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즉석섭취 샌드위치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예측모델 개발
박해정,배현주,Park, Hae-Jung,Bae, Hyun-Joo 한국급식외식위생학회 2021 급식외식위생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hygiene and quality control of ready-to-eat sandwiches. Predictive models were developed to the kine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in these sandwiche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10, 15, 25, and 35℃). The result of the primary model that used the Gompertz equation showed that the lag phase duration (LPD) and generation time (GT) decreased and the exponential growth rate (EGR)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emperature. The secondary model showed an R<sup>2</sup> for M and B of 0.9967 and 09916, respectively. A predictive growth model of the growth degre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as developed. L(t)=A+Cexp(-exp(-B(t-M))) (A=Initial contamination level, C=MPD-A, B=0.473166-0.045040*Temp-0.001718*Temp*Temp, M=19.924824-0.627442*Temp-0.004493*Temp*Temp, t=time, Temp=temperature). This model showed an R<sup>2</sup> value of 0.9288. All th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showed a good fit.
박해정,배현주,Park, Hae-Jung,Bae, Hyun-J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향후 소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즉석섭취식품 중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제조공정의 특성상 생물학적 위해 중 높은 빈도로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정성적${\cdot}$정량적 검출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시료는 편의점, 대형할인마트, 샌드위치 전문점, 개인운영제과점, 패스트푸드점, 급식소에서 판매되는 샌드위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174개의 시료 중 18개, 전체 10.3%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평균 1.74 log CFU/g으로 0.30 log CFU/g에서 최대 4.08 log CFU/g까지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의 계절에 따른 검출량은 여름철(3.24 log CFU/g)이 겨울철(1.10 log CFU/g)에 비해서 3배 정도 많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영국 PHLS의 즉석섭취식품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본 실험의 전체 분석 대상 시료 중 95.4%가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또한 햄 치즈샌드위치에 대한 독소형성 확인 실험 결과 4.95 log CFU/g 이상으로 황색포도상구균이 증식되지 않으면 독소가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샌드위치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정량적 오염도 분석에 대한 본 실험 결과는 샌드위치를 포함한 즉석섭취식품의 정량적 위해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azard analysis of ready-to-eat sandwiches sold in various establishments. Sandwi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ce stores, discount stores, sandwich chain stores, bakery shops, fast-food chain stores, and food service operatio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buk. Out of 174 samples, 18 (10.3%) contained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i with counts ranging from 0.30 to 4.08 log CFU/g. There was significant seasonal difference 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ion; the average count in summer (3.24 log CFU/g) was 3 times higher than that of winter (1.10 log CFU/g) (P<0.001). According to the microbiological guidelines of PHLS for ready-to-eat foods, 95.4% of the samples were acceptable. As a result of enterotoxin producing experimental data ($35^{\circ}C$, pH 5.8, NaCl 0.5%), enterotoxin was not produced in a sandwich until Staphylococcus aureus increased to a level greater than 4.95 log CFU/g. This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data could be applied to future studies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ready-to-eat foods.
박해정,박광석,권준수,Park, Hae Jeong,Park, Kwang Suk,Kwon, Jun S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5 생물정신의학 Vol.2 No.2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pply a chaotic signal analysis method to the EEG research, especially in the aspect of neuropsychiatry, and to get some inspection of the chaotic phenomena according to the brain sites and subjects. We have acquired 21 channel EEG data and one EOG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10-20 system and calculated the correlation dimension. The subject groups are schizophrenics, bipolar disorder, major depression and normal control. They were all awoke and eye-closed. We have found no distinctive features from our experiments except temporal regions have slightly higher correlation dimension. There is also no specific distinctions between groups. We conjecture that these results are mainly because the subjects were not well controlled. EEG dimension may change in accordance with to the age, sex, medication and the time data were selected to calculate. We have also considered some conditions for a better and more objective research of chaotic analysis to EEG research. Better conditioning and standardizing the calculation of correlation dimension is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haotic analysis to neuropsychiatry.
[연구 논문] 초대교회 성만찬 연구를 통한 개신교 예배 방향 모색
박해정(Park Hae-Jung) 한국신학연구소 2005 신학사상 Vol.0 No.130
이 연구 논문은 초대교회의 예배와 예전의 형성과 성격, 또한 이의 변형과정을 살펴보았다. 초대교회의 예전의 모습에서는, 봉헌의 기도가 있었으며, 그리스도의 구속의 사건에 대한 감사의 기도, 그리고 감사드려진 주님의 살과 피인 빵과 포도주를 나누는 예전적 행위가 세례를 통하여 죄 사함을 입은 성도들에게 베풀어졌다. 초기의 이러한 성만찬은 분명 유대교 식사예전과 그 유사함을 면키 어렵다. 예수의 마지막 만찬이 유월절 식사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식사와 관련된 마지막 만찬은 교회의 발달과 더불어 모습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이는 주님의 만찬으로의 발전으로, 식사전통과는 별개의 예배의 예전으로 변하게 된 것이다. 예배의 중심에 자리 잡게 된 성만찬은 기독교 예배에 대한 근거를 『디다케』와 『사도전승』, 그리고 『제일변중론』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증명하였다. 세기 말, 혹 2세기 초에 편집된 『디다케』는 사도시대 이후의 교회와 그 사역에 관한 기록이 비교적 생생히 증언되어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사도전숭』은 3세기 초엽 로마의 히뽈리뚜스에 의해서 쓰인 교회의 전례에 관한 문헌이다. 이 문헌이 가지고 있는 예전적 가치는 초대교회로부터 당시에 이르기까지의 예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증거하고 있는 최초의 문서라는 데 있다. 이 『사도 전승』의 발견은 현대교회 예전의 방향이 초대교회로의 복구를 주창하게 된 신학적인 기초가 되었던 중요한 문헌이었며, 실제 현대교회가 성만찬 형식을 구성하는 데 모범이 되었던 문헌으로 예전학적인 가치가 큰 자료이다. 또한 155년경 사마리안인으로 회심하여 기독교인이 된 저스틴(Justin Martyr)에 의해서 쓰인 이 『제일변증론』은 두 가지의 성만찬을 기록하고 있는데, 하나는 세례 후의 성만찬이며, 다른 하나는 주일예배에 행해 졌던 성만찬이다. 이 주일에 행하여진 성만찬은 2세기 중엽의 로마에서 행하여 졌던 것으로, 당시의 성만찬은 주일에 한 차례씩 행하여 졌던 예식이었고, 이는 "일요일"에 행하여 졌음을 저스틴은 명시하고 있다. 초대교회 기독교 예배는 두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말씀의 예전과 성찬 예전 초대교회 예배의 중심에는 두 가지의 예전이 있었는데, 그 첫째는 Synaxis로서 희랍어의 의미로는 단순한 오염이라는 뜻이며, 둘째는 성만찬이라고 해야 적절하겠다. 이 두 가지의 예전은 분리되었던 것으로 그 기원도 각기 달랐다. 말씀의 예전과 성찬은 그 기원에서부터 분리된 예전이었고, 2세기 중엽부터 기독교 예배의 두 부분으로 예배 가운데 이루어지게 되었다. 말씀의 예전은 유대교 회당의 가르치는 전통에서 왔으며, 이는 설교로 초대교회 예배에서 발달하게 되었다. 반면에 성만찬은 유대 식사전통과 유사성을 갖고 있으며, 2세기에는 이미 식사와는 분리된 예배의 전통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초대교회는 말씀과 성만찬의 2중 구조를 갖춘 예배의 모습으로 자려 잡고 발전하게 되었다. 서구 현대교회들은 "Word and Table"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예비의 개혁을 이루고 있다. 개신교 예배가 말씀이 예배의 중심에 있는 모습으로부터, 초대교회의 모습처럼 말씀과 성례가 함께 예배의 중심을 이루도록 변화를 이루고 있다. 한국 개신교회도 초대교회의 예배 원형으로부터 "말씀과 성례"가 함께 있는 예배로의 갱신이 필요하다. 교회공동체가 진정으로 예배의 정신을 회복하기를 원한다면, 인간 중심의 예배가 아닌, 하나님 중심의 예배로 귀환하며, 인간이 주체가 아닌, 하나님이 주관자가 되시는 성례의 회복을 통하여, 하나님이 주인 되는 예배 중심의 교회공통체로 거듭나야 될 것이다. By carefully culling questionable produce from the documents of the primitive churches regarding shapes of the Christian worship, this study reasonably present several views of the primitive liturgical shape that includes: some sort of token offering; prayers of thanks said for the gifts and for the saving act of Christ; and the distribution of the 'eucharistized' elements among those present and taken to those absent. Furthermore there was typically a didactic element which preceded the Eucharist-either in the form of lessons of the elements was possible in the giving of alms to those in need. A harvest in another field will reveal the differences and developments in anaphora prayer forms in the various known primitive liturgies. The common shape of those includes an opening dialogue of praise, followed by a thanksgiving over the bread and cup, leading toward a supplication for the gathering of the Church. What is perhaps most interesting in the culling of the field of primitive liturgical prayer is the discovery of the cornucopia of possible shapes, and even content, among the liturgies of primitive Christianity. As the Eucharist placed the core liturgical accomplishment in the Christian gathering including worship and its general meetings, the shape of the liturgy, the Eucharist should be considered as genuine means of grace from God, and locate in the central place at the worship service.
박해정(Haejung Park)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5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2019년 대한민국의 개신교 예배의 현실을 진단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예배의 개혁을 위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한국 개신교 예배의 현실에 대해서 아래의 몇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 개신교 예배는 보수적인 모습과 수구적 성향이 공존하는 모습을 취하고 있다. 둘째, 각 교단은 서구 교회의 예전복고운동(liturgical movement)의 영향을 받은 예배서를 출판하여서 그를 근거로 예배에 대한 모범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한국 개신교 예배는 주일 예배 중심의 공동체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설교 중심의 예배를 드리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대해서 다음의 몇 가지를 통해서 한국 개신교 예배의 변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예배를 기획해야 된다. 비록 교단에서 출판한 예배서가 있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예배의 주제(비록 그 주제가 교회력이 아니라 하더라도)에 맞춰 예배는 반드시 기획되어야 된다. 둘째, 예배 참여자가 충분히 기도할 수 있는 예배를 제공해야 된다. 목회기도와 오늘의 기도가 중심이 되는 예배는 회중들이 예배 중에 기도할 수 있는 시간을 주지 못한다. 또한 중보기도 역시 예배 중에 모든 예배 공동체 구성원들이 기도할 수 있어야 된다. 셋째, 회중 찬송의 영역을 확대해야 된다. 찬송가 중심의 예배를 넘어서 교단의 신학적 사상을 풍요롭게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찬송들이 예배 중에 제공되어야 된다. 넷째, 성경봉독이 하나님 말씀으로 경험되어야 된다. 성경봉독은 성경을 단순히 읽는 시간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회중들이 읽는 시간이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식과 번역본의 성경을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풍성한 성례전이 예배 중에 제공되어야 된다. 성례는 번거로운 것으로 치부되어서는 안 된다. 그리스도의 명령을 따라 빈번히, 그리고 풍성하게 이루어져야 된다. 여섯째, 미학적 예배 공간이 제공되어야 된다. 예배는 창조주 하나님의 영화로우심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경험한다. 오감을 활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공간의 미학적 구성은 하나님의 영화로우심을 경험하는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교회력 혹은 그 교회가 가지고 있는 교회의 목회력에 따라서 예배를 미리 준비하고 기획해야 된다. 예배는 다양한 원어들이 있다. 그 중 레이트루기아(Liturgy)는 예배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백성들의 일’을 의미하는 단어로, 예배가 한 사람의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예배 공동체의 공동체적 사역이어야 함을 잘 나타내는 단어이다. 예배는 예배자들의 공동의 노동을 통해서 이루어질 때 모든 이들의 예배가 될 수 있다. Let the worship say about itself. When Nanum Liturgical Society(NLS) in the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planned a worship conference in 2019, NLS put the title of the conference as “Let the worship say.” Through the conference, NLS expected 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 diverse worship patterns including from very liturgical ones to extremely contemporary ones. Through the conference, I as professor of NLS tried to present to the participants how the diverse music, liturgical space, and liturgical garments led its service. For making a better worshipping community, worship leaders should not be limited as pastors group, but be a worshipping community itself. As leitourgia (liturgy) means of ‘work of people,’ worship should be planned and designed by an effort of the worshipping community. In the paper, I propose seven key points to make a worship which basically reflect a literal meaning of liturgy. First, the worship must be planned and designed by a worship committee. The worship cannot be ready when the pastor finishes his/her sermon preparation. Second, congregational or any type of communal prayer should be provided during the worship service. It seems to me that prayer is offered during worship only by designated persons but not by the whole congregation. All participants of the worship should have a proper prayer time. Third, diverse hymn singing including contemporary hymns and praise songs should be offered. In general, the hymnal is used during worship service. The worship community needs to experience diverse hymns from different theological and denominational perspectives. Fourth, the scripture reading should be a words of God. The scripture reading cannot be a time to just read today’s lessons. By diverse versions and patterns, the words of God can be offered. Fifth, sacrament should be experienced with abundant gestures, elements, and words. The celebrant of sacrament cannot simply read the rubric. Overflowing water, embracing gestures, and full fresh smell of bread and wine can be filled in sanctuary. Sixth, aesthetic worship space should be provided by the communal works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worship. At last, the worship community must has its own worship calendar. It can be a lectionary or church’s own calendar.
박해정(Haejung Park) 감리교신학대학교 2024 신학과세계 Vol.- No.107
The church defines the baptism and the Lord’s Supper, which were instituted by Jesus Christ, as ‘sacrament’ and believes and practices them as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The Lord’s Supper can raise various questions in its implementation. Is using grape juice unscriptural? Did the Lord also use individual cups for the Lord's Supper as we do today? Should a common chalice be used? Is it acceptable to use unleavened bread? How should the remaining communion bread and wine be handled? How frequently should the Lord’s Supper be observed? Can someone other than an elder administer the communion? Can bread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communion bread? These are various questions that arise in the pastoral field. Through this paper, the researcher will examine the various questions raised when administering the Lord‘s Supper in the pastoral field from scriptural, theological, pastor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시간의 개념으로 살펴본 주일 예배에 대한 고찰 및 제언
박해정(Park, Hae-Ju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5
이 글은 기독교 예배 공동체의 가장 큰 근간이 되는 주일예배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오늘날 주일 예배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종교개혁을 통해서 시작된 개신교 예배는 중세 가톨릭 예배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었다. 성례전주의의 폐단과 말씀의 부재,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신화된 예배로 인해서 예배의 개혁은 반드시 필요하였다. 개혁을 통해서 설교 중심의 개신교 예배가 시작되었다. 종교개혁 500년이 지난 지금, 한국 개신교 주일 예배의 상황은 어떠한가? 종교개혁가들의 예배개혁에 대한 의지는 잘 지켜지고 있는가? 개혁가들이 모토를 삼았던 성서의 예배 정신과 초대교회의 예배 정신은 어떻게 자리매김 되어 있는가? 일요일을 주일이라 칭하며 예배로 모이는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일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 날에 모여서 드리는 예배는 무엇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가? 본 글을 통해서 필자는 초대교회의 예배 정신과 주일 예배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예배, 즉 공동의 일이라는 어휘적 의미의 liturgy의 본질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초대교회 예배 정신이 회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설교 중심의 예배에서 탈피해야 된다. 또한 다양한 예배의 구성 요소들이 예배를 통해서 드러날 수 있어야 된다.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곳이 예배의 자리이어야 한다. 또한 예배를 전체적으로 준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예배위원회 혹은 예배부가 구성되어야 된다. 이와 같은 전체적인 노력을 통해서 모두가 함께 공동의 예배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통해서 주일 예배의 원형을 회복할 수 있다. This articles aims to make proposals for the Sunday worship service representing the spirit and nature of the primitive Christian worship, the foundation of the Christian assembly. From reformer’s reformation, the protestant worship has been started by reflecting the superstitious rites of the medieval Mass. Medieval practice of Sacramentalism brought absence of the word into the worship. The time and space for the worship reformation was definitely riped. After five centuries later, it is time to review a current worship situ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Are they well following the will of reformer’s toward reformation of worship? The protestant reformers heavily emphasized restoration of the early church worship spirit, the balance of word and table, and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as a meaning of liturgy signifies. Is this lesson from the reformers carried out by the Korean church? This article elaborates current worship and its situ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dditionally the article will present several proposals to revive and restore nature and value of primitive worship by applying to our worship context.
대학급식소 고객의 손 위생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 평가
박해정(Hae-Jung Park),배현주(Hyun-Joo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7
급식소 고객의 손 위생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소비자 위생교육의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점심식사시간에 대학교 내 학생식당을 찾은 일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손 세척에 대한 설문조사와 손의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190명의 1일 평균 손 세척횟수는 전체 평균 6.46회였다.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일반세균수는 평균 3.11log CFU/hand로 0.70~6.47 log CFU/hand가 검출되었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1.06 log CFU/hand로 검출되지 않은 경우부터 최대 5.04 log CFU/hand까지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조사대상자 전원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율은 20.5%였다. 고객의 성별에 따른 손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남자가 여자에 비해 일반세균수 (p<0.001)와 대장균군수(p<0.05)가 유의적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도 남자가 여자에 비해 더 많은 수가 검출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손 세척횟수에 따른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일반세균수는 손 세척 횟수가 4번 이하일 때 평균 3.25 log CFU/hand, 5~7번일 때 2.75 log CFU/hand, 8번 이상일 때 2.75 log CFU/hand로 손 세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01). 대장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장균군과황색포도상구균의 검출량은 손세척 횟수에 따른 유의적인차이는 없었다. 점심시간 전 손 세척여부에 따른 미생물학적위해분석의 차이검정 결과 일반세균수는 점심시간 전 손 세척을 항상 하는 경우가 전혀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검출되었다(p<0.05).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s of the customers' hands in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A total of 190 customers' hands were sampled to test about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s, E.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average number of aerobic plate counts was 3.11 log CFU/hand (from 0.70 to 6.47 log CFU/hand) and that of coliform counts was 1.06 log CFU/hand (from not detected to 5.04 log CFU/hand). The mean level of aerobic plate counts (t=9.87, p<0.001) and coliforms (t=7.91, p<0.05)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E. coli was not detected, but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in 39 (20.5%) of 190 samples. The average of hand-washing frequency was 6.46 times per day. By the hand- washing frequency, the mean level of aerobic plate cou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5.27, p<0.001), but coliform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eds to be given attention to hygiene of the customers' hands. And personal sanita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be carried out not only for food handlers but also for customers in foodservice operations.
박해정(Park, Hae-Ju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90
어떻게 예배할 것인가의 질문은 어떤 공동체가 될 것인가의 고민과 직결된 질문이다. 이러한 예배와 예배 공동체와의 직접적인 상관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개신교회는 지나칠 정도로 설교 중심의 예배를 드려왔다. 설교와 예배를 동일시할 정도로 예배에 대한 이해가 지엽적이었던 것이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서 예배에 대한 편협한 오해를 바른 이해로 변화시키는 것에 있다. 예배가 무엇인가? 예배는 한 사람에 의해서 준비되고, 진행되고, 마감될 수 있는 사건이 아니다. 이는 철저하게 공동체적 행위에 근거해야 된다. 예배의 어근을 통해 살펴본 예배의 의미는 무엇인가? 예배를 정의하는 희랍어 어근을 살펴보면, 레이트루기아(Leitourgia)가 가장 대표적인 단어 가운데 하나이다. 로마서 13장 6절에 나오는 ‘하나님의 일꾼’이라는 표현이다. 일(에르곤)과 백성(라오스)의 합성어인 이 단어는 예배가 공동체의 일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예배는 일을 기본으로 한다. 한 사람의 일에 의해 이루어지는 예배가 아니라, 예배자 모두가 함께 일을 해야만 한다. 즉, 예배는 예배를 드리는 공동체가 주체적으로 예배를 드려야 한다. 설교자 한 명에 의해 선포되는 예배가 아니라, 예배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구체적인 참여를 통해서예배의 본질을 경험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회중들은 노동을 요구받게 된다. 노동이다. 일이 요구된다. 예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예배를 드리는 일 그리고 예배 후에도 예배와 관련된 일들이 지속적으로 있어야 된다. 필자가 속해 있는 감리교신학대학교 나눔의 예전 학회 학생들과 필자는 3일의 일정으로 예배 컨퍼런스를 준비하여 개최하였다. 일곱 번의 예배를 어떻게 기획하고, 무엇에 방점을 두었고 그리고 그 예배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