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atent Class Modeling for Nested Data : Introduction to Multilevel Latent Class Model

        Jungkyu Park(박중규),Changhwan Shin(신창환)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0 연구방법논총 Vol.5 No.3

        잠재변수를 포함한 통계모형의 기본적인 가정은 개인의 응답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관찰치가 상위 수준의 집단에 속한 다층 구조에서 수집된 자료의 경우에는 동일한 집단에 속한 관찰치의 응답 간 상관이 발생하므로 독립성 가정이 충족되지 않는다. 비모수 다층잠재계층 모형은 집단수준의 범주형 잠재변인을 가정하여 동일한 집단에 속하여 발생하는 응답 간 상관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본 논문은 잠재계층분석 모형과 무선효과 모형을 통합한 비모수적 다층잠재계층 모형을 소개하고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과 집단수준에서 최적의 잠재계층의 수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논의한다. The fundamental assumption in any latent variable model is that observations are independent of one another, given the latent status. However, this assumption is often inadequate when observations are nested within higher-level units because such nested data structures induce dependencies in data. The nonparametric version of the multilevel latent class model (MLCM) is an extension of latent class model (LCM) in which the dependencies in data are accounted for by discrete latent variables. This paper aims to review models with discrete latent variables and introduce the MLCM which integrates LCM and random effect model. The model selection issue in the MLCM is also discussed with an empirical example.

      • KCI등재후보

        Indeterminate Feature of Parameter Estimation in Multilevel Categorical Latent Variable

        Jungkyu Park(박중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본 논문에서는 다층 잠재계층모형에서 모수의 구조적인 비확정성에 대해서 다룬다. 먼저 다층 잠재계층에서 non-full-rank, independent, permutation indeterminacy의 세 가지 경우에 대해 소개하고 각각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모수의 비확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모수의 비확정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수리적인 예시를 제시한다. 논의에서는다층 잠재계층모형을 이용해서 자료를 분석할 때 구조적 불확정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덧붙여, 연구자가 선택한 최종모형이 적절한 잠재 구조를 가졌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Structural indeterminacy among the multilevel discrete latent variables in the multilevel latent class model (MLCM) is discussed in this paper. Three scenarios - non-full-rank, independent, and permutation indeterminacy - are presented with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roofs of each structural indeterminate case. Numerical examples are also included to provide intuitive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tructural indeterminacy. The awareness of the structural indeterminacy in applying the MLCM to data is highlighted in the discussions. Researchers are giving examples and directions to check for problematic structures to ensure their final model has a theoretically sound latent structure when modeling data with multilevel discrete latent variables.

      • KCI등재

        문헌정보학 및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의 학술지 선정요인에 대한 측정 동일성 검증

        이종욱,박중규,양기덕,오동근,Lee, Jongwook,Park, Jungkyu,Yang, Kiduk,Oh, Dong-Ge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는 국내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의 국제화 전략 개발의 일환으로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학술지 선정요인 모형이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일반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학술지 선정요인에 대한 측정 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사회과학 분야 SSCI 및 Scopus 등재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한 연구자 146명으로부터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다. 문헌정보학과 사회과학 연구자 집단 간의 측정 동일성을 분석한 결과, 형태 동일성과 부분 측정단위 동일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집단에 걸쳐 학술지 선정 요인구조가 동일하고, 유사한 요인부하량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부차적으로 집단별로 학술지 선정요인 지표변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동료평가와 주요 색인 데이터베이스 등재 여부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출판사나 학회가 양질의 논문을 투고 받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학술지 품질을 개선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part of effort to develop the strategies of internationalization of social science academic journals in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journal selection criteria across the group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ers and social science researchers. The authors collected 146 survey responses from researchers who have published at least one paper in SSCI/Scopus-indexed social science journals between 2014 and 2016.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figural and partial metric invariance of the journal selection criteria held across the two groups, implying that the model of journal selection criteria is appropriate to use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s well a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dditionall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journal selection criteria indicators in the two groups, and it was shown that researchers in both groups considered peer review and indexing in major databases import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publishers or academic societies to develop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ir journals.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을 활용한 요양시설의 변혁적 리더십, 조직문화와 이직의도의 관계

        신창환(Changhwan Shin),박중규(Jungkyu Par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3

        리더십과 조직문화는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중요한 조직의 관리수단으로서 지속적인 학문적 관심대상이었으며 경험적 연구들은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요양보호사의 높은 이직률은 서비스 질과 안정적 조직 관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조직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인식하는 조직문화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들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집단과 변혁적 리더십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요양시설의 조직문화는 네 개의 프로파일로 구분되었으며, 변혁적 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강도가 높고 발전문화가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파일에 포함되었으며,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문화 프로파일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문화강도가 높고 발전문화 중심의 조직문화 프로파일의 이직의도가 다른 프로파일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요양시설에서 조직관리 전략으로서 변화와 비전을 추구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와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강한 조직문화의 형성이 중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ing home. First, we identifed the care-givers’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Subsequ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profiles and several auxiliary variables, includ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erived four distinct profiles were identified with different culture strength and orientation. Moreov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culture profiles, while the effect of the culture profiles on turnover intention was also significant. Final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urned out to reduce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창의적 인지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허주연 (Juyeon Heo),박중규(Jungkyu Park),강효신(Hyo Shin Kang),김초복(Chobok Kim) 대한사고개발학회 2024 사고개발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에 핵심적인 인지기능의 구성요소를 밝히고, 이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인 창의적 인지 평정척도(Creative Cognition Rating Scale, CCRS)를 개발 및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 1에서는 창의적 인지에 관한 문헌 검토를 통해 주요 요인을 추출한 후, 창의성과 인지 통제의 관계를 반영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CCRS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탐색/인출’ 9문항, ‘전환/결합’ 5문항을 포함하는 2요인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2요인 구조의 타당성은 독립적인 표본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재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자기보고식 척도와 행동과제를 사용하여 CCRS의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기보고식 척도 간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CCRS는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 성취의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인지 통제 척도와 높은 관련성을 나타냈다. 또한, 창의성 행동과제인 대안 용도 과제의 수행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CCRS의 두 하위요인이 각각 창의성의 다른 측면과 관련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척도가 창의성의 인지적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CRS의 의의와 본 연구의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re cognitive factors of creativity and to develop the Creative Cognition Rating Scale (CCRS). In Study 1, core factors of creativity were extracted by reviewing previous review articles dealing with creative cognition, and items based on the factors wer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ognitive control. The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wo-factor structure with 9 items for 'Exploration/Retrieval' and 5 items for 'Switching/Combination' was valid for the scale. The subsequ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confirmed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CCRS. In Study 2, the validity of CCRS was verified using self-report scales and behavioral task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report scales, CC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of creative idea generatio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lso, CCRS was highly related to cognitive control scales. In addition, the analysis using the Alternative Uses Tasks, the behavioral tasks of creativity, showed that each factor of CCRS was related to creativity scores in different way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new scale would be an effective and valid tool for evaluating different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