이러스 제거 목적이라 보기에는 어렵다. 그리고 인력으로 이동시키거나 빌트인이며 수동적이다. 마지막으로 사용성에 있어 건강 보호를 위한 제품인 만큼 신체적 피해가 없어야 한다. 결론 앞서 언급된 한계점에 따르면 향후 중요시될 부분은 공간(Space), 살균(Sterilization), 자력(Self), 안전성(Safety)이 향후 중요시될 방향이며, 이를 ‘4S’라고 축약한다. 4S 개선점을 제안하며, 향후 뉴노멀 시대에 개선되어야 할 건강관리 가전제품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Recently, people threatened by COVID 19 have started changing their lifestyle and this change became the norm which is called the Newnormal era. One of these new and changes is tha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became a routine. Based on this trend, it is predicted that the emerging concern about hygiene will require the need for disinfection function in the home appliance industry. Methods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the seriousness of the COVID pandemic was conducted. Next, a literal survey was performed on well-being products purchased to protect people's health from virus and systems that purify contaminated air. Through this, the limitations are draw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ses of healthcare home appliances that are applying the purification system. Result Currently sold products are limited to products that disinfect objects for a complet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ng the areas where contain the risk of aerosol is required. In addition, purification systems for contaminated air mostly remove the harmful substances through a filt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ay that it is to get rid of the viruses. Also, it's either controlled by human or it’s a built-in and passive. Lastly, as it is for healthcare, there shall not be any physical damages. Conclusion Space, Sterilization, Self, and Safety are mostly the focal points that will be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e future, and this is abbreviated as '4S'. 4S improvement points are proposed. This could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well-being product that will have to be improved in the newnormal era.

      • 시간의 개념으로 살펴본 주일 예배에 대한 고찰 및 제언

        박해정(Park, Hae-Ju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5

        이 글은 기독교 예배 공동체의 가장 큰 근간이 되는 주일예배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오늘날 주일 예배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종교개혁을 통해서 시작된 개신교 예배는 중세 가톨릭 예배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었다. 성례전주의의 폐단과 말씀의 부재,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신화된 예배로 인해서 예배의 개혁은 반드시 필요하였다. 개혁을 통해서 설교 중심의 개신교 예배가 시작되었다. 종교개혁 500년이 지난 지금, 한국 개신교 주일 예배의 상황은 어떠한가? 종교개혁가들의 예배개혁에 대한 의지는 잘 지켜지고 있는가? 개혁가들이 모토를 삼았던 성서의 예배 정신과 초대교회의 예배 정신은 어떻게 자리매김 되어 있는가? 일요일을 주일이라 칭하며 예배로 모이는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일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날에 모여서 드리는 예배는 무엇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가? 본 글을 통해서 필자는 초대교회의 예배 정신과 주일 예배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예배, 즉 공동의 일이라는 어휘적 의미의 liturgy의 본질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초대교회 예배 정신이 회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설교 중심의 예배에서 탈피해야 된다. 또한 다양한 예배의 구성 요소들이 예배를 통해서 드러날 수 있어야 된다.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곳이 예배의 자리이어야 한다. 또한 예배를 전체적으로 준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예배위원회 혹은 예배부가 구성되어야 된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노력을 통해서 모두가 함께 공동의 예배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통해서 주일 예배의 원형을 회복할 수 있다. This articles aims to make proposals for the Sunday worship service representing the spirit and nature of the primitive Christian worship,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assembly. From reformer’s reformation, the protestant worship has been started by reflecting the superstitious rites of the medieval Mass. Medieval practice of Sacramentalism brought absence of the word into the worship. The time and space for the worship reformation was definitely riped. After five centuries later, it is time to review a current worship situ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they well following the will of reformer’s toward reformation of worship? The protestant reformers heavily emphasized restoration of the early church worship spirit, the balance of word and table, and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as a meaning of liturgy signifies. Is this lesson from the reformers carried out by the Korean church? This article elaborates current worship and its situ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dditionally the article will present several proposals to revive and restore nature and value of primitive worship by applying to our worship context.

      • 2019 한국교회 예배를 말하다

        박해정(Haejung Park)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5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2019년 대한민국의 개신교 예배의 현실을 진단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예배의 개혁을 위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한국 개신교 예배의 현실에 대해서 아래의 몇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 개신교 예배는 보수적인 모습과 수구적 성향이 공존하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둘째, 각 교단은 서구 교회의 예전복고운동(liturgical movement)의 영향을 받은 예배서를 출판하여서 그를 근거로 예배에 대한 모범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한국 개신교 예배는 주일 예배 중심의 공동체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설교 중심의 예배를 드리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서 다음의 몇 가지를 통해서 한국 개신교 예배의 변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예배를 기획해야 된다. 비록 교단에서 출판한 예배서가 있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예배의 주제(비록 그 주제가 교회력이 아니라 하더라도)에 맞춰 예배는 반드시 기획되어야 된다. 둘째, 예배 참여자가 충분히 기도할 수 있는 예배를 제공해야 된다. 목회기도와 오늘의 기도가 중심이 되는 예배는 회중들이 예배 중에 기도할 수 있는 시간을 주지 못한다. 또한 중보기도 역시 예배 중에 모든 예배 공동체 구성원들이 기도할 수 있어야 된다. 셋째, 회중 찬송의 영역을 확대해야 된다. 찬송가 중심의 예배를 넘어서 교단의 신학적 사상을 풍요롭게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찬송들이 예배 중에 제공되어야 된다. 넷째, 성경봉독이 하나님 말씀으로 경험되어야 된다. 성경봉독은 성경을 단순히 읽는 시간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회중들이 읽는 시간이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식과 번역본의 성경을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풍성한 성례전이 예배 중에 제공되어야 된다. 성례는 번거로운 것으로 치부되어서는 안 된다. 그리스도의 명령을 따라 빈번히, 그리고 풍성하게 이루어져야 된다. 여섯째, 미학적 예배 공간이 제공되어야 된다. 예배는 창조주 하나님의 영화로우심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경험한다. 오감을 활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공간의 미학적 구성은 하나님의 영화로우심을 경험하는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교회력 혹은 그 교회가 가지고 있는 교회의 목회력에 따라서 예배를 미리 준비하고 기획해야 된다. 예배는 다양한 원어들이 있다. 그 중 레이트루기아(Liturgy)는 예배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백성들의 일’을 의미하는 단어로, 예배가 한 사람의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배 공동체의 공동체적 사역이어야 함을 잘 나타내는 단어이다. 예배는 예배자들의 공동의 노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때 모든 이들의 예배가 될 수 있다. Let the worship say about itself. When Nanum Liturgical Society(NLS) in the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planned a worship conference in 2019, NLS put the title of the conference as “Let the worship say.” Through the conference, NLS expected 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 diverse worship patterns including from very liturgical ones to extremely contemporary ones. Through the conference, I as professor of NLS tried to present to the participants how the diverse music, liturgical space, and liturgical garments led its service. For making a better worshipping community, worship leaders should not be limited as pastors group, but be a worshipping community itself. As leitourgia (liturgy) means of ‘work of people,’ worship should be planned and designed by an effort of the worshipping community. In the paper, I propose seven key points to make a worship which basically reflect a literal meaning of liturgy. First, the worship must be planned and designed by a worship committee. The worship cannot be ready when the pastor finishes his/her sermon preparation. Second, congregational or any type of communal prayer should be provided during the worship service. It seems to me that prayer is offered during worship only by designated persons but not by the whole congregation. All participants of the worship should have a proper prayer time. Third, diverse hymn singing including contemporary hymns and praise songs should be offered. In general, the hymnal is used during worship service. The worship community needs to experience diverse hymns from different theological and denominational perspectives. Fourth, the scripture reading should be a words of God. The scripture reading cannot be a time to just read today’s lessons. By diverse versions and patterns, the words of God can be offered. Fifth, sacrament should be experienced with abundant gestures, elements, and words. The celebrant of sacrament cannot simply read the rubric. Overflowing water, embracing gestures, and full fresh smell of bread and wine can be filled in sanctuary. Sixth, aesthetic worship space should be provided by the communal works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worship. At last, the worship community must has its own worship calendar. It can be a lectionary or church’s own calendar.

      • 노인학습활동이 가지는 노인복지의 의미 탐색

        박해정 ( Park Hae-jeong ) 한국노인의료복지학회 2017 노인의료복지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learning activities of two elderly learners who are continuing their learning activities at regular universitie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st learning experiences of the elderly learner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family, and they regarded the schooling as the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and academic achievement as means of success and social status. And the current learning activities were perceived as a challenge to dreams that have not been achieved in the past. Second, the elderly learners perceived that their learning activities were able to form new relationships that excluded their interests through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old age, to contribute to the society through what they have professionally learned, to prepare for a new life. Third,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of the elderly learning activities are that they can expand their social network, secure the emotional support system, and help the mental health of old ag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reparation for economic activity after retirement, and as a necessary action for individual growth and a happy life. The learning for the elderly will have the meaning to provide the elderly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own abilities and to expand their existing knowledge to contribute to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