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눈꺼풀 악성종양의 임상 양상

        박하나,정수경,조원경,백지선,양석우,Ha Na Park,Su Kyung Jung,Won Kyung Cho,Ji Sun Paik,Suk Woo Yang 대한안과학회 2014 대한안과학회지 Vol.55 No.3

        Purpose: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alignant eyelid tumors in Korea.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73 patients with malignant eyelid tumors who were histologically diagnosed at Seoul St. Mary's hospital from April 2004 to September, 2012 and followed for 6 months or longer. Results: Of 73 cases, 41 (56.2%) were diagnosed as basal cell carcinoma, 17 (23.3%) as squamous cell carcinoma, 11 (15.1%) as sebaceous gland carcinoma, 3 (4.1%) as malignant melanoma, and 1 (1.4%) as basosquamous cell carcinoma.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68.4 ± 11.5 years. Tumors developed more commonly on the lower lid (54.8%). Most cases were treated by complete resection of tumors and eyelid reconstruction (95.9%).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was good, while that of the other tumors was relatively poor. Conclusions: The most common diagnosis was basal cell carcinoma (56.2%). Recurrence after complete surgical excision and reconstruction was uncomm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3):348-353

      • 혀의 재건을 위한 부피 및 표면적의 측정

        박하나로(Hanaro Park),김희진(Heejin Kim),정우진(Woo-Jin Jeong),안순현(Soon-Hyun Ah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1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7 No.1

        Purpose:Anterolateral thigh and radial forearm flap is the most important fasciocutaneous flap widely used for reconstruction of tongue. One important purpose of flap is replacing the volume of tongue but still there is no data about the surface area and volume to be reconstructed after glossectomy. In this paper, surface area and volume is estimated from the 3-dimensionally reconstructed MRI images to see which flap is more ideal and to give the reference value for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With coronal MRI image, tongue including only the intrinsic muscle is delineated in every section and reconstructed 3-dimensionally and calculated the volume and surface area to b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glossectomy. This volume and surface area was compared with the volume of anterolateral thigh and radial forearm flap. Results:The volume and surface area to be reconstructed in hemiglossectomy was 39.0±4.0cm 3 and 31.8±2.7cm 2 respec-tively. The average thickness of anterolateral thigh flap is 9.4±2.8mm and that of radial forearm is 3.8±1.0mm. Comparing the curve of tongue surface area and volume with the volume of flap,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has more ideal volume to replace the defect. Conclusions:The surface area and volume requested for reconstruc-tion could be suggested and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has more ideal volume for reconstruction of glossectomy defect.

      • KCI등재

        증례 : 위의 종괴 양상으로 재발한 골육종 1예

        박하나 ( Ha Na Park ),박준영 ( Jun Young Park ),이은영 ( Eun Young Lee ),박은정 ( Eun Jung Park ),이길선 ( Gil Sun Lee ),김은정 ( Eun Jung Kim ),민병훈 ( Byung Hoon Min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3 No.1

        골육종의 위장관 전이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보조적 항암치료의 도입 이후 골육종의 위장관 전이가 보고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위전이는 전 세계적으로 3예만 보고되었고 국내에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또한 수술과 함께 보조적 항암치료를 받은 골육종 환자에서 치료 종료 후 오랜 기간이지난 후에 발생한 지연성 재발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오래 전에 항암치료를 포함한 골육종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혈변이나 흑변과 같은 위장관 증상이 새로이 발생했을 때, 치료 후 장기간 동안 재발이 없었다 하더라도 골육종의 위장관 전이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저자들은 대퇴부 골육종을 진단받고 수술 및 항암치료 후 11년간 재발이 없었던 환자에서 발생한 위전이 재발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etastasis of osteosarcoma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very rare. How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intensive adjuvant chemotherapy, the number of reported cases of gastrointestinal metastasis has been increasing in patients with osteosarcoma. Only three cases of gastric metastasis have been reported to date, and no case has been reported in Korea. Delayed metastasis long after successful treatment can also occur in osteosarcoma, particularly in patients who rece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cal surgery. Hence, the possibility of gastrointestinal metastasis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hen patients with osteosarcoma present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melena or hematochezia, long after successful treatment, including chemotherapy. Here, we report a recurrent osteosarcoma presenting as gastric metastasis in a patient who underwent a radical limb salvage operation followed by adjuvant chemotherapy and who had no evidence of recurrent disease for 11 years.

      • KCI등재

        위락시설지역의 초기세척현상과 초기 강우-유출고 저류에 따른 저감효율 분석

        정재운 ( Jae Woon Jung ),박하나 ( Ha Na Park ),최동호 ( Dong Ho Choi ),백상수 ( Sang Soo Baek ),윤광식 ( Kwang Sik Yoon ),백원진 ( Won Jin Back ),범진아 ( Jin A Beam ),임병진 ( Byung Jin Lim ) 한국물환경학회 2013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9 No.5

        Nonpoint source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recreation park was investigated. Runoff ratio of recreation park ranged 23-57%, which was lower than other urban area since impervious area was less than 37%. The average BOD, COD, TOC, SS, T-N, T-P, were 14.09, 32.86, 12.19, 121.51, 7.78 and 0.72 mg/L, respectively. First flush of recreation park was analyzed by normalized cumulative load - volume curve and mass first flush ratio(MFFn), MFF10 for BOD, COD, SS, T-P, T-N, TOC were 2.90, 1.59, 2.15, 2.74, 2.60, and 1.59, respectively. Observed data showed that 62% of pollutant could be removed by storaging 5 mm rainfall-runoff and even 3 mm depth could store up to 50% of pollutant in runoff.

      • KCI등재
      • KCI등재

        대전지역 두 학교 인권이야기

        박하나(Park, Ha-Na),이지혜(Lee, Ji-Hye),설양환(Sol, Yang-Hwan),장원순(Jang, Won-So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 중등학교의 인권 문화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학교의 인권 문화를 구체적·심층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비교사례연구방법을 택하였다. 자료 수집은 2개교 20명의 연구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A학교는 인권교육을 인성교육으로 혼동하고 있었다. 학교운영은 소수가 비공실적 절차를 통해 결정하였다. 사립학교 맥락 안에서 가족 같은 인간관계를 형성하였고,‘해주는 것-따르는 것’의 상호작용을 하였다. 혁신적 수업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학생들의 참여가 제한되었다. B학교는 인권을 입시를 위해 제한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겼다. 의사결정은 협의가 아닌 설득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거부할 수 없는‘문화적 압박’이 있었다. 구성원 간 소통이 부재하여 현상에 대한 구성원 간 불일치된 인식이 많았다. 학생 중심 교육활동이 활발하였으나, 이는 입시를 위함이다. 따라서 인권친화적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해서 인권 개념의 정립, 인권의 우선성과 보편성 이해, 구성원의 자유권과 민주적 의사결정력의 강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 장려, 입시위주 교육구조의 개선, 구성원별 다양한 인권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uman rights culture in secondary schools in Dae-Jeon. Data were derived from comparative case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School A members confuse human rights with humanism. Leaders make decisions by informal process. They have relationships as a family within the context of a private school. Their interaction is ‘give and follow’.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innovative lessons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School B members think that Human Rights can be constrained for college admission. The few operate for school through persuasion. There is ‘invisible pressure’. Students participate in classes and clubs actively. But it is to prepare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concept, prior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reinforcing the right of liberty and autonomy,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reforming the structure of education. Above all, it requires human rights education suitable for school members.

      • KCI등재
      • KCI등재

        자전거전용도로의 통학목적 이용특성에 대한 실증 연구

        박하나(Park, Hana),김영석(Kim Youngsuk),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학목적의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특성을 밝히는 것이며, 서울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산분석과 통학도로와 자전거 전용도로의 이용률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전거를 통학 수단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보도, 버스 등 다른 통학수단과 비교하여 빠르고, 편리하기 때문이었다. 둘째, 자전거 통학 노선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설치 유무, 통행시간의 최소화 가능성 그리고 젓돌의 위험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자전거를 오래 타면 탈수록 사고나 젓돌의 위험에 대하여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전거 도로 설치 시 고려해야 되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셋째, 집에서 학교까지 자전거 통학권역은 1.6㎞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전거 노선 선택 특성 분석을 종합하면, 자전거 전용도로의 설치는 자전거 통학노선의 선택으로 바로 이어지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통학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해야 활용도가 높아지며, 보행자와의 젓돌이나 장애물이 많은 경우에는 선택되지 않았다. 또한 아무리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우회하는 노선은 거의 선택되지 않았고, 방향을 바꾸는 수를 최소화 하는 노선을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iking to school on the exclusive bike lanes through the survey to high school in Seoul.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reasons that students use a bike to school are because it is faster and more convenient than bus and walking.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 installation of exclusive bike lanes influences the bike route choice most, and the possibility of minimizing the time and the safety from the crash with pedestrians, obstacles, cars. The longer it is to bike to school, the more seriously student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llisions or accidents. Third, the catchment area of biking to school is 1.6㎞. Forth, the characteristics of route selection indicates that creating an exclusive bike lanes along the school routes often used by students can lead to maximizing its utility. Bike lanes are not chosen in case of the higher possibility of collisions with pedestrians, obstacles, cars, and the detour route. Also students tend to choose the bike routes in order to avoid excessive turns.

      • KCI등재

        성장기 부모간폭력목격 경험과 데이트성폭력피해의 관계 피해여대생 음주행동의 조절효과

        박하나(Ha Na Park),장수미(Soo Mi Ja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시기에 발생하는 데이트성폭력피해에 주목하고, 성장기 부모간폭력에 대한 목격경험이 데이트성폭력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여대생이 보이는 음주행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 31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로 첫째, 대학생의 데이트성폭력피해는 높은 수준이었다(성희롱피해경험 33.5%, 성추행피해경험 45.1%, 강간피해경험 4.4%). 둘째, 성장기 부모간폭력목격 경험은 인구사회학적, 관계적 변인 등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데이트성폭력피해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이었고, 셋째, 피해여대생의 음주량은 이 두 변인 간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데이트성폭력피해에 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관심을 촉구하고, 실천적·정책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female victim`s drink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witness and dating sexual violence. The participants were 319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dating experiences on Seoul, Gyeonggi and Chung-buk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dating sexual violence were very high(harassment 33.5%, molestation 45.1%, rape 4.4%). Family violence witness significantly effected dating sexual victimization and drinking behavior of victims had moderated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mental health professional should consider alcohol use a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dating sexual violence. And also discussed to develop preventive programs that target dating sexual violence among heavy drinking femal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앙네따 후빈의 작품에 나타난 스칸디나비아의 자연 표현

        박하나 ( Park Ha Na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논문은 자연 친화적인 북유럽의 정서와 스칸디나비아 자연환경 및 문화를 연구하고 그 고유의 특성이 나타난 섬유예술가 앙네따 후빈(Agneta Hobin)의 작품을 통해 환경과 자연의 영향이 어떻게 작품에 반영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스칸디나비아 섬유예술에 나타난 문화의 전형성을 탐구하고, 자연의 표현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전시회 및 역사적 문헌을 통해 스칸디나비아의 지형적·기후적 특징과 사회·문화적인 배경으로 나타난 스칸디나비아의 자연과 예술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현대 섬유예술가 앙네따 후빈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첫 째, 특정한 재료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실험하는 것은 작가에게 기술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예술성을 점진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따라서 재료의 탐색으로부터 이어진 작가의 미적 콘텐츠를 함의하는 작품은 많은 사람들에게 높은 인정을 받을 수 있다. 둘 째, 스테인리스 스틸, 브론즈 와이어와 운모를 사용하여 직조하고 벽면에 띄워 설치함으로써 생기는 제3의 공간은 빛의 위치와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조형적인 요소를 가미시킨 것이다. 표현 기법의 측면에서는 빛이 물질의 표면에 재생되어 스칸디나비아의 긴 겨울의 어둠의 특징과 빛을 흡수하는 핀란드의 숲처럼 차분한 느낌의 작품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내용적으로는 자국의 문화에 대한 긍지를 보여주는 작가의 의지가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셋 째, 자연 뿐만 아니라 작가의 문화적 체험도 중요한 요소이다. 문화의 유사성을 가지고, 비슷한 배경을 지닌 다른 예술 분야 혹은 다른 작가들의 작품에서는 민족적 뿌리를 인식할 수 있다. 앙네따 후빈은 삶과 문화에 나타나는 고유의 특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면서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기회를 보여주었다. This thesis researched North European nature-friendly sentiment and Scandinavian nature/culture focusing on the textile artist, Agneta Hobin``s works influenced by native environment and nature. In that way, this thesis studied cultural stereotype reflected on Scandinavian textile arts and investigated the method of expressing its own nature. The research was done by taking a close look on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Scandinavian nature and art which are shown in exhibitions and historical documents with relation to Scandinavian topographic and weather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n textile artist, Agneta Hobin``s works is as follows. First, using specific materials constantly and experimenting with them give lots of chances for an artist to develop in technical and at the same time in artistic aspects. Therefore, art works which contain an artist``s aesthetic contents, developed from profound search on materials, can be highly appreciated by many people. Secondly, the 3-dimensional space, created by installing the art works woven with stainless steel, bronze wires and mica on the wall with a gap, can maximize modeling effect and reflection of the light. This method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dark and long winter in Scandinavia and calm feeling of woods in Finland absorbing lights. And it also contains the artist``s strong pride on the culture of her own country. Thirdly, the artist``s cultural experience as well as the nature matters. We can also recognize national pride from other artists`` works with similar cultural background. Agneta Hobin provided an opportunity of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y expressing her own uniqueness shown in life an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