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분방법에 따른 품종별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및 소화율

        박지영,이석기,박혜영,최혜선,조동화,이경하,한상익,조준현,오세관,Park, Jiyoung,Lee, Seuk-Ki,Park, Hye-Young,Choi, Hye-Sun,Cho, Dong-Hwa,Lee, Kyung Ha,Han, Sang-Ik,Cho, Jun Hyeon,Oh, Sea-Kwan 한국작물학회 2017 한국작물학회지 Vol.62 No.3

        Rice flours from five rice (Oryza sativa L.) varieties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 were prepared by both wet and dry milling processes. The moisture content of wet-milled rice flours (WMR) was approximately three-times higher than that of dry-milled rice flours (DMR).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ility index (WSI), and swelling power (SP) increased in proportion to temperature. The WAI, WSI and SP values of DMR were higher than those of WMR. Baeokchal (BOC), which is a waxy rice cultivar, had a significantly high WSI value. Pasting properties of DMR, except for the BOC cultivar, resulted in an increase in peak, trough, final, and setback viscosities. The levels of resistant starch in four cultivars, except for Dodamssal (DDS), were under 1%, irrespective of the milling process, whereas the resistant starch contents of DMR and WMR in DDS were 9.18% and 6.27%, respectively. In vitro digestibility of WMR was higher than that of DMR, and the estimated glycemic index of the rice flour varieties ranged from 57.6 to 81.3. Damaged starch content of WMR was less than that of DMR; in addition,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mylose and damaged starch contents of WM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vary depending on the milling method and flour variety, and could be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processing metho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도서관 및 지역 특성이 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김기영,Park, Jiyoung,Kim, Giye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3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인이 겪는 편견과 차별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다문화 인식이 고양될 필요가 있으며, 공공도서관은 시민이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과 기회를 넓혀 나가는 문화 교류의 장으로 시민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및 지역의 특성에 따라 공공도서관 일반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어떤 특성이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별로 도서관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도서관 특성이 이용자의 다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전반적인 서비스 제공에 있어 문화다양성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o resolve the problem that multicultural people in Korea suffer from difficulties especially wit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cultural diversity in communities in Korea through cultivating multicultural awareness among non-multicultural people. In this vein, public libraries, as cultural exchange institutes, can affect multicultural awareness of the peopl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and their local communities are related to the users' multicultural awareness. The study found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of library user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but not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It is suggested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consider cultural diversity on overall library services for their general users to support their multicultural awarenes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건강 관련 중재연구의 동향 분석

        박지영,백수연,임미해,Park, Jiyoung,Baek, Suyon,Im, Mihae 한국아동간호학회 2018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health-related interventions on children attending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which are part of a health policy to provide after-school care for vulnerable children in South Korea. Methods: From 2007, 109 papers were analyzed using the scoping study method. Results: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steadily between 2007 and 2016. Most studies were based on the social sciences, and the participants were main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interventions with socio-psychological indicators as measurements. In addition, only a few studies had a clearly defined conceptual framework. The majority of studies did not explicitly indicate that they followed ethical consideratio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related interventions for children attending CCC centers using diverse subjects, types, and evaluation methods, along with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research methodology.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clearly articulate and implement ethical considerations in research targeting vulnerable children.

      • KCI등재

        기억장치로서의 단카 - 일본사회의 집단기억과 정체성 형성의 기제 -

        박지영 ( Park Jiyoung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5 No.-

        본 연구는 일본의 기억문화에서 단카가 어떤 역할을 하며, 또 그 형식이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지, 장르적 본질에 입각하여 탐구한 것이다. 먼저 그 연원인 『만요슈』가 근대 국가 성립기에 정전으로 규정된 이후 집단에 공유되는 ‘문화적 기억’을 담당해 왔다는 점을 확인했다. 『만요슈』에 의해 공유되고 전승되어온 기억은 각 시대의 필요에 따라 재구성되었지만, 변하지 않는 점은 고대 일본인의 삶을 전해주며 기원을 상기시키는 텍스트로서 일본인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다는 점이다. 그 모방으로서 ‘○○만요슈’의 이름으로 지속적으로 기획된 앤솔로지들은 각 시대의 삶을 단카로 집적하여 전달하고자 한 것으로, 문화적 기억을 전달해온 『만요슈』의 외피를 입은 ‘기억 저장소’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들이 기억을 보관하고 전승하는 메커니즘은 단카 형식 자체가 지닌 압축성과 기록성, 근대 이후 사생을 창작원리로 삼아온 사실성, 기회시적 특성을 활용한 시사성, 일반인이 널리 참여하는 민중성을 통해 설명할 수 있었다. 특히 같은 체험을 기록한 단카들이 집적되고 특정 컨텍스트 아래 배열될 때 중층적인 의미구성이 일어나며, 이러한 서사적 확장가능성을 통해 개인의 기억이 집단 기억으로 전입될 수 있다는 것을 구명했다. This study searches for what role Tanka in Japanese memory culture, and how its form works, based on the essence of the genre.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origin of Manyoshu has been in charge of the ‘cultural memory’ shared by the group since it was designated as a ceasefire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nation. The memories shared and handed down by Manyoshu have been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needs of each era, but the point that has not changed is that it has formed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as a text that conveys the life of ancient Japanese and reminds us of the origins. As an imitation, the continuously planned anthology was intended to convey the lives of each era by aggregating in a Tanka, it could be understood as a ‘memory store’ in Manyoshu, which has conveyed cultural memories. The mechanism by which they are stored and transmitted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ompressibility and recordability of the Tanka form itself, the factuality that has taken sketching as a creative principle since modern times, the suggestion taken advantage of opportunity poem characteristics, and the popularity with widespread participation by the public. In particular, when the Tanka recorded of such them is accumulated and arranged as a specific context, a multi-layered composition of meaning occurs, and through this narrative expandability, individual memories can be transferred in collective memory.

      • 벨라 바르톡의 미크로코스모스(Mikrokosmos) 세 작품에 나타난 Octatonicism

        박지영(Jiyoung Park)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0 No.3

        옥타토닉(Octatonic)이라는 용어는 온음과 반음을 번갈아 사용하는 스케일 혹은 음열집합(pitch collection)을 뜻하는 것으로 19세기 중반부터 리스트를 시작으로 하여 스트라빈스키, 바르톡, 메시앙과 같은 무조음악 작곡가들에 의하여 사용되었다. 옥타토닉 스케일은 부분적ㆍ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초기 단계와는 다르게, 최근 이론가들에 의하여 분석된 작품들에서는 사용되는 스케일의 종류, 스케일의 분할방법, 옥타토닉 스케일이 전체 악장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옥타토닉 스케일이 자주 인용되는 바르톡 미크로코스모스 소품 중 세 작품(Hands Crossing, Diminished Fifth, From the Island of Bali)을 발췌하여 이들 작품에서 나타니는 옥타토닉 스케일의 종류와 완성과정, 스케일의 분할 방법, 그리고 스케일 선정과 분할방법이 곡의 형식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바르톡의 미크로코스모스 소품 중 발췌 분석된 세 곡이 제시하는 것은, 세 곡이 모두 옥타토닉 스케일에 기초하여 작곡되었지만 직곡가가 전체 악장에서 스케일을 다루는 법, 스케일의 분할 방법 등은 서로 다르게 전개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세 종류의 옥타토닉 스케일을 모두 한 악곡에 도입하는 반면, 동일한 스케일과 분할방법이 악곡 전체에 채택된 경우에는 퍼뮤테이션을 통한 주 선율의 변주가 주요 발전 방법이었다. 집합이론적 분석 접근은 발췌된 세 곡에서 옥타토닉 스케일의 분할 방법, 주요 set의 이조ㆍ전위 관계, 음열 간의 연관성(subset관계), 곡의 형식을 조명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Since the mid-nineteenth century, composers, including F. Liszt, I. Stravinsky and others, have gradually begun to explore either partial or complete octatonic scale in their compositional works. From the 1980s octatonicism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by many music theorists, particularly in its partition of the octatonic pitch collection into various pitch-class sets. Many works of Bartok illustrate that his penchant to choose octatonic scale, and the scale lies in the central to organize and develop pitch materials. Three pieces from Bartok's Mikrokosmos-Hands Crossing, Diminished Fifths, and From the Island of Bali-are analyzed in order to reveal how the composer's choice of octatonic scales has effect on organizing an entire piece in terms of pitch materials, completing scale patterns, and defining formal distinctions. The analytical methods of pitch-class set theory and twelve-tone theory are used to serve this aim.

      • KCI등재후보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사회 위기의 경제성평가 개념모형

        박지영 ( Jiyoung Park ),조동인 ( Dongin Cho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1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재난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여 사회·경제·문화·환경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세밀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재난발생에 따른 경제성 피해를 평가할 수 있는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여, 한반도 재난관련 빅데이터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합하고, 재난발생가능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밀하게 정량화 하고자 한다. 재난발생의 경제성평가를 위한 여러 정량적 모형들이 통합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경제성평가 통합모형의 개념적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여러 문헌과 사례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자연재난의 경제적 평가모형을 조망한다. 둘째, 이를 바탕으로 기후환경 리스크의 경제성평가 개념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제안한 개념모형의 실질적 구축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여 완성된 개념모형을 개발한다. 이러한 경제성평가 개념모형은 다양한 정책적 제안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국가 재난대응역량을 고도화하기 위한 재난안전 연구개발 종합계획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자연재해가 국경을 초월하는 특성상, 여러 나라에 전파하여 일관성 있는 글로벌 평가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진적 표준화에 앞장설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that quantitatively assesses economic impacts on various Korean contexts including societies, environments and economies stemming from climate change. While experiencing numerous disasters, the absence of rigorous models that could quantify various impacts stemming from natural or man-made disasters has mad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difficult to financially allocate their resources to targeted regions and sectors. This framework considers various disaster risks that provide risk probabilities and are combined with data collected from historical events and/or surveys. To analyze various events, this conceptual framework needs to includ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Via iteration process, numerous anti-disaster policy scenarios will be tested and cumulated into database if effective to policy implementations. This framework suggests an integrated, systematic assessment approach that quantifies disaster damages, classifying the disaster types, impacted regions and impacted sectors. Based on this framework, therefore, various policy suggestions can be prepared and compared so they are promptly implemented to a future disaster. Hence, it will be effective to apply for an emergent event.

      • KCI등재

        동화책을 활용한 결말 상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Park, Jiyoung),박한숙(Park Han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동화를 활용한 결말 상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실험을 위하여 부산시 소재 P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 60명 중 실험 집단 30명, 통제 집단 30명을 표집하였다. 동화를 활용한 결말 상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경원(2006)이 개발한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6주 동안 동화를 통한 결말 상상활동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사이에 유아의 창의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의 창의성 척도별 하위 영역 중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창의성 영역별 하위 요인인 언어 창의성, 도형 창의성, 신체 창의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화를 활용 한 결말 상상활동은 유아들에게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on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rough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four-year-old children from P Kindergarten which located in Busan. This group included 30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30 children of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showed higher overall scores than the children who wer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ity.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program of story book ending imagination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language creativity, figure creativity, physical crea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ity.

      • 중단파장 영역의 색채계열에 대한 고령자의 시지각 변별력에 관한 연구

        박지영(Jiyoung Park),곽상훈(Sanghoon Kwak),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1

        본 연구는 색지각 오인율이 높은 중단파장 영역의 색채계열에 대한 실제 고령자 시각에서의 색 변별력을 일반성인과 안질환 및 눈의 노화 정도, 백내장 수술 여부 등에 따른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성인 및 고령자 모두 동일한 뉘앙스에서 색상 혼합 비율이 10% 이상 차이 나면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하여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뉘앙스를 가지는 색채에서 시인성 확보를 위한 배색 시에는 색상 혼합 비율이 적어도 20% 이상 차이 나도록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