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사건경험에 노출된 경찰관의 PTSD와 직무만족과의 인과관계분석

        박재풍,박주혁 한국치안행정학회 2016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3 No.3

        이 연구는 최근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PTSD실태보고서에서 고위험군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향의 확장과 제도적 개선의 기초자로 연구되었다. 경찰관의 직무는 업무 특성상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외상사건에 빈번히 노출되고 있다. 외상사건경험을 자주 접하는 경찰관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PTSD는 특성상 완치가 불가능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개인적으로 우울, 불안, 공황장애, 강박, 공격성, 자해, 회피, 폭행 등 심리적 불안과 과격한 물리적 행동을 하게 된다. 결국에는 PTSD를 겪게 되는 개인은 자기통제가 불가능해 진다. 이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외상사건에 노출된 경찰관을 대상으로 적절한 치료 혹은 상담 등 정책제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외상사건경험과 PTSD를 변인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연구는 대부분 일반인 혹은 소방관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경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분야의 연구의 특징은 외상사건경험, PTSD를 선별하는 검사지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 기초적인 실태조사와 위험군 분류, 인식차이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그리고 이 분야는 외상사건경험과 PTSD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단순한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연구에 불구하며, 조직연구의 다양한 변인과의 관계를 확장한 연구도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이전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조직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외상사건경험과 PTSD,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좀 더 효율적으로 경찰관의 직무를 개선하기 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PTSD를 매개변수로 하여, 외상사건경험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PTSD를 매개변수로 했을 때를 비교하였다. 회귀방정식을 활용한 분석결과에서는 외상사건경험이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지만, PTSD에 양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고, PTSD는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상사건경험은 PTSD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고, PTSD가 발현된 경찰관은 단순히 외상사건경험만 겪은 경찰관보다 직무만족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경찰관이 직무상 외상사건경험의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PTSD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외상사건을 경험한 경찰관에게 PTSD 증상이 나타나면 경찰관의 직무효율성이 떨어지고, 개인적으로 심리적, 물리적 환경을 자율적으로 통제하기 어렵게 된다. 종합적으로 정부 혹은 경찰청 등 관련기관은 경찰관의 PTSD관리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Recently, the research reports of police officers’s PTSD appeared very high status. But there are insufficient PSTD’s research and to improve policy institution to the police officer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se problems. PTSD does not cure perfect treatment. PTSD effects personally depression, anxiety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nd violent physical action, such as panic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aggression, self-injury, evasion, assault. Eventually, individuals will suffer from PTSD it is that self-control is not possible. Despite these risks, there are no a situation that insufficient institutional and policy proper treatment or counseling for police officers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ough. Features of the research in this area is the level of experience staying in traumatic events, PTSD screening method for a strip of theoretical research, basic survey and risk classification, recognizing the difference. And the field is the lack of research also exp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various factors of organizational research. Despite the impact study to validate a simp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experience PTS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functions of the police officers more effectively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with PTSD,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upplement, and organize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PTSD as a parameter and the effect of trauma experience directly on job satisfaction and PTSD as a parameter.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equation showed that trauma experience had no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trauma exper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TSD and PTSD decreased job satisfaction.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olice office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TSD despite the high incidence of traumatic events in their jobs, and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manage them are insufficient.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study, if a police officer experiencing a traumatic event experiences symptoms of PTSD, the efficiency of police officers' job efficiency will be lowered, and it will be difficult to control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environment personally. In general, the relevant agencies such as the government or the National Police Agency are require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device for police officers' PTSD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뉴테러리즘의 의미재정립과 대응에 관한 연구

        박재풍 한국치안행정학회 201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1

        과거의 테러가 국가원수를 포함한 정부요인, 외교사절, 국가기관 등과 같은 경성목표가 주된 것이었다면 오늘날은 불특정 다수의 시민, 대중교통수단과 같은 연성목표가 주된 시대가 오고 있다. 테러, 테러리즘, 뉴테러리즘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과거와 오늘날의 테러환경을 비교하거나 테러상황에 따른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성급한 일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과거의 테러를 테러리즘이라고 분류하고 뉴테러리즘은 조직이나 개인이 불특정 다수 혹은 국가를 상대로 뚜렷한 목적유무와 상관없이 위협(폭력적이든 비폭력적이든 간에)을 가하는 제반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뉴테러리즘은 과거와 달리 조직뿐만 아니라 개인 또한 테러의 행위자가 될 수 있고,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인 신념 혹은 목적에 따른 테러도 있을 수 있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아무런 목적 없이 개인이나 조직을 과시하기 위하여 불특정 다수를 혹은 국가를 상대로 위협을 가하는 행위를 하는 것이다. 뉴테러리즘의 환경 아래서 우리나라의 대응체계는 인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는 이유로 테러방지법과 같은 법률조차 없이 대통령 훈령으로 조직되고 운영되어 오는 대테러 대응체계가 있으나 오늘날의 뉴테러리즘을 대응하기에는 굉장히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조직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법과 수단으로 공격해 오는 테러에 대한 대응 장비와 기법의 부재는 대응에 대한 실질적인 노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첫째, 뉴테러리즘에 맞는 새롭고도 단순화된 대응체계의 구축 둘째, 다양한 대응기법과 장비의 개발,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협력과 지원을 위하여 교육 및 행동 매뉴얼 등을 개발하여야 한다. The past terrorism is including heads of states, government officials, foreign diplomats, state agencies such as the hard targets but today’s terrorism head to soft targets such as unspecified number of citizens, public transport. Terror and terrorism and new terrorism should be defined precisely.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terrorist countermeasures. Therefore, terror which is in the past classified as terrorism, New terrorism is defined as the various activities that threaten an national organization or individual and unspecified number- that is not important with or without purposes(violent or nonviolent). According to the new terrorism, unlike in the past, private or organizations can be the terrorists and they do not need to have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religious belief or purpose. In addition to the person or organization, without any purpose to splurge on an unspecified number of threats or acts against the country. This New Terrorism environment need to have the country's response system, but human rights, violating the grounds that terror laws such as the law without even a presidential directive to the organized and operated following counter-terrorism response system, but today's new terrorism response very complicated and confusing Organization In addition to a variety ways and means of attacking terrorism response equipment and techniques for the absence of a response seems to be no real effort. With the help of community members and can be very important to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is considered. Therefore, first, new terrorism response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and simplified seco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sponse techniques and equipment, the last, members of the community for their cooperation and support, and training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actions.

      • 신임경찰관의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중요도와 실행도를 중심으로 -

        박재풍 한국행정학회 2009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

        현대의 경찰활동은 경찰과 시민의 상호작용을 매우 중요시 여기고 있으므로 경찰은 전문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치안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는 경찰활동의 수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적자원의 개발이 중요하다. 이러한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새로운 지식과 기술 습득뿐만 아니라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경찰공 무원의 의식 및 행동의 변화를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한다. 일련의 교육훈련과정은 소양과목, 실무과목, 법률과목, 체력과목으로 나누어서 실시되고 있는데 신임경찰관들의 교육훈련성과를 위하여서는 교육과정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중요도는 교육훈련의 평가속성인 이론교육과목에 대해 중요하다고 기대하는 개념이며 실행도는 교육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성과를 의미하므로 실제직무활동에 속하는 현장실습에 도움이 되고 효과 가 있었는지를 생각하는 정도인 것이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은 신임경찰관들의 교육훈련만족과 관련된 것이며 이러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만족도 또한 낮아지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정책적 제언으로 실질적이고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에 관한 연구

        박재풍 한국치안행정학회 2009 한국치안행정학회 학술세미나 Vol.2009 No.1

        조직에서의 인간행위의 보다 중요한 관점의 하나는 동기이다. 동기란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특정한 방향으로 행위 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직 활동에서의 인간의 동기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인 것이다. 따라서 조직의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요인을 규명‧작동하여 동기부여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입직동기를 측정해보고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조직에 있어서 유효한 인적자원 관리방법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각종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입직동기 요인의 하위 요인으로 ‘대시민서비스’, ‘직업적 안정성’, ‘권력성’, ‘경찰업무에 대 한 동경’의 4개 변수를 선정하였고, 표본의 크기는 중앙경찰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 정생 총 660명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찰직을 선택하는 동기는 ‘대시민서비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적 안정성’, ‘경찰업무에 대한 동경’, 그리고 ‘권력성 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결과들은 적극적 모집의 필요성 함께, 현대의 경찰활동에서 요구되는 지역사회와의 관계의 개선, 협력치안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임경찰관들에게 시민들에 대한 적극적인 책임과 봉사의 태도를 갖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