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반역자’ 만들기

        박창희 수선사학회 2024 史林 Vol.- No.88

        . The System of North Korea was created in the 1950s and 1960s. During this period of forming the system, the revolutionary change called socialist reform was overwhelming, but there were counter-revolutionary actions as well. This action was defined as counter-revolution and treason.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s traitor was created in the 1950s,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orth Korean system. During this period, a revolutionary change called socialist reform was being promoted in North Korea. Those who opposed this revolutionary change became traitors. Second, North Korea's traitors were creat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and intensifying the political conflict that occurred at the center of power. The socialist reform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escalation of the power conflict into a treasonable incident at the entire social level. Third, in the process of creating North Korean traitors, friction arose between the Korean Workers' Party and judicial institutions. This friction started from the issue of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hat is, how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y and judicial institutions, and continued to the debate about how to apply the law to people and actions opposing the revolution, and the nature of the North Korean regime. Finally, the creating traitors in North Korea, which began with the August Plenum Incident; went beyond human purges. It resulted in forming concept about treason in North Korean society. The law and history section was mobilized to form the concept and worked poignantly to make it.

      • 북한 핵보유 상황 하 한국의 신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 발전 방향

        박창희,홍기호,권태영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KRIS 창립 20주년 기념논문집 Vol.2017 No.10

        이 연구는 북한 핵 상황 하에서 한국이 추구해야 할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향후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되고 핵위협이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은 북한의 핵전쟁 도발을 어떻게 억제해야 하는지, 억제가 실패할 경우 어떻게 싸워이길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정부가 추구하는 정치적 목적인 통일을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의 군사전략은 정부가 추구하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어 보인다. 현재의 군사전략으로는 북한의 핵사용에 대한 대비가 미흡하고, ‘공세적 방위’ 개념에도 불구하고 주도적 전략이 아닌 반응적 · 수세적 전략으로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할 수 없으며, 적 주력 격멸보다는 지역 확보에 주안을 둠으로써 전쟁이 지연되고 희생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는 먼저 북한의 핵 및 미사일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 한미연합의 ‘총체적 맞춤형 억제전략’ 개념을 제시했다. ‘핵은 핵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북한의 전술핵 사용에 대비하기 위해 미군의 전술핵을 재배치한 상태에서 한국군의 3축 체제가 발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북한의 오판으로 전면전이 발발할 경우에 대비하여 한국군의 군사전략으로 ‘충격마비의 단기격멸전략’ 개념을 제시했다. 북한이 핵 및 미사일을 사용하더라도 한국군은 선제, 공격, 격멸, 기동을 중심으로 전쟁의 주도권을 장악하여 최소희생으로 정치적 목적인 통일을 달성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군의 군사전략을 이행하기 위한 합동작전개념으로는 ‘전 전장 네트워크 통합 신속 전승작전’을 제시했다. 이 작전개념의 핵심은 강건한 첨단 센서-슈터 네트워크 기반위에서, 신 전격전과 신 게릴라전을 복합하여, 전전장의 모든 전력과 활동을 동시병렬적 · 영억교차적으로 통합 운영하여 적의 중심을 선제적으로 일거에 와해 파괴 마비 무력화시키면서 신속결정적 승리를 도모하는 것이다. 한국의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은 한국의 안보와 국방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중심적 사고이자 핵심 콘텐츠다. 북한 핵 상황에 대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군사적 태세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군사전략 개념을 발전시키고 그에 합당한 작전개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2025년 상황을 상정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할 군사전략 및 작전개념을 제시한 바, 향후 지속적인 개념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uggests military strategy and operational concept which ROK military should prepare for North Korean nuclear threats. Main questions are how ROK military could deter NK’s nuclear provocations, how it can win if deterrence fails, and how it can contribute to achieve political purpose of reunification if war breaks out. Current ROK military strategy seems to have limits in accomplishing the government’s war aim. Current military strategy does not reflect the possibilities of NK’s nuclear use, and seems difficult to secure initiative as its posture is responsive and defensive rather than initiating one, thereby resulting in delaying war and increasing casualties. This research firstly suggests “comprehensive tailored deterrence strategy” to prevent NK’s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As the maxim of “nukes for nukes,” ROK military should develop three axis system with the condition of redeployment of US tactical nuclear weapons on the Korean peninsula. Secondly, this research suggests “rapid destruction with shock and paralysis” for the new ROK military strategy if war breaks out. Despite NK’s use of nuclear and missile, ROK military should take initiative at war focusing on preemption, offensive, destruction, and maneuver, thereby contribute to attain political objective of reunification with the least damages. Lastly, this research proposes the concept of “all battlefield networked & integrated rapid win operation” to implement military strategy, which combines neo-blitzkeirg and neo-guerrilla warfare on the battlefields. ROK military and operational concepts are core pivot to prop up Korean security and defense. To maintain effective military posture against NK’s nuclear threats afterwards, it is important to develop military strategic concepts and refine operational arts. In this regard, we expect more research on future ROK military strategy and operation will be made continuous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군사관계 30년: 회고와 전망, 그리고 발전방안

        박창희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2 국제지역연구 Vol.31 No.2

        South Korea and China have been conducting military exchanges in various fields over the past 30 years. It has conducted mutual visits by high-ranking military personnel, high-level dialogues and working-level meetings, concluding defense- related agreements, establishing a hot line between naval and air forces units, and conducting search and rescue exercises between the naval forces of the two countries. However, South Korea-China military relations have fluctuated due to changes in the security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outh Korea-China military relations, which have developed steadi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were cut in 2010 following the North Korean attack on the Cheonan and shelling of Yeonpyeong Island. It got worse again since the deployment of THAA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attempted to improve relations with China by referring to the “three nos”, but military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not yet been restor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ilitary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very weak foundation. Amid the formation of a ‘new Cold War current’, the future prospects are not very bright. In times like these, Korea needs to stick to the basics rather than demanding unreasonable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China and obsessing over it. We have to go back to principles and start over with the basics, and only when such a foundation is sufficiently established will we be able to develop a viable and lasting military relationship. 한국과 중국은 지난 30년 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군사교류를 진행해 왔다. 군 고위급 인사들의 상호방문, 고위급 대화 및 실무회의, 국방관련 협정 체결, 해공군 부대 간 직통전화(hot line) 설치, 그리고 양국 해군 간 수색구조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한중 군사관계는 한반도 안보상황의 변화에 따라 부침(浮沈)을 거듭해 오고 있다. 수교 이후 꾸준히 발전했던 한중 군사관계는 2010년 북한의 천안함 공격과 연평도 포격 도발을 계기로 잠시 단절되었고, 2011년 5월 국방장관 회담을 통해 회복된 양국 관계는 2016년 7월 한국정부가 사드 배치를 결정하면서 다시 악화되었다. 문재인 정부는 3불(三不)을 언급하여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지만 아직까지 양국의 군사관계는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한중 군사관계는 그 기반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신냉전적 기류’가 형성되는 가운데 앞으로의 전망도 그리 밝지 않다. 이럴 때일수록 한국은 중국 과 무리한 관계개선을 요구하고 집착하기보다는 기본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원칙으로 돌아가 기초적인 것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며, 그러한 기초가 충분히 다져졌을 때 비로소 실현 가능하고 지속적인 군사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이후 북한의 고아정책과 그 성격 - 1945~50년을 중심으로 -

        박창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3

        Around the time when two governments were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liberation in August 1945, orphans in North Korea became the subject of national protection. The socialists who led the North Korean regime recognized orphans as a product of contradictions in capitalist society and as beings abandoned due to the monopoly of the capitalist class. In addition, childre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ere recognized as 'damaged' beings who failed to achieve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emotionally and physically in the oppression of feudal families and society, in addition to the abuse and exploitation of colonial power and capitalists. Therefore, the issue of orphans was an important task that must be resolved in the process of national construction for the North Korean regime, which advocated the liquidation of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destruction of capitalist contradictions. To solve the orphan problem, the North Korean regime made it clear that it would basically guarantee the same life and education to orphans as children with parents in the society of liberated democratic Korea. The North Korean regime recognized children who grew up abnormally in the “gloomy environmen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s objects in need of protection and fostering at the national level, whether orphans or not. It was an expression of the will to overcome the overall abnormality of colonialism and practice the ‘normality’ of liberation. Accordingly, the North Korean regime implemented a policy of providing comprehensive support to orphans in all aspects of daily life, includ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medical care, health, school education, ideological education, and cultural life. This was a policy pursued with the aim of guaranteeing orphans a life without ‘discrimination’ with parents and families. The North Korean regime selected children with “healthy consciousness and body” among the bereaved children of anti-Japanese revolutionaries, and protected and raised them in academies for bereaved children of revolutionaries. The students of this academy received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rivileges in the fields of admission, enrollment, graduation, and career. The basis for special benefits was the sacrifice of parents who fought against colonial ru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participated in the nation-building movement. It was in line with the national task of the time: the liquidation of colonial remnant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nation. However, the admission regulations and management policies of academies for bereaved children of revolutionaries reflect the following discriminatory perceptions. First,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unsound ideologies cannot contribute to the nation-building movement. Second,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unsound ideologies cannot become executives in the political and military sector, which is the backbone of power. 1945년 8월 해방 이후 한반도에 두 개의 정부가 수립되던 시점을 전후하여 북한 지역의 고아들은 국가적 보호 대상이 되었다. 북한 정권을 주도하고 있던 사회주의자들은 고아를 자본주의사회가 가진 모순의 산물로, 자본계급의 독점으로 인해 버림받은 존재로 인식하였다. 아울러 일제 치하 아동들은 식민권력과 자본가의 학대와 착취에 더하여, 봉건적인 가정과 사회의 억압 속에서 정서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이루지 못한 ‘손상’된 존재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고아 문제는 일제 식민잔재의 청산과 자본주의적 모순의 타파를 내세운 북한 정권으로서는 국가건설 과정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였다. 고아 문제 해결을 위해 북한 정권은 해방된 민주주의 조선의 사회에서 고아들에게 기본적으로 부모가 있는 아동과 같은 생활과 교육을 보장할 것임을 천명했다. 북한 정권이 일제 치하의 ‘암담한 환경’ 속에서 비정상적으로 자라온 어린이들을, 고아이든 아니든 국가적 차원의 보호와 육성이 필요한 대상으로 인식했다는 것은, 곧 식민지라는 총체적 비정상성을 극복하고 해방의 ‘정상성’을 실천하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이에 따라 북한 정권은 고아들에게 의식주를 비롯한 의료, 보건, 학교교육, 사상교양, 문화생활 등 일상의 모든 측면에서 전방위적 지원을 해주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는 고아들에게 부모와 가정이 있는 아이들과 ‘차별’이 없는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된 정책이었다. 북한 정권은 항일혁명투사의 유자녀 중에서 ‘의식과 신체가 건전한’ 아이들을 선발하여, 혁명자유가족학원에서 보호‧육성하였다. 혁명자유가족학원의 학생들은 입학‧재학‧졸업‧진로에서의 정치‧경제‧사회적 특혜와 특전을 받았다. 특별한 혜택의 근거는 일제강점기 식민지배에 저항한 부모들의 희생과 건국사업에 참여한 부모들의 희생이었다. 친일청산과 자주적인 독립 국가 건설이라는 당대의 민족적 과제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혁명자유가족학원은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거나 사상적으로 ‘건전’하지 못한 경우 국가건설에서 일반 사람들과 같은 수준의 ‘기여’를 할 수 없는 존재로 인식했음은 물론 북한 권력의 중추인 정치‧군사부문의 간부가 될 수 없는 존재로 규정하고 있었음을 반증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