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전력분석 공격에서 랜덤클럭 전력신호에 대한 일정피치 기반의 시간적 정렬 방법

        박영구,이훈재,문상재,Park, Young-Goo,Lee, Hoon-Jae,Moon, Sang-Jae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8 No.1

        전력분석공격은 스마트카드와 같은 저전력 보안장치에 대한 매우 강력한 공격방법이나, 측정된 전력신호와 암호알고리듬 실행 시 추정되는 중간 값과의 상관도를 연산하는 시점이 시간적으로 일치되어야 가능하다. 보안장치에 랜덤클럭을 적용하면 측정된 전력신호 분석 시점이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랜덤클럭이 전력분석 공격에 대한 방어대책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분석공격에서 랜덤클럭 전력신호에 대한 일정피치 기반의 시간적 정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랜덤클럭이 적용된 보안 장치로부터 측정된 전력신호를 일정한 크기를 갖는 기준피치에 맞추어 시간 축 상의 위치와 크기를 정렬하므로 랜덤 클럭 방어대책을 공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랜덤클럭이 적용된 스마트카드 환경에서 실행된 AES 블럭 암호화 알고리듬에 대하여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그 공격 가능성을 검토한다. Power analysis attack on low-power consumed security devices such as smart cards is very powerful, but it is requir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power signal and the mid-term estimated signal should be consistent in a time instant while running encryption algorithm. The power signals measured from the security device applying the random clock do not match the timing point of analysis, therefore random clock is used as counter measures against power analysis attacks. This paper propose a new constant pitch based time alignment for power analysis with random clock power trace. The proposed method neutralize the effects of random clock used to counter measure by aligning the irregular power signals with the time location and size using the constant pitch. Finally, we apply the proposed one to AES algorithm within randomly clocked environments to evaluate our method.

      • KCI등재

        東海岸地域 靑銅器時代 무덤의 變遷

        朴榮九 한국청동기학회 2011 한국청동기학보 Vol.9 No.-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은 지석묘, 석관묘, 석곽묘, 주구묘, 토광묘, 묘역지석묘 등 다양하게 확인된다. 하지만 남한지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청동기시대 조기, 즉 돌대문토기단계에 속하는 무덤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조사된 취락 내 주거지 숫자에 비해 무덤 조사수는 극히 적은 편이다.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입지는 대부분 낮은 구릉에 입지하며, 일부 충적대지에서 확인되는데, 동시대 취락의 입지 경향과 대동소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영동지역 양양 송전리에서 발견된 토광묘 1기는 사구지대에 자리 잡고 있는데 이러한 입지는 극히 예외적이라고 할 수 있다. 동해안지역 청동기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에 등장하는 무덤은 토광묘이다. 영동지역 양양 송전리 토광묘, 울산 굴화리 토광묘에서는 삼각만입촉, 유혈구이단병식석검 등이 출토되어 청동기시대 전기 중엽에 편년된다. 반면 포항 삼정리 토광묘에서는 단도마연토기와 방추차, 울산 모듈화산업단지에서는 이단병식석검과 일단경촉이 출토되어 전기 전반으로 편년된다. 석관묘는 동해안지역에서 가장 많이 조사된 무덤이다. 토광묘와 비슷한 전기 중엽에 등장하여 원형점토 대토기 단계인 청동기시대 후기 까지 지속적으로 축조된다. 석관묘는 원형점토대토기 단계인 청동기시대 후기에 이르면 점차 소형화되며, 석관의 형태도 정연하지 못하다. 송현리 B유적을 포함한 영동지역의 석관묘와 포항 학천리 석관묘가 이 시기의 무덤에 해당하며, 유물은 마제석검, 석착, 검파두식 등이 출토된다. 석곽묘는 경주지역 문산리 유적에서만 확인된다. 유물은 일단병식 석검이 출토되어, 청동기시대 중기 후반으로 편년된다. 주구묘의 평면형태는 세장방형과 장방형, 방형으로 구분된다. 세장(장)방형 주구묘는 전기 후엽으로, 방형은 전기 후엽~중기후엽으로 편년된다. 울산지역 주구묘는 장방형에서 방형으로 변화하고, 매장주체부는 토광(목관)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지석묘는 동해안지역에서 제일 많이 분포하고 있는 무덤이지만 실제 발굴조사된 지석묘가 적어 정확한 시기설정이 어려운 상황이나, 동해안지역에 지석묘가 도입되어 축조되던 시점은 타 지역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안지역의 지석묘는 많은 수가 조사되지 않았지만 묘역시설이 확인되지 않고 독립적 분포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축조규모나 형태 등으로 보아 자체적인 발전양상은 미비하고,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점토대토기 단계까지 존속하다가 소멸해 버린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경주와 울산지역에서 묘역지석묘가 확인되고 있어 경남지방 묘역지석묘와의 비교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울산 산하동유적과 경주 어일리 유적 등 해안에 인접해 위치한 유적을 중심으로 조사예가 증가하고 있는 주구형 유구에 대한 성격규명도 좀 더 자료증가를 기다리며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or tombs from the Bronze Age in the eastern coast area, various tombs including dolmens, stone coffin tombs, stone-lined tombs,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and coffin tombs have been confirmed. But, any tomb from the early Bronze Age, that is the Pot with clay stripe stage, hasn’t been confirmed yet in the eastern coast just as any other places in South Korea. And also, the number of tombs confirmed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e number of residential areas in the settlement investigated. Most of tombs from the Bronze Age in the eastern coast area are located in low hill sites and some are confirmed from alluvial sites, showing substantial identity with the trend in the location of settlements in the same period. only coffin tomb discovered in Yongong area is located at a sand hill in Songjeon-Ri, which is a exceptional case. The type of tomb appeared in the earliest time among tombs from the Bronze Age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is a coffin tomb. triangle curve in arrowheads and double stepped-hilt dagger with were excavated from coffin tombs at Songjeon-Ri, Yangyang in Yeongdong area and Gulhwa-Ri, Ulsan, recoding these tombs at the middle stage of the Early Bronze Age chronologically. On the other hand, red burnished bowl, and spindle whorl were excavated from coffin tombs at Samjeong-Ri, Pohang and and were excavated from the Modularization Industrial Complex in Ulsan, recording these tombs at the latter stage of the Early Bronze Age chronologically. Stone coffin tombs are the tombs most confirmed in the eastern coast area. This type of tomb started appearing from the middle of the Early Bronze Age as similarly coffin tomb and had been built continuously until the Late Bronze Age which was the round clay-stripe earthenware stage. Stone coffin tombs gradually became smaller in the Late Bronze Age which was the round clay-stripe earthenware stage and the shape of stone coffin became uneven. Stone coffin tombs in Yeongdong area and stone coffin tombs in Hakcheon-Ri, Pohang including B historic site at Songhyun-Ri fall under the tombs from this Age, and dagger pommel fittings of bronze dagger were excavated as artifacts. Stone-lined tombs were confirmed only from the site at Munsan-Ri, Gyeongju area. stepped-hilt dagger was excavated as artifacts from these tombs, recording these tombs at the latter stage of the Mid Bronze Age chronologically. The plan type of a grave surrounded by a ditch is classified into long rectangular, rectangular and square types. Long rectangular (rectangular)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are recorded chronologically at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and square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are recorded chronologically at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Bronze Age to the first half of the Mid Bronze Age. The characteristics of graves surrounded by a ditch in Ulsan area are the shape of graves being changed from the rectangular shape to the square shape and the main part of burial having the shape of coffin (wooden coffin). dolmens are the tombs distributed the most in the eastern coast area, but not many dolmens have been excavated and confirm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t the accurate time for its introduction, however, dolmens are considered to be introduced in the eastern coast of area at similar time with other areas. Not a large number of dolmens were confirmed in the eastern coast area, but the characteristics of dolmen are that its actual grave has not been confirmed and the dolmens are distributed independently, and according to its size and shape, this type of tomb had not been developed significantly,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clay-stripe earthenware stage just as in other areas and became extinct.

      • 단계적 수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장애아 수 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영구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 2004 현장특수교육연구보고서 Vol.- No.-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러 과목의 알찬 지도가 필요하지만 아동들이 가장 싫어하는 수학과를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을 좀더 알찬 계획을 세워 실생활에서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시키며, 수 지도에 대한 단계적 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수 개념의 이론에 따른 지도와 단계적 지도안을 작성하여 수 개념을 인식시키는데 있다. 2. 연구대상 및 기간 가. 연구대상 : 특수반 3명 (학습장애아 남2명, 여1명) 나. 기간 : 2003년 2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11개월 간) 3. 실행내용 가. 실행목표 “1” : 단계적이 수 프로그램 작성하여 적용하였으며 나. 실행목표 “2” : 수 프로그램을 좀더 알차게 지도하기 위해 수 개념의 이론에 따른 지도방법으로 ①분류학습 ②비교학습 ③가역성과 보상학습 ④수 세기학습 ⑤서열과 보존학습 ⑥문장제 문제해결학습 ⑦기능적 수 개념 형성학습 지도를 실행하였으며 다. 실행목표 “3” : 수 개념 이론에 따른 지도에 관한 단계적 지도안을 작성 실행함. 4. 검증방법 결과 검증방법은 질문지, 평가지를 통한 전후 비교하였으며, 검증할 결과 가. 1∼20까지 수 개념을 이해하였으며 집합 수 50까지 알게 되었다. 나. 수 개념 이론에 따른 지도로 수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어 실생활에 적용하게 되었다. 다. 단계적 수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태도가 좋아졌으며 학습에 자신과 의욕을 가지게 되었다. 5. 결론 가. 학습장애아동의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단계적 수 프로그램과 학습내용에 따라 수 개념 이론에 따른 지도 및 단계적 지도안 작성 활용이 수 개념형성을 위해 의도적이며 체계적 있게 지도하는데 효과적이다. 나. 학습장애아동의 단계적 지도 수 프로그램은 학습자료를 투입하기 편하며, 교수 해야할 영역이 분명하고, 학습지도 내용이 계획적이어서 수 개념 지도에 효과적이다. 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수 프로그램 학습 내용과 함께 수 개념의 이론에 따른 지도는 학습장애아동이 학습에 흥미 있게 접근할 수 있으며 학습의 파지력도 높게 해 준다. 라. 학습장애아동의 능력에 따른 단계적 지도 학습프로그램은 아동들이 교사 없이 자율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게 되었으며 개별능력에 따른 학습이 조절되어 학습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높은 학습 성취도를 갖게 한다. 마. 단계적인 수 프로그램과 수 개념의 이론에 따른 지도는 학습장애아동들이 학습 참여와 학습 활동이 활발하여 기본 수 0-50까지 학습의 효과를 가졌다.

      • KCI등재
      • KCI등재

        컬러TV를 통해 본 1970년대 후반의 한국사회와 시대성격

        박영구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2

        1960년대가 라디오의 시대라면 1970년대는 TV의 시대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까지 계속된 컬러TV 판매금지와 방영금지, 100% 수출은 정부가 국민을 성장을 위한 생산요소로만 보고, 행복을 추구하는 소비의 개별주체로 보고 있지 않았던 1970년대 후반의 한국사회 모습과 시대성격을 보여준다. 이런 가운데 중화학공업화정책을 통해 성장한 대기업들이 컬러TV를 둘러싸고 1970년대 후반 오히려 정부보다 앞선 정보와 분석을 제시하며 정부의 지시를 거부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현대사의 정부·기업간 시장주도권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1970년대 후반 세계시장에 수출을 늘려나가면서도 가질 수도 볼 수도 없었던 컬러TV는 1970년대 후반 한국사회의 이중성, 생산과 소비의 이원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심화되고 있던 한국사회의 불평등에 대한 불만이 표출될까 봐 세계의 컬러TV 미 방영 마지막 공업국가군으로 남으면서까지 대통령이 직접 나서 컬러TV를 금지시킨 것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모순구조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고 또한 빠른 공업과 수출의 발전이 있었지만 이를 한국사회가 내면적으로 따라가지 못하고 있었던 1970년대의 시대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It is said that the 1970s was the TV age. However, the continued ban on sales of color TV sets and on broadcasting of color TV show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70s and its period character where people were viewed as a factor only for economic growth and not as the individual subjects of consumption for happiness. Meanwhile, large companies that had grown up through heavy and chemical industrialization began to gain a market advantage superior to the government in the late 1970s. This was a new development in the late 1970s and meant a shift in market lead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business in modern Korean history. Color TV that people produced by their hands but couldn't have or watch in the late 1970s, was a reflection of the duality, separa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at Koreans were facing in the late 1970s. The ban on color TV from the public, remaining as one of the world's last countries which ban color TV broadcasting in fear of inequality disclosure, shows the dissonance of Korean society in the 1970s and directly reflects the period character of the 1970s when there had been the fast-changing pace of industrial development but the Korean society had not been able to keep up with it intern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