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ICP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형화/안정화에 관한 연구

        박윤수 ( Yoon Soo Park ),이재영 ( Jai-you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하수처리장의 증가와 함께 하수슬러지의 발생량 또한 매년 상승하고 있으며, 2025년은 2006년 대비 2배가 더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하수슬러지는 주로 해양투기와 재활용에 의하여 처리되어 왔으나, 가장 단순하고 저렴한 방식이었던 해양투기가 2012년 01월부터 전면금지가 되었다. 현재 하수슬러지의 처리방법 중 재활용은 약56%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재활용은 매립지의 복토재, 건설자재, 토목자재, 시멘트 원료화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재활용 처리방법 중 매립지의 복토재로 재활용하는 것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친환경적인 처리방법 및 MICP 미생물에 관한 고형화/안정화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ICP를 형성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슬러지를 고형화/안정화 한 후 매립지의 복토재로서 가능성을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MICP를 형성하는 미생물의 생물학적 및 광물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하수슬러지 및 고화제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하수슬러지의 고형화적 품질기준인 pH, 수분함량, 투수계수, 일축압축 강도, 유해물질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MICP를 형성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하수슬러지가 고화처리 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탄산칼슘의 광물학적 분석을 병행하여 고형화/안정화에 대한 신뢰성을 갖고자 한다.

      • KCI등재
      • 수출·입 석탄재의 물질흐름분석 및 유해성 평가

        박윤수 ( Yoon Soo Park ),김용준 ( Yong-jun Kim ),오정근 ( Jung Keun Oh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엄남일 ( Nam-il U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엄격한 폐기물 관리를 피하기 위하여 아프리카 및 중남미 등에 수출하여 처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이 국제적으로 문제화 되었고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의 환경과 지구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출·입 폐기물 현황을 살펴보면 국외로 수출된 폐기물의 양은 규제대상폐기물이 약 445톤, 관리대상폐기물이 약 27만톤으로 나타났고, 국내로 수입된 폐기물의 양은 규제대상폐기물이 약 52만톤, 관리대상폐기물이 약 181만톤으로 나타났다. 국내로 수입되고 있는 폐기물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로 수입하는 16종의 관리대상폐기물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폐기물은 연소잔재물(석탄재)로써 2017년 기준 1,348,343 톤/년에 이르며 이는 수입 관리대상폐기물의 약 7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석탄재는 2008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며 수입 석탄재는 시멘트 대체원료, 소성로 보조연료로 대부분 사용하여 건축자재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및 민간단체 등에서 환경과 인체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협약에 따른 수출·입 폐기물의 적정관리를 위하여 석탄재의 수출·입 현황 및 재활용 현황을 파악하여 물질흐름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로 수입되는 석탄재와 재활용 제품인 시멘트의 환경 안정성 평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속적인 수출·입에 따른 석탄재의 적정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수출·입 석탄재의 물질흐름분석 및 유해성 평가

        박윤수 ( Yoon Soo Park ),김용준 ( Yong-jun Kim ),오정근 ( Jung Keun Oh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엄남일 ( Nam-il U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8 No.2

        At present, the amount of imported and exported waste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most significant proportion of waste is coal ash, reaching 1,297,094 t/yr as of 2016. Coal ash imports have risen steadily since 2008, most of them coming from Japan., but the treatment cost of coal ash imported from Japan is much higher compared to that of domestic ones.n. In Korea, most of coal ash is used as alternative building materials and auxiliary fuels. Furtehrmore, the National Assembly and private organizations have raised questions about its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hazards.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urrent export-import status and materials flow of coal ash. Then, we performed a risk assessment for the imported coal ash and cement including imported coal ash. Finally, we proposed a management plan for coal ash according to continuous imports.

      • KCI등재

        인지진단모형의 다층 분석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박윤수(Park, Yoon Soo),이영선(Lee, Young-Sun),이영주(Lee, Young-Ju),인보란(In, Bo-ran),김성은(Kim, Sung-Eun),송미영(Song, Mi-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인지진단모형을 통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 결과분석은 교수ㆍ학습 개선과 지원에 필요한 세부 인지요소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기존 결과분석의 전반적인 성취수준에 대한 정보 제공과는 달리, 상세 인지요소 숙달 정보 프로파일을 제공함으로써 평가 결과를 교수ㆍ학습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진단모형의 인지요소 숙달 여부를 통한 다층분석을 실시하여 16개 시ㆍ도 지역 간 인지요소 숙달 차이를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2010년 학업성취도 평가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국어 검사의 Q 행렬을 개발하였다. 둘째, DINA 모형을 통해 피험자의 인지요소 숙달 정도를 추정하였다. 셋째, 다층분석을 통해 인지요소 숙달에 있어서의 지역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층분석에서 1 수준은 학생들의 인지요소 숙달 사후 확률에 근거한 숙달 패턴별 잠재 집단을, 2 수준은 16개의 시ㆍ도로 구분한 2층 모형을 사용하여 지역 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또한 더욱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배경 변인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의 다층분석으로 지역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학습관련 변수 중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의 이해’와 ‘EBS 1시간 이상 시청’이 학생의 국어 관련 인지요소 숙달을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An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using a cognitive diagnostic model (CDM) can lead to effective feedback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is at a fine-grained attribute level. Unlike traditional broad domain-based scores, CDM-based attribute profiles can lead to more targeted information that can be directed for classroom improvement. This study examined a multilevel extension of a CDM analysis of the NAEA to investigat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16 major cities and provinces in South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items from the 2010 administration of the Korean subject NAEA were used to develop a Q-matrix for 6th grade elementary, 3rd grade middle, and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Next, the DINA model was fit using the Q-matrix developed and the examinee response data from the NAEA. Finally, a multilevel analysis of attribute mastery was conducted by specifying level 2 as the regional areas and level 1 as the students attribute classifications derived from the DINA model; demographic variables and measures of learning were added as covariates in the multilevel model to examine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probability of attribute mastery. Results showed minimal, ye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gions. Furthermore, students that reported to have understood materials taught in class and watched over 1 hour of educational program on television (EBS)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likelihood of mastering attributes required for solving questions in the Korean subject NAEA.

      • 국제협약 대응을 위한 연소잔재물의 수출입 현황 및 국내 활용 동향 조사

        박윤수 ( Yoon-soo Park ),엄남일 ( Namil Um ),김우일 ( Woo-il Kim ),박선오 ( Sun-oh Park ),김용준 ( Yong-jun Kim ),김기헌 ( Ki-heon Kim ),이영기 ( Youngkee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폐기물 수출입 제도는 국가 간 이동 시에 발생하는 환경오염 및 불법교역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1983년 3월 스위스 바젤에서는 “유해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을 채택하여 유해폐기물의 불법적 이동에 따른 환경오염 방지 및 개도국의 환경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4년 2월 28일 이 협약에 가입하였고 이 후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그 처리에 관한 법률」의 제·개정을 통하여 수출입 폐기물을 규제폐기물과 관리폐기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현재 수출입되는 폐기물의 발생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입 신고대상 폐기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연소잔재물로써 2016년 기준 1,297,094 톤/년에 이르고 있다. 연소잔재물은 2008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며 비용의 문제가 가장 큰 이유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발생한 연소잔재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육상운송 등의 비용이 따르지만, 일본에서 수입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처리비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이를 시멘트 대체원료, 보조연료로 대부분 사용하여 건축자재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및 민간단체 등에서 환경과 인체의 유해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연소잔재물의 관리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수출입 현황 및 국내 현황의 흐름을 조사하고, 국내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활용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수출·입 폐기물의 관리 개선 마련 연구: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HSK)를 중심으로

        박윤수 ( Yoon Soo Park ),전태완 ( Tae-wan Jeon ),신선경 ( Sun-kyoung Shin ),엄남일 ( Nam-il U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2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9 No.6

        The export and import waste generated in Korea amounts to 2.63 million tons per year (about 4% of total industrial waste). During importing and exporting waste, an item code called the Harmonized System of Korea (HSK) is assigned to it through classification, inspection, and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This study prepared methods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HSK, systematizing HSK, and effectively applying HSK. First, the following were investigated: the status of the HSK Code, the current status of HSK management in Korea, and HSK related to waste. As a result, Korea adopted the HSK classification table and operated with it as a notice by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A system of 10 units is used, and there are about 339 HSK related to was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wastes without HSK or that some items did not match. 119 new HSK were proposed for 17 types of imported and exported waste. Third, it was found that, at times, responsible personnel made the wrong decision or intentionally entered incorrect HSK in the process of importing and exporting waste. Designated and ordinary industrial wastes under the “Waste Control Act” of Korea need to be linked with the HSK.

      • KCI등재

        대퇴 골두 무혈성괴사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환자 중심 기능 평가

        박윤수(Yoon Soo Park),박기홍(Ki Hong Park),김성민(Sung Min Kim),이석제(Seok Je Lee) 대한고관절학회 1999 Hip and Pelvis Vol.11 No.3

        The focus on clinical research in medical interventions has changed from physician’s measures of care to patient evaluations of the outcome of interventions. In orthopedic outcomes research, perceptions of patients became more important in evaluat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orthopedic intervention. The quality and the function of life before and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were evaluated in 135 AVN patients, who were treated from Oct. 1994 to May. 1998. The follow up period was more than 1 year with the mean period of 27. 6months. There were 108 men and 27 women, and the mean age was 51.6 years. A new functional assessment including Harris Hip Score was done, which is more suitable for Korean life style and disease specificity. There were 4 domains to the questionnaires of the outcome, i.e., recovery in physical function, social function, emotional health and roll function. Each assessing domain had several questions asking about specific life activities. In the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excelle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function, and fair functional improvement was observed in emotional health and roll function. This patient oriented outcome assessment in the hip function could provide both health care provider and patient with more objective data and guideline than traditional physician oriented outcome assess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