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gCO₃염의 적용을 통한 복합 기체 투과막의 이산화탄소 투과도 및 CO₂/N₂선택도 향상

        박철훈,박병주,김종학 한국막학회 2016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6 No.05

        A cost-effective, easy method for enhancing the CO2 permeance and CO2/N2 selectivity of mixed matrix membranes (MMMs) was fabricat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MgCO3 crystals. The MgCO3 crystals were homogenously dispersed in polymer matrices via mechanical stirring to prepare MMMs. In particular, an amphiphilic comb polymer (C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behenyl ether methacrylate (PEGBEM) and poly(oxyethylene methacrylate) (POEM) was shown to be ideal matrix becaus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its carbonyl oxygen atoms and MgCO3. Through SEM, HR-TEM, WAXS, DSC, FT-IR, N2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 measurements and Raman spectroscopies, the MgCO3 and CP/MgCO3 hybrids were characterized. The CP/MgCO3 MMM with 45 wt% MgCO3 exhibited the highest CO2/N2 selectivity of 93.8 and CO2 permeance of 30.9 GPU.

      • MgO 나노시트를 통한 은이온 안정성 향상 및 고분자 복합막의 프로필렌/프로판 분리 성능 증대

        박철훈,김종학 한국막학회 2018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8 No.11

        In this work, economical, facile and eco-friendly technology for gas separation was utilized, especially for propane and propylene. This materials are commonly used in petrochemical process as principle and base sources. In present state, adsorption or cryogenic distillation method are used for their separation, however, intensive energy cost and complex process are needed. In particular, we fabricated polymeric composite membrane with high scalability, propylene and propane gases are effectively separated. Whats more, Ag ion is pivotal materials with pi complexation effect. MgO nanosheet was incorporated for enhancing and activating Ag ion in polymer composite membrane. Lastly, Ag-friend polymer matrix was used for getting higher perm-selecetivity.

      • KCI등재

        SW 교육 훈련특성이 개인 특성과 교육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연구

        박철훈,이신복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0 No.2

        최근에는 교육 훈련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기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코딩이나 관련 교육들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되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 또는 실제 기업과의 연관성에 대한 부분들에 문제 점은 사회 현실적인 문제에 봉착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 훈련특성들을 세분화시켜 개개인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육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SW 교육 과정과 SW 교육 교수는 개인 특성 중 전공역량과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W 교육환 경은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특성은 교육 결과에 만족에는 모두 정(+)의 영향을 불만족에 는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W 교육 과정과 SW 교육 교수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 는 결과이며, SW 교육환경에 대한 부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결과로 보여진다. Today is the era tha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is emphasized. However, the problem of the issues on the question how the coding or related educations accor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e applied or utilized actually or that the correlation with the actual enterprises is facing with social and realistic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what imp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ha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y segment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rough which, this study examined what impact it ha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SW education course has positive (+) impact on the major compet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out of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and SW educational environment does not have nay impact.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have positive impact on all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outcomes and the negative impact on all the dissatisfaction of educational outcomes. These result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SW educational course and SW education teaching and deemed to be results to make us to think about the SW educational environment again.

      • KCI등재

        CaCO3을 이용한 혼합매질분리막의 이산화탄소 투과도 향상

        박철훈,정정표,이재훈,김종학 한국막학회 2018 멤브레인 Vol.28 No.1

        급진적인 산업발전에 따른 무분별한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하여 지구온난화, 이상 기후 등의 문제가 불거지고 있으며 이는 한 나라에만 국한되지 않은 국제적인 문제가 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에 대해 높은 친화도를 가지고 있는 PEGBEM-g-POEM 가지형 공중합체를 합성하였으며 CaCO3염을 첨가하여 염의 중량에 따 른 혼합매질분리막의 이산화탄소/질소 투과 성능을 관찰하였다. CaCO3염이 고분자 중량 대비 50% 첨가되었을 때 최적의 이 산화탄소/질소 분리 투과성능을 보였으며, 선택도는 염을 추가하기 전 44.7에서 45.42로 크게 변하지 않은 반면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염을 첨가하기 전 22.5 GPU에서 28.16 GPU로 약 25% 향상되었다. 이는 첨가한 염과 이산화탄소간의 상호작용으 로 인하여 향상된 고분자 복합막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염을 과량으로 첨가한 경우 에는 고분자가 복합막의 표면을 충분히 메우지 못하여 계면결함이 생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 기체 분리성능이 감소하였다. 기체분리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적정량의 염 첨가가 필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With vigorous development of petroleum and chemical industry, emission of carbon dioxide has attracted tremendous attention globally due to global warming problem and abnormal climate change. To address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a PEGBEM-g-POEM graft copolymer with high CO2 affinity was synthesized and CaCO3 was incorporated to form mixed matrix membranes (MMMs) for enhancement of CO2 permeance. By varying the addition weight of CaCO3 in MMMs, high separation performance of CO2 over N2 was obtained. At 50 wt% loading of CaCO3, the greatest separation performance was obtained with an enhanced CO2 permeance from 22.5 to 28.16 GPU and slightly increased CO2/N2 selectivity from 44.7 to 45.42. It resulted from the increased CO2 solubility of MMMs due to specific interaction between CaCO3 and CO2 molecules. Upon excess loading of CaCO3, MMMs exhibited loss of CO2 separation performance due to the formation of interfacial defects. Based on this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er addition of CaCO3 is crucial for improvement of CO2 separation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 사회적 기업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경영전략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철훈,김행열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3

        In Korea, the problems with the vulnerable class have emerged as part of reality due to people's increasing interest in and desire for welfare and growth without employment. Social enterprises are attracting more and more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e social issues through welfare based on social values. In Korea, social enterprises made their appearance, being driven by the roles of supplementing the functions of welfare in relation to government activities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tribution and the interest they attracted for job creation and social service for the socially vulnerable. Since their appearance, they have developed as projects to support the socially vulnerable with regard to the job creation projects of the government and the self-support communities in the private sector. However, the policy effects of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poor due to the rapid changes to the economic environment in spite of their ongoing increase since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came into effect in July, 2007.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such single variables a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common corporate organizations,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of social entrepreneurs on the business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ransforming leadership of social entrepreneurs on business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a causal model for the activation of social enterprises and thus provide data needed for the ongo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Furthermore, the study offered policy implications needed to run social enterprises efficiently, increase the continuance will of members, and raise social interest based on empirical analysis results. 한국은 국민의 복지에 대한 관심과 욕구의 증가, 고용 없는 성장으로 취약계층의 문제가 현실로 대두되어, 사회적 가치에 근거한 복지를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 기업은 정부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을 위한 활동과 관련해 복지기능을 보완하는 역할과 사회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서비스를 위해 관심을 받게 됨으로써 등장하였다. 이후 정부의 일자리 창출 사업, 민간차원의 자활공동체와 관련해 사회적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2007년 7월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시행을 통한 사회적기업의 계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해 정책적 효과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일반 기업조직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조직문화 등 단일변수를 통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업가의 리더십이 경영전략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의 변혁적 리더십이 경영전략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과모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기업의 효율적인 운용과 구성원들의 지속의지를 고취시키고 사회적 관심 제고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업 근로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완벽주의와 역할갈등을 통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철훈,이신복,박찬욱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9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9 No.5

        In this article, it was studied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ervice industry workers affected the service performances by perfectionism and role conflict in the service industry employees. This was to suggest the practical solutions on the emotional labor or job stress that the existi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were experiencing. Upon the study results, self-efficacy, hope, and resilience among the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to affect perfectionism and role conflict while optimism did not. Based on this study, the practices and problems of the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could be understood and it seems to improve and support their working environment to provide better services. In other words, these results mean to enhance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the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so as to provide the stakeholders of service industry or related institutions with the basic data.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업 근로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업 근로자들 개인의 완벽주의와 역할갈등을 통해 서비스 성과에 어떻게 미치는 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기존 서비스업 근로자들이 겪고 있는 감정노동이나 업무 스트레스 등의 문제점들을 실제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서비스업 근로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자본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희망, 복원력은 완벽주의와 역할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관성만 아무런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서비스업 근로자들이 가지는 실태와 문제점에 대해서 알 수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서비스업 근로자들의 근로 환경적인 부분들을 개선 및 지원 해야할 것으로 보여진다. 다시 말해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업 근로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복원력을 증진 시켜야 한다는것에 대한 부분을 의미하는 결과로 보여지며, 서비스업 관련자들이나 관련 기관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양친성 고분자가 그래프팅된 Poly(1-trimethylsilyl-1-propyne) 기반의 프로필렌/질소 분리막

        박철훈,이재훈,박민수,김종학 한국막학회 2019 멤브레인 Vol.29 No.2

        Hydrocarbons containing carbon double bonds are generally called olefins and it is extensively used in petro-chemical industry as essential base material. Especially, olefins are essential in polymer synthesis and thus the effectiv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olefins from gas mixture are very important and it give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uture industrial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fabricated polymeric composite membrane based on poly(1-trimethylsilyl-1-propyne) (PTMSP) for propylene/nitrogen separation and enhancement of its separation performance by grafting amphiphilic copolymer. Furthermore, to accelerate facilitated transport for propylene molecules, Ag salt (AgBF4) and ionic liquid (EMIM-BF4) was incorporated to polymer composite membranes. The neat PTMSP membrane exhibited extremely high gas permeance and low gas selectivity due to its high free volume. To address this issue, PTMSP was grafted with poly(ox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POEM) and poly(ethylene glycol) behenyl ether methacrylate (PEGBEM). Additionally, the additives such as AgBF4 and EMIM-BF4 further increased the propylene permeance, resulting in increment of propylene/nitrogen selectivity. 올레핀은 석유화학산업에서 대부분의 물질의 근간이 되는 핵심적인 물질이며 특히 고분자 합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올레핀 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가공하는 공정은 산업발전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올레핀물질 중 프로필렌 기체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여 투과 및 선택 성능을 증대시키고자 고투과성 매질인 poly(1-trimethylsilyl-1-propyne) (PTMSP)에 양친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개질하였다. 또한 올레핀 분자와 상호작용이 있는AgBF4 염 및 촉진수송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이온성 액체인 EMIM-BF4를 첨가하여 올레핀/질소 투과 분리 성능을 향상시켰다. 기존 PTMSP 복합막의 경우 굉장히 높은 자유부피를 가져 높은 기체 투과성능을 보이는 반면 투과시키고자 하는 기체에 대한 선택적인 분리 성능이 매우 떨어져 낮은 선택도를 보인다. 이를 극복하고자 양친성 고분자를 PTMSP 계면에 그래프트 공중합을 시켰으며 올레핀과 높은 상호작용을 보이는 AgBF4 염 및 EMIM-BF4 이온성 액체를 첨가하여 프로필렌/질소에대한 선택도를 향상시켰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