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온히터 솔더접합부의 신뢰성 평가 및 예측

        박은주,권대일,사윤기,Park, Eunju,Kwon, Daeil,Sa, Yoonki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17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Vol.24 No.2

        본 논문에서는 고온히터의 주 고장 원인이 되는 단자대 솔더 접합부의 손상 원인을 파악하여 사용 수명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온 히터 사용에 따르는 온도 스트레스로 인한 단자대 솔더 접합부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부하 조건을 재현할 수 있는 고온히터 시편을 제작하였다. 고온히터 단자대의 단락은 주로 솔더접합부 내의 금속간 화합물이나 void로 인한 crack발생에서 기인한다. 가속시험을 통한 고장 재현을 위해 고온히터 시편을 $170^{\circ}C$의 오븐에서 장시간 동안 노출시키며 솔더 내부의 금속간 화합물 조성과 void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솔더 내의 금속간 화합물 층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단면 분석을 시행하였고, 시편의 온도 스트레스로 인한 void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저항분광법을 이용한 특정 기준 주파수와 위상에 대한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동시에 microCT를 이용하여 void 분율을 간헐적으로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고온 노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솔더 내부의 void의 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위상차 변화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상관관계를 통해 온도 스트레스에 노출된 고온히터의 수명을 비파괴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to predict the reliability of high temperature heaters by identifying their primary failure modes and mechanisms in the field. Test specimens were designed to have the equivalent stress conditions with the high temperature heaters in the fiel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stress conditions on the solder joint failures. There failures often result from cracking due to intermetallic compound (IMC) or void formation within a solder joint. Aging tests have been performed by exposing the test specimens to a temperature of $170^{\circ}C$ in order to reproduce solder joint failures in the field. During the test, changes in IMC formation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n the cross-sections of the test specimens, while changes in void formation were monitored both by resistance spectroscopy and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lternately. Th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e void volume within the solder increased as the time at the high temperature increased. Also, the phase shift of high frequency resistance was found to have high correlation with the void volume. These results implied the failure of high temperature heaters can be non-destructively predicted based on the correlation.

      • KCI등재

        과학 관련성 태도 변화 검사도구(CARS-Changes in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번역본의 타당도와 관련 변인 탐색 및 동형 검사 도구 구성

        박은주,이상의,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Park, Eunju,Lee, Sangeui,Rachmatullah, Arif,Ha, Minsu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科學敎育硏究誌 Vol.4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CARS(Changes in Attitude of Relevance to Science)문항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에게의 적용여부를 판단하고,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를 비교한 후 라쉬 모델을 활용하여 두 개의 동형의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59문항의 CARS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문항을 번역하여 787명의 중 고등 (중학생 300명, 고등학생 431명의 답변이 분석됨)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CARS 문항의 우리나라 학생들에게의 적합도를 판단하고 많은 문항수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라쉬 모델의 문항연결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25문항으로 구성된 CARS-A와 CARS-B형의 두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를 구성하였다. 두 동형검사도구의 라쉬 점수 상관관계는 0.78이며, 라쉬 모델 분석수치는 거의 일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생성된 두 형의 과학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는 학생들의 과학의 일상관련 태도를 확인하거나, 특정 수업과정 후 또는 학년별 변화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이 과학의 연관성 인식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고 도구개발 및 활용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wo equivalent science relevance recognition test tool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RS(Changes in Attitude of Relevance to Science) questionnaire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items to Korean students and to compare gender and school differences. For this study, 59 items of the CARS scientific relevance test were translated and assigned to 78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alyed the answer of 300 middle school students and 431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fit of the CARS question to Korean student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questions, we used the item-linking method of the Rasch model.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constructed two equivalent scientific relevance recognition questionnaires of CARS-A and CARS-B with 25 item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Rasch scores of the two equivalent test was 0.78. The two types of scientific relevance recognition test tools generat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to confirm students' attitude of scientific relevance to daily life, or to confirm the change after a certain class or grade. Through this study, we will discuss the implications of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associations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ools.

      • KCI등재

        맵리듀스에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중 Group-by 질의의 효율적인 처리 기법

        박은주(Eunju Park),최혜진(Hyejin Choi),박소정(Sojeong Park),오소현(Sohyun Oh),이기용(Ki Yong Lee),심준호(Junho Shim)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5

        맵리듀스(MapReduce)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수의 컴퓨터로 병렬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이다. Group-by 질의는 데이터를 지정된 애트리뷰트들의 값에 따라 그룹화하고, 각 그룹에 대해 지정된 집계 함수 값을 구하는 질의이다. 본 논문에서는 둘 이상의 group-by 질의가 동시에 요청되었을 때, 이들을 맵리듀스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각 group-by 질의를 독립적으로 계산하는 대신, 총 수행비용을 줄이기 위해 하나 이상의 맵리듀스 잡을 통해 단계적으로 계산한다. 성능 평가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각 group-by 질의를 독립적으로 계산하는 단순 방법에 비해 좋은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MapReduce is a framework used to process large data sets in parallel on a large cluster. A group-by query is a query that partitions the input data into groups based on the values of the specified attributes, and then evaluates the value of the specified aggregate function for each group.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for processing multiple group-by queries using MapReduce. Instead of computing each group-by query independently, the proposed method computes multiple group-by queries in stages with one or more MapReduce jobs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execution cost.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is method with the performance of a less sophisticated method that computes each group-by query independently. This comparison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offers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execution time.

      • KCI등재

        마산시 일부 여대생의 건강상태 및 영양섭취 실태 조사

        박은주(Eunju Park),정효숙(Hyo-Sook Cheong),신동순(Dong-Soo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9

        본 연구는 경남 마산지역에 거주하는 여대생 285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및 영양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참여한 285명의 여대생의 평균연령은 20.1세(18~26세)이며 흡연자는 5명(1.8%)으로 그들은 하루에 평균 3.6개피의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그들의 평균 흡연기간은 1.8년이었으며 대상자 모두가 간접흡연을 경험한다고 답했다. 음주습관은 82.5%의 대상자가 술을 마신다고 답했고 그들이 술을 마시기 시작한지는 평균 2.8년, 일주일에 94.1 g의 알코올을 섭취하였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약 11%이며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은 31.6%이었다.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고 답한 사람은 불과 11.6%이며, 36.8%가 식사를 불규칙으로 한다고 답했다. 하루 3끼식사를 거의 거르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는 대상자의 54%이며 하루에 한 끼는 매일 거른다고 답한 대상자도 30%나 되었다. 결식을 하게 될 경우 주로 거르는 식사는 아침이 77.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저녁, 점심 순이었다. 자주 과식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26.3%이며 대부분이 가끔은 과식을 한다고 답하였다. 1끼 식사 시간은 10~20분, 20분 이상, 10분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편식이 심한 사람은 5%이며 약간 편식을 한다고 답한 사람은 49.1%이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61.0 ㎝, 체중 53.9 kg이며 체질량 지수(BMI)는 평균 20.8로 저체중은 13.3%, 정상체중은 80%, 과체중은 6.7%이며 BMI 30이상의 비만군은 없었다. 체지방량은 평균 26.4%이며, 견갑골 피하지방두께와 삼두근 피하 지방두께는 각 14.2 ㎜, 16.9 ㎜이었다. 허리둘레 66.2 ㎝, 엉덩이 둘레 91.9 cm이며 WHR은 0.72로 조사되었다. 대상자들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각각 115.9 ㎜Hg, 70.9 ㎜Hg로 전반적으로 정상범위를 보였다. 영양소 섭취는 조사된 영양소 중 단백질, 인, 비타민 E, 비타민 B_6, 비타민 C를 제외하고는 영양권장량보다 낮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칼슘, 철, 아연의 섭취량은 권장량의 70%이하로 매우 낮았다. 열량섭취량은 1634.1 ㎉로 일일권장량 대비 81.7%에 해당되며 단백질은 총 64.3 g으로 권장량의 107.2%를 섭취하였다. 대상자의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과식 등의 평소 식습관은 24시간 회상법으로 분석한 영양소 섭취량은 물론 더 나아가 인체계측치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을 가진 여대생들의 경우, 그 시기에 매우 중요한 영양소인 철분, 아연, 엽산 등의 섭취량이 권장량의 7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식을 하는 대상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 등의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이 자주 섭취하는 식품을 중심으로 각 식품군별로 지난 1개월간의 식품 섭취빈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식품군을 합쳐서 마산지역 여대생들이 가장 자주섭취하는 10가지 음식은 쌀밥, 김치, 양파, 잡곡밥, 참기름, 탄산음료, 포도, 아이스크림, 우유, 수박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마산시에 거주하는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건강 및 영양 섭취상태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 지역 여대생들에 맞는 영양교육을 계획, 실시함으로 그들의 건강향상 및 식생활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san. The 285 subjects aged 20.1 years (18~26 years) were assessed with a set of questionnaire composed of general information, food,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habi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pressure measurements,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rates of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abits were 1.8% and 82.5%, respectively. All the subjects had the experience of passive smoking. The 11% of the students exercised regularly and 11.6% ate meal regularly.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subjects were 161.0 ㎝ and 53.9 ㎏, respectively and the BMI was calculated as 20.8±2.6 ㎏/㎡:The 13.3% of subjects were underweight, while 6.7% of them were overweight. The mean value for body fat was 26.4% and subscapular and tricep skinfolds thickness were 14.2 ㎜ and 16.9 ㎜, and waist-hip ratio was 0.72. The systolic/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as 115.9 ㎜Hg/70.9 ㎜Hg. Except protein, phosphorous, vitamin E, B_6 and C, the average intakes of energy and nutrients were below the Korea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RDA). Especially, intakes of calcium, iron and zinc were the lowest, as <70% of RDA. The proportion of energy derived from carbohydrates : protein : fat was 58.0 : 15.8 : 26.2. The 10 frequently consumed food were ssalbap (47.2/mon), kimchi (35.6/mon), onion (16.8/mon), japgokbap (15.1/mon), sesame oil (14.1/mon), carbonated drink (13.3/mon), grapes (12.7/mon), ice cream (12.4/mon), milk (11.9/mon) and water-melon (10.6/mon).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plann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is area to improve their dietary habit and health status.

      • KCI등재

        유튜브 먹방 채널의 시청 동기가 시청태도, 시청만족도, 구전의사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 Eunju Park ),조경섭 ( Kyungseop Cho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0 공공정책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먹방(먹는 방송)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시청만족도, 구전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의 연구를 통해서 먹방의 시청동기를 오락, 식탐, 대리만족으로 정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동기 중 오락은 시청태도와 시청만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식탐은 시청만족도에 만 정(+)의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대리만족은 시청태도에는 정(+)의 영향을, 시청만족도에는 부(-)의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시청태도는 시청만족도와 구전의사 모두에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시청만족도는 구전의사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갖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거의 다루지 않았던 먹방에 대한 연구를 했다는 데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 먹방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effect of Muk-Bang channel viewing motivation on viewing attitude, viewing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The motivation for viewing was set as entertainment, appetite, and surrogate satisfaction through prior research.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tertainment affects both viewing attitude and viewing satisfaction. Second, appetite only affects viewing satisfaction. Third, surrogate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s viewing attitude and negatively affects viewing satisfaction. Fourth, viewing attitude affects viewing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Finally, viewing satisfaction does not affect oral intention.

      • 나노유체 : 유체 내 전기선폭발법으로 제조된 금속 기반 나노유체를 이용한 핵비등 열전달 증진

        박은주 ( Eunju Park ),방인철 ( In Cheol Bang ),박형욱 ( Hyung Wook Park ) 한국액체미립화학회 2012 한국액체미립화학회 학술강연회 논문집 Vol.2012 No.-

        Nanofluids are functional suspensions containing nano-sized particles. Nanofluids have been drawing the attention as heat transfer fluid for enhancement of the critical heat flux. The enhancement of CHF contributes to increase the safety margin of the thermal system. The CHF enhancement is explained by changing the morphology of the heated surface during pool boiling. It is dependent on various factors as follows: materials, particle concentration and size, and dispersibility. In this study, the water-based Ag, CuO, and Al2O3 nanofluids were produced by the electrical explosion of wire in liquids. We have performed pool boiling experiments to characterize the CHF enhancement of the produced Ag, CuO, and Al2O3 nanofluid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박은주 ( Eunju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교양교과목으로 예비부모교육을 교육하고 있는 대학과 달리, 지육(智育)중심의 교육과정을 중시하는 고등학교에서 정규과정을 기반으로 한 예비부모교육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예비부모교육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95명의 고등학생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부모교육 필요여부, 예비부모교육이 필요한 이유, 예비부모교육에 참여할 의향, 원하는 예비부모교육의 내용, 원하는 예비부모교육의 방법, 예비부모교육 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 예비부모교육이 이루어지기에 적정한 시기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통계 프로그램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를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부모교육은 필요하고, 예비부모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부모역할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부모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고, 예비부모교육의 내용은 자녀와의 의사소통 방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원하는 예비부모교육의 방법은 전문가강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 예비부모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점은 교육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예비부모교육이 이루어지기에 적절한 시기로는 결혼 전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고등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Unlike universities that provide pre-parents education as a liberal arts subject, education for pre-parents based on a regular course is insufficient in high schools that place an emphasis on a curriculum centered on intellectu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re-parents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5 students enrolled in high schools in G city.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whether or not there is a need for pre-parents education, the reason for its nee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uch education, the content and the desired method of the education, the point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 time for its implementation.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3.0. The study results reveal that pre-parents education is necessary, and the reason for the education is mainly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arental role. There is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re-parents education, and as for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he communication with children is most favored, and the education method desired best is the lecture given by the specialist (special lecture). The most important point in pre-parents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its content, and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the education appears before marriage.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erms of serving as basic data in developing a pre-parents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몬테소리교육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박은주 ( Eunju Park ),오숙자 ( Sookja Oh ) 인문사회콘텐츠학회 2023 인문사회콘텐츠학회지 Vol.1 No.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몬테소리교육 활동 전후에 나타나는 유아의 다중지능 차이를 파악하고, 몬테소리교육 활동 후 유아의 다중지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G지역에 소재한 사립유치원의 4-7세 남녀유아 59명을 연구대상으로 유치원정교사 4명이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3.0을 사용하여 내적 일관성, 대응표본 T-검정,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내용: 몬테소리교육 활동 전후에 유아의 다중지능의 차이와 몬테소리교육 활동 후 유아의 다중지능이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론 및 제언: 몬테소리교육 활동 전후에 유아의 다중지능은 차이가 나타났고, 몬테소리교육 활동 후 유아의 다중지능이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몬테소리교육 활동이 다중지능과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children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Montessori education activitie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se multiple intelligences on the childhood sociability development. The study targeted 59 children at the age of 4 to 7 attending a private kindergarten in G city, and 4 teachers conducted surveys with them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for Windows, and specifically employing the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the T-test, and the regression ana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changes in the multiple intelligence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Also, the multiple intelligences after the activities had an impact on the sociability development of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 through Montessori activities and the developed multiple intelligences influence children’s sociability development in the kindergarten sett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