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과연 타르스키의 진리정의는 철학에 필수적인가?

        박정일(Jeong-Il Park)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7 No.-

        최근에 이병덕 박사는 졸고 「열린 해석과 타르스키의 진리정의」 (이하 ‘박정일(1999)’로 약칭함)에 대하여 일견 매우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였다. 그 비판의 핵심은 박정일(1999)에서 제시된 주장의 세 가지 근거가 모두 설득력이 없다는 것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러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에 대해 답변하고자 한다. 나의 논점은 이러하다: 나는 박정일(1999)에서 타르스키의 진리정의가 철학에 필수적인 수단을 제공하지 않으며,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철학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 대한 이병덕 박사의 비판은 더 깊은 생각을 요구하는 자극적인 것이었지만, 나는 그가 대체로 박정일(1999)를 오해했다고 생각하며, 그리하여 그의 어떤 비판은 모호하거나 빗나갔고 또 어떤 주장은 오류라고 생각한다. 특히, 그가 제시하는 반대 주장 -이것을 의도한 것이라면- 의 논거는 거의 설득력이 없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나는 여전히 박정일(1999)의 주장이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부정적 사실’에 관하여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1 No.-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 중 하나는 “긍정적 사실”과 “부정적 사실”이 무엇인지, 그리고 ‘현실’과 ‘세계’의 개념이 동일한 것이냐 하는 것이다. 포겔린과 피처는 ‘현실’이 ‘세계’보다 더 넓은 개념이라고 보았으며, 비트겐슈타인이 2.063에서 그것들을 동일화하는 것을 실수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존립하는 사태들”과 “사태들의 존립”을 동일화하는 오류를 범했을 뿐이다. 블랙과 남경희는 『논고』에서 ‘현실’과 ‘세계’가 둘 다 부정적 사실들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대단히 피상적인 논의를 하고 있을 뿐, 어떤 정당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았고 또 제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논고』에서 세계에는, 또 현실에는 부정적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논고』에서 ‘전체 현실’과 ‘세계’는 동일하고 외연이 같다. 우리는 이 점을 『논고』라는 텍스트에 입각해서 해석하고 해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겔린의 주장, 즉 이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완벽한 용어법의 복원도 가능하지 않다는 주장은 결코 옳지 않다. 더 나아가 『논고』에서 부정적 사실에 대한 논의는 “근본 사상”으로 나아가는 매우 중요한 경로이다. 그렇기 때문에 포겔린의 주장과 달리, 2.063의 언급은 매우 “깊은 체계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related to the Tractatus is the definition of ‘positive facts’ and ‘negative facts’ and whether the concept of world is identical with that of reality. Fogelin and Pitcher regarded that the concept of reality is wider than that of world and claimed that Wittgenstein made a slip in identifying them at 2.063. However, they made nothing but a fallacy in identifying “existent state of affairs” with “the existence of state of affairs”. Black and Nam claim that the concept of reality is identical with the concept of world in the Tractatus because both of them contain negative facts. But their arguments are too superficial to offer a valid ground for their arguments. As a result, the concept of world in the Tractatus is identical with that of total reality because there are no negative facts - not only in world - but also in reality. Furthermore, we can elucidate and solve our problems clearly on the basis of the Tratatus text. Hence, Fogelin’s insistence that he does not think “that there is any way to restore perfect terminological consistency to the text” can never be justified. And unlike Fogelin’s insistence, 2.063 has a very “deep systematic importance” because the investigation of negative facts was a very crucial route to the “fundamental thought” of the Tractatus.

      • KCI우수등재
      • 내용 검토 및 개선 방향 -비판적 사고와 토론의 논리-

        박정일 ( Park Jeong-il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0 교양교육과 시민 Vol.2 No.-

        『비판적 사고와 토론』(2018)에서 제2부(비판적 사고와 토론의 논리)는 제1부(의사소통 능력과 공적 말하기)와 제3부(비판적 사고와 토론의 실제)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가장 일반적이고 폭넓은 관점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공적 말하기”를 다루면서 “비판적 사고”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고, 제3부에서는 “비판적 사고”와 “논리”를 기반으로 토론의 원리와 실제를 다루고 있는데, 바로 여기에서 결정적인 중간 고리 역할을 하는 것이 제2부이다. 따라서 현재 『비판적 사고와 토론』(2018)의 제2부에 대해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또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고자 한다면, 과연 제2부가 그러한 가교 역할, 또는 중간 고리 역할을 충분히 제대로 하고 있는지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In the Critical Thinking and Debate(2018), part 2(critical thinking and the logic of debate) plays a part of the bridge between part 1(communication ability and public speaking) and part 3(critical thinking and the real debate). In part 1, from the most general and broadest point of view, by explicating both communication capacity and public speaking, the basis for critical thinking is prepared, and in part 3, on the basis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logic of debate, the principles and real practices of debates are explicated. Hence it is the part 2 that plays a role of the decisive intermediate bridge. Therefore if we try to point out several problems about part 2 of the Critical Thinking and Debate(2018) and to improve it in the desirable direction, we should examine whether part 2 plays sufficiently such a role of the intermediate bridge.

      • KCI등재후보

        군인사법상 기소휴직과 사법적구제의 한계 -휴직기간의 재판청구권제한 효과와 관련하여-

        박정일 ( Jeong Il Park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29 No.3

        In case that a military official is accused of the criminal case, an appointment authority holder can order him or her to leave from work. The criminal proceedings, however, are one thing, ordering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is another. Also, even though the military official is acquitted of the criminal case, disadvantages caused by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couldn`t be fundamentally compensated.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Act says that if a military official gets unfavorable treatments like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he or she can fil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Through disclosure of information, however, I came to know that it has limits as ex post help for the military official. Even if the military official is the member of special authority relation, his or her basic human rights should be guaranteed in principle. Even when the rights are restricted, the essential contents couldn`t be infringed. Therefore the stipulation on the leave of absence from work needs to be revised.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체’에 관하여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서 중요한 수수께끼 중 하나는 ‘의미체’(Bedeutungskorper)가 무엇이냐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나는 다음을 보이고자 한다. 『탐구』에서 단 한 번 언급된 ‘의미체’는 바로 『논고』에서 거론되는, 특히 논리적 상항의 ‘의미’이다. 이를 위하여 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는 먼저 비트겐슈타인이 실제로 ‘의미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언급은 ?비트겐슈타인의 음성들에서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는데, 우리는 이 언급에서 제시된 것을 ‘의미체 비유’라고 부를 수 있다. 둘째, ‘의미체 비유’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것이 과연 『논고』에 실제로 있는지 우리는 확인해야 한다. 여기에서 먼저 선행해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는 ‘∼’과 같은 논리적 상항이 의미(Bedeutung)를 갖는지 여부이다. 셋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전기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이제 그의 의미이론이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이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는 것이 요구된다.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힐베르트와 바일의 형식주의라는 새로운 시각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프레게의 생각을 수용한 결과 형성된) 의미체와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극복하였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넷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실제로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논고』의 형성 과정에서 그러한 생각들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의미체’ 문제가 비트겐슈타인에게는 『논고』의 집필을 포기하게 할 수 있었던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였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One of the important puzzles concerning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is this: What is his “Bedeutungskorper” (meaning?body)? With regard to this problem, I will show in this paper that “meaning?body,” which is mentioned just once in the Investigations, is the “meaning” (Bedeutung) of the Tractatus, in particular, that of a logical constant. For this I will discuss in the sequence as follows. Firstly, we must take a look at the remarks that Wittgenstein adduced concretely. Those remarks are expressively given in The Voices of Wittgenstein, which we can call the “meaning?body simile.” Secondly, we must confirm that what Wittgenstein adduced in the “meaning?body simile” is embodied in the Tractatus. The problem which should be solved in advance is whether logical constants such as ‘∼’ have meanings (Bedeutungen). Thirdly, if the thoughts related with the “meaning?body” belong to early Wittgenstein, then we need to explicate how the early Wittgenstein’s theory of meaning is connected with the later Wittgenstein’s. We will confirm that Wittgenstein overcame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which were the results that he had accepted the important basic idea of Frege’s theory of meaning) by partly accepting the new point of view of Hilbert’s formalism. Fourthly, if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are Wittgenstein’s, we must be able to confirm those thoughts in the prior development of the Tractatus. We will confirm that the “meaning?body” problem w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for the early Wittgenstein that could lead to his abandoning the writing of the Tractatus.

      • 동파 방지를 위한 열선 제어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박정일(Jeung-Il Park),김은원(Eun-Won Kim),화세(Hwa-Se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15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6

        This paper is wrapped around the heating wire, such as water and sewage pipes in plumbing and fire protection water pipes and winter apartments and buildings for frost protection system to prevent freezing. Characteristics of the frost protection system is a system that generates heat by supplying current to the heating wire wound around the pipe. In this paper, we will effectively control the current supplied to the heating coil and to design a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