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박엄지(Eom-Ji Park),신중일(Joong-Il Sh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관해 체계적 고찰을 통해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감각통합 중재가 어떤 영역에서 효과가 나타나는지 객관적인 근거를 찾고자 함이다. 연구 분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Medline과 EMBASE에 "Occupational therapy",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ensory processing", "Weighted vest", "Wilbarger protocol"를 검색하였 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구 중 감각통합 중재 효과를 보고한 14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PICO원리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근거수준Ⅰ과 근거수준Ⅴ의 연구가 각각 4개(28.6%)로 가장 많았고, 중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를 빈도 분석한 결과 GAS와 VABS-Ⅱ가 4개(11.8%)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분석 연구들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이 71.4%로 주요 대상군이었으며, 감각통합 중재가 운동수행, 감각처리, 행동, 학습과 관련한 교육, 작업수행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임상에서 감각통합을 중재 계획으로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폭넓은 재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cent study trend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and the objective reason to show the areas wher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s effective. The databases, Medline and EMBASE, were searched for "Occupational therapy",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ensory processing", "Weighted vest", and "Wilbarger protocol". For the analysis studies, 14 studies on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rom 2010 to 2015 were analyz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ICO.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ere 4 studies each of evidence levels I and e V, which wa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28.6%). The result from frequency analysis of the measurement used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 showed that GAS and VABS-Ⅱ were used in the 4 studies (11.8%). 71.4%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were the major subject group in the analysis studies an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had an effect on the motor performance, sensory processing, behavior, learning-related education, and occupation performance area. This study result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sensory integration as an interventional program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In further studies, it will be important to verify the intervention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 another rehabilitation area.

      • KCI등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OTPF-Ⅲ를 기반으로

        박엄지 ( Park Eom-ji ),수향 ( Park Soo Hyang ),수희 ( Park Soo H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M) 중재의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OTPF-Ⅲ 기반의 연구 분류를 통해 IM 중재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10개의 연구를 PICO 원리, OTPF-Ⅲ의 영역에 기반하여 정리하였고 연구대상의 연령군, 진단군, 중재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은 소아를 대상으로(60%), 진단군은 ADHD(40%)가 가장 많았다. OTPF-Ⅲ를 기반으로 중재 효과를 분석했을 때 클라이언트 요소와 수행기술이 주요 효과 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IM의 적용은 소아질환의 대상자뿐 아니라 다양한 특성과 연령을 가진 대상자들에게도 적용되고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적용을 위한 연구들이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효과 영역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interactive metronome (IM) intervention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to prove the effect of IM intervention through OTPF-Ⅲ-based research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ICO Principles and the OTPF-Ⅲ Region, a total of 10 studies selected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were summarized. The age, diagnosis, and intervention effects of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In the analysis, Pediatric (60%) was the most frequent in the age group and the ADHD (40%) in the age group. Based on OTPF-Ⅲ,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lient factors and performance skills were the main effects domain. Application of IM using this study is applied not only to subjects with pediatric diseases, but also to subjects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age, so research for suitable application to the subject is necessary, an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ongoing research will be promoted so that it can be expanded to various effect areas.

      • KCI등재

        지역사회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한국 노인의 인지기능장애 진단현황과 장기요양보험 전문인력에 대한 연구

        박엄지(Park, Eom-Ji),조민석(Cho, Min-Seok),수희(Park, Soo-He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건강조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의 생애전환기 노인 인구의 인지기능 진단 변화와 장기요양서비스 전문 인력 배치 변화의 추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분석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2011~2016년까지의 지역사회 건강결과 및 건강 결정요인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생애전환기에 해당하는 전국 66세 노인인구의 인지기능장애에 대한 수검률, 진단율, 연도별⋅지역별 진단수 변화 등 노인 인지기능장애 진단에 관한 내용과 노인요양시설 전문인력 중 의사, 간호사, 작업⋅물리치료사,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의 인력배치 변화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 생애전환기 66세의 노인 인구의 인지기능장애와 관련하여 평균 77.7% 수검률을 보였고, 진단수의 변화는 지속적으로 상향 경향을 보였고, 평균 42.54%의 진단율을 보였다. 또한, 모든 시 ⋅도 단위를 포함한 진단 수의 전국 평균은 4538.50±537.85명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시설의 전문인력 배치의 연도별⋅직무별 분석 결과 평균 요양보호사 269219.67명, 간호사 10143명, 사회복지사 9332.50명, 작업⋅물리치료사 1740.17명, 의사 1271.17명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구 결과 노인의 건강관련의 검진율 및 노인의 인지기능 장애 진단율이 매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달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인력 변화는 매우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장기요양보험의 효과적인 재활서비스 전달체계의 제도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suggest that changes in the cognitive function diagnosis and the status of long-term care service experts in the transitional elderly population from 2011 to 2016, using community health survey. Methods : For the analysis, a database of community health status and health determinants from 2011 to 2016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 First, the diagnosis of cognitive dysfunction of the elderly, such as the rate of examination, diagnosis rate, and the number of diagnoses by year and region of the 66-year-old elderly population in the life-span transition period. Second,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experts included changes in the workforce assignments of doctors, nurses, occupational⋅physical therapists, care helpers, and social workers. Results : In the 66-year-old elderly population, the average of inspection rate was 77.7%. The numerical change of diagnosis showed a continuous upward trend, and average diagnosis rate of 42.54%. The national average was 4538.50±537.8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yearly and profession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verage care helpers were 269219.67, 10143 nurses, social workers were 9332.50, 1740.17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and 1271.17 doctors. Conclusion : As a result, the health screening rate of the elderly and the diagnosis rate of cognitive impairment of the elderly are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of rehabilitation experts who provide direct services is changing graduall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an institutional plan for effective rehabilit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of long-term care insurance.

      • KCI등재

        단수수 시럽 제조효율 향상을 위한 착즙액 고온처리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엄지(Eom-Ji Hwang),이영훈(Yeong-Hoon Lee),차영록(Young-Rok Cha),권다은(Da-Eun Kwon),진천(Jin-Cheon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6

        본 연구에서는 단수수 시럽 제조효율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수수 착즙액을 고온처리하여 불순물 생성 정도를 확인하고, 고온처리에 따른 착즙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온처리 후 착즙액의 불순물 함량은 110°C(2시간), 120°C(30분, 1시간) 처리에서 7.0~7.5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20°C(2시간), 130°C(30분, 1시간, 2시간) 처리에서 가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불순물 함량이 감소하였다. 착즙액의 당도는 130°C(30분, 1시간, 2시간) 처리에서 무처리 대비 당도가 낮아졌으며, pH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갈색도는 가열 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착즙액 가열온도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fructose와 glucose 함량이 증가하였지만, sucr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종합해보면 단수수 착즙액을 120°C에서 30분~1시간 처리했을때 착즙액의 불순물 제거효율이 가장 높으며, 불순물을 제거한 착즙액을 이용하여 단수수 시럽 제조 시 품질 향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Sugar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human life. However, excessive consumption of refined sugar causes obesity and diabetes. Recently, the demand for natural sugar is increasing. In this study, extracted sweet sorghum juice was first treated at high temperature to remove impurities and produce high-quality sweet sorghum syrup,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by various temperature ranges. While purifying the sweet sorghum juice at various temperatures, the quantum of impurities was observed to be highest at 120°C and decreased at 130°C.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gar content and pH of the sweet sorghum juice was investigated, and the pH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longer the reaction time, the higher the juice’s brownness and the higher the content of fructose and glucose. At the same time, sucrose content was reduced. Finally, the sweet sorghum juice should be treated at 120°C for 30 minutes to 1 hour to attain the highest efficiency in removing impuriti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weet sorghum syrup.

      • KCI등재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부양부담 요인분석

        백순형(Soon-Hyung Baek),박엄지(Eom-Ji Park),조민석(Min-Seok Cho),김희영(Hee-You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5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부양부담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부산 외 4개 도시의 뇌졸중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부양부담과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하였고, 사용된 평가도구는 WHOQOL-BREF와 부양부담감 측정이었다. 회수된 110부 중 유효한 100부만을 통계처리 하였다. 신체적, 사회적, 발달적, 재정적, 시간 의존적 부양부담과 신체적 건강 영역, 심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과 생활환경 영역의 삶의 질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뇌졸중 환자 보호자의 부양부담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부담과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았을 때 재정적 부담이 가장 큰 관련성을 보였다.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는 60대 이상의 고령 여성이 주 보호자인 점을 고려하여 재정적, 감정적, 신체적, 시간적인 부담 측면에 대한 포괄적 논의가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burde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Against the care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 it investigated the caregivers of stoke patient of Busan external 4 cities. The evaluation tool which is used WHOQOL-BREF and care burden inventory. Valid 100 parts of the recovered parts were only 110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level of quality of life in all areas(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relationship, environmental area) and caregiving burden in all areas(physical, social, developmental, financially, time dependence). The Burden of stroke caregivers showed tha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The higher the care burden means that a low quality of life. It shows the largest relevant financial burden and view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life. Stroke caregivers are women of age 60 years or obove. It is require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financial burden, emotional burden, physical burden, time dependence burd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