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본과 소득 관계

        박종남(Park, Chongnam),정무권(Chung, Moo-Gwon),전미양(Jun, Miyang) 한국아시아학회 2018 아시아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빈곤문제개발협력연구원(IPAID)의 네팔 Tikapur 지역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적 자본과 소득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최근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인에 따라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을 결속형 사회 자본과 교량형 사회 자본으로 구분하여 소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사회적 자본과 소득 간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여 도구변수를 활용한 2단계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결속형 사회 자본은 소득 증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교량형 사회자본과 소득의 관계는 역-U자형 관계로 나타났다. 지역 발전과 빈곤 감소전략을 추진할 때 결속형 사회 자본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아울러 교량형 사회 자본 구축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지역 정부, 시민사회, 언론 등의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income, asking if social capital, categorized as bonding and bridging,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income. The study uses a regional survey data produced by the Institute for Poverty Alleviatio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IPAID) and employes two stage least squares(2SL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bonding in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income increase,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bridge social capital and income shows an inversed-U type relationship. The paper argues that through efforts of local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the media, a further developed programs that promote bonding in social capital would result in regional development and poverty reduction.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노인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 연구 : 캄보디아 노인자조모임 사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손혁상(Hyuk-Sang Sohn),박종남(Chongnam Park),유현석(Hyun-seok Yu),이은혜(Eunhye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20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 지원으로 캄보디아에서 진행된 헬프에이 지캄보디아(HAC, HelpAge Cambodia) 사업에 대한 사례 연구이며, 노인자조모 임(OPA, Older People’s Association)의 효과를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노인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중요한 취약계층 그룹임에도 불 구하고 그간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OPA는 한 국제NGO 에 의해 다양한 국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개발협력 사업의 모델 이다. 캄보디아 OPA 사업 사례 분석을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발협력의 접근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을 택하였으며 3년간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한 참여관찰,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기초선·종료선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캄보디아 노인들은 OPA 활동을 통해 자신감과 사회적 유대감을 회복하고 있었으며 OPA는 노인들에게 사회적 참여의 기회이자 임파워먼트의 과정이었다. 결론 및 시사점: 캄보디아 노인은 OPA 활동을 통해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노인 권리 증진을 위한 환경 구축과 정책 입안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것은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국제협력단 지원으로 캄보디아에서 진행된 헬프에이 지캄보디아(HAC, HelpAge Cambodia) 사업에 대한 사례 연구이며, 노인자조모 임(OPA, Older People’s Association)의 효과를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노인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중요한 취약계층 그룹임에도 불 구하고 그간 국내에서 관련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OPA는 한 국제NGO 에 의해 다양한 국가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온 개발협력 사업의 모델 이다. 캄보디아 OPA 사업 사례 분석을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발협력의 접근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사례 연구 방법을 택하였으며 3년간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한 참여관찰, 심층 인터뷰, 포커스 그룹 인터뷰, 기초선·종료선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캄보디아 노인들은 OPA 활동을 통해 자신감과 사회적 유대감을 회복하고 있었으며 OPA는 노인들에게 사회적 참여의 기회이자 임파워먼트의 과정이었다. 결론 및 시사점: 캄보디아 노인은 OPA 활동을 통해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노인 권리 증진을 위한 환경 구축과 정책 입안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것은 노인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포용을 높이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