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궁중정재 국악 감상 단원 고찰

        박주만 민족음악학회 2023 음악과 민족 Vol.- No.65

        본 연구의 목적은 궁중에서 연회나 의식 때 추던 춤인 궁중정재를 활용한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감상 단원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검정 3~6학년 음악 교과서 8종을 분석하여 궁중정재 감상곡의 종류, 출현 횟수, 학습내용, 시각적 자료의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등 음악 교과서 8종에 제시된 궁중정재 악곡은 <포구락>, <학무(학연화대합설무)>, <춘앵전>, <향발무>가 있었으며, 중심적인 학습 목표와 활동으로는 궁중정재 감상곡 이해하기, 춤 어울림 느낌 감상하기, 춤 따라 표현하기 등이 있었다. 또한, 시각적 학습 자료는 감상곡 궁중정재의 연주 모습 그림, 악기를 나타낸 사진, 감상곡을 활용한 놀이 방법 삽화, 반주 악곡의 가락선 악보 및 장단보 등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를 통한 연구의 제언으로는 초등학생들에게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다양한 궁중정재 감상곡의 개발이 필요했고, 학습활동과 시각적 자료 측면에서는 궁중정재의 특징을 살린 창의적이고 다양한감상 활동의 제시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 궁중정재를 활용한 감상 수업이 활발히 적용되어 학생들이 궁중정재를 통해 국악과 전통춤의 우수성 및 예술성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국악교육에서 음악적 반응을 위한 감상수업 모형 연구

        박주만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1

        Gukak(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is the behavior of understanding and enjoy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at gukak has. And it is to perceive and respond to the components and concepts that music consists of. In this sense, the key point of gukak appreciation education is to have students experience the gukak elements that the appreciation songs contain through direct activities and respond to them meaningfully so that they can have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feel the pleasure from it. Thereupon, for the active appreciation teaching of elementary gukak education, this study devised the appreciation teaching steps emphasizing musical responses and the teaching model corresponding to them. As a result, for gukak appreciation learning for musical responses, this paper devised the gukak appreciation teaching model with the hierarchy of 5 steps: the sensible step, physical expression step, visual step, understanding step, and internalization step.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response-centered gukak appreciation teach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learning plans applicable to appreciation class at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song titled as「Daechuita」. About the educational effects expected from the musical response-centered gukak appreciation teaching model suggested he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gukak elements that the song contains more meaningfully and also hav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gukak based on the accumulated gukak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Moreover, it is also expected to improve music appreciation ability and make achievements in gukak through valuation and internalization. 국악 감상은 국악이 갖고 있는 미적 특징과 의미를 이해하고 즐기는 행위로 이는 음악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요소와 개념을 지각하고 반응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국악 감상교육의 핵심은 감상곡이 담고 있는 국악적 요소를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경험하게 하고, 그에 따라 유의미한 반응을 하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미적 경험과 즐거움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국악교육의 능동적인 감상지도를 위해 음악적 반응을 강조한 감상 지도단계와 그에 따른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적 반응을 위한 국악 감상학습을 감각적 단계, 신체 표현적 단계, 시각적 단계, 이해적 단계, 내면화의 5단계로 위계화한 국악감상 수업모형을 구안하였고,「대취타」곡을 바탕으로 초등 감상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한 음악적 반응 중심 국악 감상 수업모형으로 기대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로는 악곡이 담고있는 국악요소를 보다 의미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축적된 국악적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국악을 통한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음악 감상 능력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으며, 가치화와 내면화를 통해 국악적 성취도 이루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의궤 그림을 활용한 초등학교 통합형 국악 감상수업의 설계 및 적용

        박주만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4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apply a lesson plan of an integr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Eugye Do, which is a cultural heritage that records full details of various ceremonies in major royal or national events of the Joseon Dynasty era. To this end, the learning objective and basis for the contents were prepared based on advanced research, curriculum, and textbooks related to Eugye. Based on the musical contents set out in Eugye, the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learning with another academic subject. Using Eugye, the integr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signed as a five-hour class. The main activity of the first hour is to learn about Eugye and its value and characteristics as a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second and third hours, students imagine the court dance play that appears in Eugye, watch a related video, and participate in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Also, during the fourth and fifth hours, they make simple tools that are used in the court dance of Eugye and work in groups to present bodily expression to music accompaniment. The lesson plan designed in this way was applied in a classroom of 5th grade students to examine the usefulness and meaningfulness of the lesson.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에 왕실이나 국가의 주요 행사에 여러 가지 의례와 전모를 소상하게 기록한 문화유산인 의궤의 그림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통합형 국악 감상수업의 방안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궤 관련 선행연구와 교육과정,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안의 학습목표 및 내용의 근거를 마련하였고, 의궤에 제시된 음악적 내용을 기초로 하여 타 교과 영역과의 통합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의궤그림을 활용한 초등학교 통합형 국악 감상수업 설계의 실제는 총 5차시로 구성하여 개발하였고, 1차시의 중심활동은 의궤에 대하여 알아보고 문화유산으로의 가치와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며, 2~3차시는 의궤 속 정재의연희 모습을 상상하고 동영상을 통해 감상하기와 창의적인 표현 활동을 한다. 또한 4~5차시에서는 의궤 속 정재에 쓰이는 간단한 도구를 직접 만들어 모둠별로 반주음악에 맞추어 신체표현을 하고 발표하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학습방안은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학교현장에 적용하여 수업의 유용성과 유의미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국악 동아리 수업 운영사례 연구: 해금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박주만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ual cases of operating the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in the Haegeum club targeting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set up a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activities of the Haegeum club and developed and operated a stepwise Haegeum teaching · learning program for group teaching. The participants are 15 students (6 boys & 9 girls) in the Haegeum club at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cheon, Gyeonggi, and the research lasted for a year from March till December, 2021. Materials adopted for research were participatory observation on club activities, videos of the class, class journals, activity sheets, reviews, portfolios, and in-depth interviews, and so no, and to analyze the materials collected, case record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interest and pride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raditional culture were elevated, their challenging spirit could be enhanced through new musical experienc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learning attitudes towards it were changed positively. Also, ensemble activities did raise their community consciousness and influence their practice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 part of life, and it provided positive experience for their capability in the music subject in general.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한 해금 동아리 국악수업 활동의 실제적인 운영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해금 동아리 활동을 위한 학습환경을 갖추고집단지도를 위한 단계적 해금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이천 D초등학교 해금 동아리반 학생 15명(남 6명, 여 9명)이며, 연구 기간은 2021년 3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자료는 동아리 활동을 통한 참여관찰, 수업 동영상, 수업일지, 활동지, 소감문, 포트폴리오, 심층 면담 등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자료 분석은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국악 및 전통예술에 관한 흥미와자긍심이 높아졌고, 새로운 음악적 경험을 통해 도전정신을 신장시킬 수 있었으며, 국악에 대한 이해력과 학습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합주 활동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 및 국악의 생활화 실천에도 영향을 미쳤고, 음악교과 역량 전반에 긍정적인 경험을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 국악교육을 위한 경기민요 시김새 연구

        박주만 한국음악교육학회 2013 음악교육연구 Vol.42 No.2

        시김새는 국악 선율의 유연한 흐름과 화려함, 멋스러움 등을 위하여 음악에 부여되는 표현 기법이다. 특히 민요에 나타나는 시김새는 그 지방의 음악적 특징을 나타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민요수업에 있어 지역에 특징적인 시김새 지도는 민요를 이해하는가장 중심적인 내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 교과서 경기민요 제재곡을 중심으로 음계에 따른 시김새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국악교육을 위한 주요 시김새의 유형을 살펴보고,그에 따른 경기민요 시김새 지도를 위한 내용체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초등 국악교육을 위한 경기민요의 주요 시김새 지도 유형으로 ‘굴리는 소리’, ‘꺾어 내리는 소리’, ‘꺾어 올리는 소리’, ‘오르내리는 소리’, ‘흐르는 소리’, ‘채는 소리’, ‘잘게 떠는 소리’를 선정하고 그에 따른 학습 내용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국악교육에서의 경기민요 시김새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의 학생 중심 문화예술교육 운영사례 연구: 이천 D초 ‘예술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주만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is study aims to look at a case of a student-centere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operated in a small elementary school. The case observed in this study is the musical creation program of D Elementary School in Icheon, selected as an ‘Arts-Flower Seed School’, which is a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support project, for the past 4 years from the years of 2017 to 2020. The objective of this case was to improve artistic sensibility and creativity by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musical experience activities and the entire program process involved students personally planning, directing, acting, performing, and promoting, making it a student-centered musical creative education program in which students become independently excellent planners and artists. The main curriculum contents of the applied musical creation program are scenario, movements and theater, creative dance, and vocalization and singing classes and for creative musical themes, sub-themes are established by grade according to year and by major theme. On one hand,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on participants on their program experiences and meanings showed that there were effects of cultural competence enhancement and community competence enhancement through the promotion of artistic expression and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by providing direct opportunities of culture and art to students in culturally underprivileged areas and the greatest changes that appeared among students were changes in confidence, creativity, enhance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active learning attitudes. Through this study, observations could be made of an operational case example of a student-centered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 in a small elementary school and the case conten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serve as a model for cultural and art education conducted in other small schools.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운영한 학생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사례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4년 동안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인 ‘예술꽃 씨앗학교’로 선정된 경기도 이천 D초등학교의 뮤지컬 창작활동 프로그램이다. 본 사례 프로그램의 목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뮤지컬 체험활동을 통한 예술적 감성과 창의성 향상에 두었고, 전체 프로그램의 과정은 학생들이 직접 기획, 연출, 연기, 공연, 홍보 등을 담당하며 스스로 훌륭한 기획자이자 꼬마 예술가가 되어보는 학생 중심의 뮤지컬 창작 교육프로그램이다. 적용된 프로그램의 주요 교육과정 내용은 시나리오 창작, 움직임과 연극, 창작무용, 발성 및 노래 수업이며, 창작 뮤지컬 내용의 주제는 해마다 대주제에 따라 학년별 소주제를 정하여 단계적인 교육 활동을 적용하였다. 한편, 참여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경험과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하였는데, 이에 따른 결과로는 문화 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한 직접적인 예술 창작활동의 기회제공, 예술적 표현력 증진, 문화예술 향유를 통한 문화적 역량 및 공동체 의식 함양, 창의성 신장 등의 효과가 있었고, 학생 참여자들에게 나타난 가장 큰 변화로는 자신감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적극적인 학습 태도의 변화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규모 초등학교에서의 학생 중심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운영사례를 탐구할 수 있었고, 향후 본 연구에서 살펴본 프로그램 사례의 내용은 다른 소규모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하나의 모델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국악 기악 단소수업에서의 구조중심 짝 점검 모형의 적용

        박주만 한국음악교육학회 2009 음악교육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하나인 짝 점검 모형의 특징과 원리를 탐색하여 초등학교 국악 기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단소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단소 수업모형의 개발 절차는 학습목표 설정, 보상설정, 기초기능탐색, 짝 활동, 짝끼리 역할 바꾸기, 짝 점검, 평가, 보상의 단계로 구안하였으며, 적용된 수업의 분석방법은 수업관찰, 학습결과물, 면담 자료를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짝 점검 단소수업은 학습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악기 연주능력을 신장시켰으며, 국악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 참여도를 높여주었다. 또한 짝 활동 관계 속에서 음악적 상호작용을 활발히 이끌어 주어 능동적인 국악수업을 만들어 주었고, 자기 주도적 학습 신장에도 큰 향상을 보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문화유산교육 실태 분석 연구

        박주만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음악 문화유산교육에 관한 인식과 교육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음악 문화유산교육으로의 국악교육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문화유산교육의 필요성은 대체로 강하게 느끼고 있었으나, 교사 개인의 관심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영 시간은 음악 교과, 교과 연계수업, 창체, 현장체험 등에 적용하였고, 지도한 학습방법은 감상, 지식 및 이론, 생활화, 체험학습 등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업의 어려움으로는 관련 정보 부족, 콘텐츠 부족, 프로그램의 어려움,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 부족, 전문예술가 섭외 어려움, 운영 예산 부족 등이 제시되었고, 가장 효과적인 수업 운영 방법으로는 현장 체험학습, 교과 관련 수업, 창체, 방과후 수업 순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관련 교육을 위해 시급히 필요한 사항으로는 학습자료 지원,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중 확대, 수업 방법의 다양화, 관리자와 교사의 관심, 예술강사의 지원, 관련 예산지원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학생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창의 예술 중심의 음악 문화유산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자기 고장의 음악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탐구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 문화예술 학습공간의 확대가 요구된다. 셋째, 음악 문화유산교육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예술인력의 학교강사 지원 및 전문 교육공간 조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사들의 국악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관련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status of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xplore ways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music culture herit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at. The conclusions drawn from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trongly felt the necessity of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general, but individual teachers’ interest was at a moderate level. Second, the curriculum allocated time for the music subject, subject-linked classe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field experience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dopted were appreciation-oriented learning, knowledge and theory learning, integration into daily life learning, and experiential learning. Third, challenges faced during classes comprised lack of relevant information, lack of contents, program’s difficulties, lack of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difficulties in recruiting professional artists, and shortage of operating budget.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class operation were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field, subject-related classes,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after-school classes in order. Fourth, opinions were voiced on urgent needs for related education, such as support for learning materials, expans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 proportions,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increased interest from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upport for art instructors, and support for related budgets. Based on this, plans for revitalizing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it is crucial to provide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e arts to evoke students' emotions. Second, priority should be given to understanding and exploring one's local musical cultural heritage, alongside the expansion of local culture and arts learning spaces.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contents for music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urth, supporting school instructors as art personnel and establishing specialized educational spaces are necessary. Fifth, various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o enhance teachers' interest and expertise in Korean traditional music'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프로젝트형 초등 음악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 다문화 음악 프로젝트 활동을 중심으로

        박주만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1 이화음악논집 Vol.15 No.1

        In this twenty-fir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what’s more important is to excavate creative men who can produce higher level thinking and original thinking skills based on integrated thinking. Hence, nowadays, many counties have great interest in early education to cultivate men of ability who can lead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initiatively and pour utmost endeavor to foster men of ability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education for the musically gifted provides students with excellent musical potentials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get music education proper for their own level.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project-typ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for the music subject with the topics of multicultural music activities that can enhance mus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sical potentials and creativity based on their disposition and interest.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is,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xtracted teaching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applicable to enrichment learning for the musically gifted. Second, based on the selected topics, this study designed a six-step learning process including setting up a topic and planning, deciding on the topic, planning activities, exploring and expressing musically, summing up, and evaluating. Third, this paper developed detaile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for 8 sessions and portfolio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organized topics and learning contents. Meanwhile, the multicultural music project-type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 the topic of ‘Asian Folk Music Festival’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s educational effects to not only enhance understanding of musical knowledge but also improve musical expression, creativity, and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 KCI등재

        초등 방과후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박주만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음악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개 도시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31개교의 국악 지도강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도강사 중 5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의 내용으로는 참여 학생, 국악 지도강사, 국악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고, 심층 면담에서는 실제 방과후 국악수업 운영에서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의 개선을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국악 프로그램 및 교재의 개발, 다양한 형태의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지도강사의 노력,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 학교 및 학부모들의 방과후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