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집성재 라미나용 낙엽송 재내 잔류 건조응력 변화 분석

        한연중 ( Yeon Jung Han ),장윤성 ( Yoon Seong Chang ),박용건 ( Yong Gun Park ),정기영 ( Gi Young Jeong ),홍정표 ( Jung Pyo Hong ),이전제 ( Jun Jae Lee ),여환명 ( Hwan Myeong Yeo ) 한국목재공학회 2013 목재공학 Vol.41 No.6

        본 연구에서 국산 낙엽송재의 공학목재로의 이용가능성, 특히 교호집성재 라미나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열기건조 중과 건조 후 판재 내 잔류응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이쿼라이징 처리에 의한 함수율 동일화 효과가 증명되었고, 컨디셔닝 처리에 의한 잔류응력의 감소효과가 정량화되었다. 건조 중 목재 내 잔류응력 분석을 위하여 프롱법과 슬라이스법을 실시하였다. 프롱 제작 후 표면경화율을 측정하였고, 슬라이스의 절단 후 탄성변형량을 기준으로 표면으로부터 약 10 mm 깊이까지의 건조응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T10-C4와 T12-D5 열기건조 스케줄 적용 시 열기건조 중 판재 표면의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은 모두 2.2 MPa을 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낙엽송의 횡단방향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평균 2.65 MPa, 4.60 MPa인 점을 고려하면, 더욱 강한 건조스케줄 적용이 추천된다. 건조 후처리에 의해 폭굽음과 비틀림을 약 40% 줄일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sidual stress in Larix kaempferi board during and after kiln-drying. The boards were primarily intended for using as laminar of cross laminated timber (CLT). In this study, the equivalence of moisture content by equalizing treatment was proved and reduction of residual stress by conditioning treatment was quantified. Prong test and slice test were carried out to analyse the residula stress in wood during drying. Transverse casehardening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making prong sample. Residual stress of four parts in wood from surface to center was analyzed quantitatively based on elastic deformation after just cutting slices from board. Tensile stress and compressive stress on the surface of board during drying did not exceed 2.2 MPa when boards were dried by kiln-drying schedule of T10-C4 and T12-D5. Because the tensile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ransverse direction of Larix kaempferi lumber are 2.65 MPa and 4.60 Mpa, application of more severe drying schedule can be recommended. Cup and twist were reduced by about 40% by equalizing and conditioning treatments after drying.

      • KCI등재

        데크의 논슬립가공 표면형태 변이에 따른 마찰성능 변화 평가

        한연중 ( Yeon Jung Han ),이주희 ( Ju Hee Lee ),박용건 ( Young Gun Park ),최윤호 ( Yun Ho Choi ),여환명 ( Hwan Myeong Yeo ) 한국목재공학회 2012 목재공학 Vol.40 No.6

        최근 국내에서 목질계 재료를 이용한 데크의 설치사례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상대적으로 데크의 기초 물성과 안전성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신발과 데크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보행자의 기동 능력에 많은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마찰력은 바닥재의 재료 특성, 바닥재의 요철무늬 형상, 신발 밑창의 형태, 바닥재와 신발 사이 접촉면의 습윤도 등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데크의 요철무늬에 따른 마찰력 변화를 측정하고 미끄럼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데크의 재료는 천연목재와 합성목재의 두 종류이고, 신발과 접촉하는 데크표면은 데크의 길이 방향으로 홈가공처리를 한 단일 논슬립가공 형태와 길이방향에 더불어 가로방향에 추가로 홈 가공처리를 한 이중 논슬립가공 형태 두 종류이다. 실험에 사용된 신발의 밑창 형태는 더블유형(W형)과 네모형(□형)의 두 종류를 사용하였고, 데크 표면의 함수율 상태에 따른 마찰력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기와 평형을 이룬 건조상태와 수분습윤상태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조건에서 마찰계수를 결정하고 각각의 인자가 마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stallation of deck has been on the rise in Korea recently, but there is little of research on the safety of desk. One of the major factors effecting maneuverability of a pedestrian is frictional force between an outsolo of shoe and a surface of the deck. The frictional force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such as raw material variance of deck, surface convex shape of deck, outsolo petterns of shoes, and moist condition of contact surface between deck and shoes.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frictional force. Two kinds of deck, which were made of natural wood and wood plastic composite,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urface convex patterns of deck were classified to single nonslip (longitudinal groove processing) and double nonslip (longitudinal and transverse groove processing). Two kinds of shoes outsole petterns, W-shape and rectangle-shape, were used in the tests. Also, the friction tests were carried out at dride surface conditional and water-adsorbed surface condition.

      • KCI등재

        고관절 골절 수술에서 수술 전 Enoxaparin 혈전 예방 요법 대 수술 후 Enoxaparin 혈전 예방 요법

        문남훈(Nam Hoon Moon),장재훈(Jae-Hoon Jang),박진섭(Jin Sup Park),박기영(Ki Young Park),박용건(Young G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5

        목적: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의 예방을 위해 수술 전 및 수술 후 시작한 enoxaparin 투여방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고관절 골절로 내원하였던 629명의 환자 중 연구 포함기준을 만족시키는 총 414명(65.8%)을 대상으로 하였다. 156명은 enoxaparin 40 ㎎을 수술 후 48시간부터 피하주사로 시작하였고(A군), 258명은 enoxaparin 40 ㎎을 수술 전부터 피하주사로 시작하였다(B군). 양 군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와 입원 기간 중 출혈 위험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증상을 동반하는 정맥혈전색전증은 A군에서 7.1% (11명), B군에서 5.4% (14명)이었으며,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증상을 동반하는 심부정맥혈전증과 폐색전증의 발생 역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A군 중 2예는 폐색전증으로 인하여 사망하였고, B군 중 1예는 폐출혈로 사망하였다. 주요 출혈 및 입원 기간 중 사망 빈도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혈전색전증의 위험인자를 동반하는 고령의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는 수술 전부터 시작하는 약물 예방 요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pre- and postoperative initiation of enoxaparin in treatment of hip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we enrolled 629 consecutive patients with hip fracture who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9 and March 2014. Of these patients, 414 patients (65.8%) met the final inclusion criteria. Enoxaparin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at 40 mg once daily starting 48 hours after surgery in 156 patients (group A), and immediately after admission in 258 patients (group B).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venous thromboembolism (VTE) and risk of bleeding during hospitalization period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Results: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VTE during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7.1% (11 patients) in group A and 5.4% (14 patients) in group B.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symptomatic VT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unadjusted odds ratio [OR], 0.756; 95% confidence interval [CI], 0.334–1.710; adjusted OR, 0.554; 95% CI, 0.212–1.449).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deep-vein thrombosis and pulmonary embolism (including fatal and non-fatal)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groups. However, fatal pulmonary thromboembolism developed in two cases in group A and one patient expired postoperatively due to pulmonary hemorrhage in group B. Major bleeding and all-cause death did not differ between groups. Conclusion: Preoperative starting chemical thromboprophylaxis may be considered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who have risk factors for venous thromboembo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