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주식 휠체어 사용자 관점의 편의점 접근성 실태 평가 및 접근성맵 제작

        박아름(Areum Park),이승희(Seunghui Lee),이현정(Hyun-Jeong Lee)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3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7 No.2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ccessibility status of convenience stores from the perspective of manual wheelchair users (MWUs) and develop accessibility maps. Methods: In March 2022, a checklist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ntry and indoor space driving accessibility status of 62 convenience stores located in three dongs around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Cheongju, and accessibility maps were developed based on that evaluation results. Resul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ly 9.7% of the cases were found to have entrances where “MWUs can enter by him/herself,” while 14.5% had entrances where “MWUs can enter with insignificant assistance from others.” Second, only 3.2% of the cases had an indoor space where “MWUs can move around as is,” while 40.3% were found to have an indoor space where “MWUs can move around if the current shelf positions were adjusted.” Third, only one case out of the 62 cases was found to have both an entrance where “MWUs can enter by him/herself” and indoor spaces where “MWUs can move around as is.” Accessibility maps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entry and indoor space driving accessi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level difference at an entrance exceeding 2 cm must be eliminated by installing a ramp with a slope less than 1/12 so that MWUs can enter without others’ assistance. Moreover, for a smooth indoor driving of MWUs, the spacing of shelves must be planned to be 0.9 m or wider from the preplanning stage or adjusted afterward.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정신치료에 대한 양ㆍ한방 비교 고찰

        박아름 ( Areum Park ),박세진 ( Se-jin Park ),손아현 ( Ah-hyun Son ),허한솔 ( Han-sol Hur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18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29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medical and the Western-medical psychotherapy on PTSD for improving the Korean-medical psychotherapy on this issue. Methods: We surveyed recent articles relating to psychotherapy on the incidence of PTSD. Results: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is study, we note that applying the qigong therapeutics would be helpful when conducting relaxation training on the identified PTSD patients. We understand that taking a systematic desensitization style in the use of the kyungja-pyungji treatment is recommended. It would also be more effective to combine other treatments such as the use of the I-Jeong-Byeon-Gi Therapy and the five minds mutual restriction therapy. We have shown that by using the five minds mutual restriction therapy for the imagery rescripting has a better a synergy effect for optimum patient outcomes for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PTSD. Conclusions: Our study has shown that by improving the shortcomings of the Korean psychotherapy and utilizing Western psychotherapy’s merits, we expect to increase the efficacy of the Korean psychotherapy with these recommendations for changes in this case.

      • KCI등재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연구의 사적 검토

        박아름(Park Ar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한국어 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그 중 쓰기 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는 2001년 처음 시작되었다. 그러나 쓰기 능력 평가 연구사에 대한 사적인 검토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고는 지난 19년간 이루어진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관련 연구 성과들을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쓰기 능력 평가 연구사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인식ㆍ평가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연구들을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으로 크게 나눈 뒤, 각 논문들을 시기별, 연구 주제별로 나누어 살폈다. 그 결과 학위 논문의 경우 학술지 논문에 비해 주제가 다양화되지 못한 경향을 보였으며, 학술지 논문의 경우 학위 논문보다는 세부적으로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었으나 여전히 특정 주제에 편중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지금껏 많은 논의가 이루어진 한국어능력시험 관련 연구 및 학문 목적 쓰기 평가 도구의 개발, 쓰기 채점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채점자 신뢰도 관련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져야겠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논의가 진행되지 못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쓰기 능력 평가 관련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has been active since the late 1990s, and the study of writing ability assessment was first started in 2001. So far, however, no historical review has been made of the study.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objectively recognize and evaluate the trends of research in the assessment of Korean writing ability, and to help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conducted over the past 19 years. To this end, the research was first divided into papers and academic papers. And each paper was divided by time and topic. As a result, dissertation papers dealt with limited subjects, and academic papers also tended to be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While research on improving TOPIK, developing academic writing assessment tools and reliability of scorers should continue, research on the writing assessment of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which has yet to be discussed, should also be carried out actively.

      • KCI등재

        현대 한국어 ‘귀찮다’,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의미 분석

        박아름(Park Ar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유의어의 정확한 의미 기술을 위한 하나의 기초적 연구로서, 문장 안에서 필수적 역할을 하지만 그 의미 차이를 변별하기 어려운 감정 형용사 유의어 가운데 사전의 뜻풀이가 서로 순환되어 나타나는 ‘귀찮다’,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의미 특성을 분석·기술하였다. 우선 ‘귀찮다’의 사전 간 상이한 뜻풀이를 동일하게 정리하고, 이와 유의 관계에 있는 ‘성가시다’, ‘번거롭다’의 변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유의어의 의미 기술을 보다 정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의어의 의미 분석과 기술은 사전 편찬뿐 아니라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특히 어휘 교육은 언어 학습의 초급 단계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유의어의 정확한 의미 분석과 기술은 한국어 학습의 전 단계에 걸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accurate semantic analysis of synonyms. Adjectives play an essential role in sentences, but emotional adjectives in particular are hard to tell the difference in meaning. This study analyze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gwi-chanh-da’, ‘seong-ga-si-da’, ‘beon-geo-lob-da’, which are described in the same sense in the dictionary. First, the meaning of ‘gwi-chanh-da’, which is explained differently in each dictionary, is equally summarized. And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ynonyms ‘seong-ga-si-da’ and ‘beon-geo-lob-da’ were analyzed. Semantic analysis and explanation of synonyms is essential not only in the compilation of dictionaries but also in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vocabulary education, in particular, starts from the early stages of language learning, precise semantic analysis and descriptions of the synonyms can help throughout the entire stage of Korean learning.

      • KCI등재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아름(Park Ar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유의어를 쉽게 변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물리적 지면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접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유의어 변별 사전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고는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사전의 표제어 선정 및 의미 정보 기술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한국어 유의어 사전에서 다루지 않았던 고급 수준의 부사어를 중심으로 사전의 표제어를 선정하였고, 어휘 및 용례 검색을 위해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김중섭 외, 2017), 『넓은 풀이 우리말 유의어 대사전(낱말 편집부, 2010)』,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원,1999)』, 국립국어원의 현대 구어 및 문어 말뭉치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의 현대 한국어 용례 검색기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59쌍의 고급 부사 유의어 군을 추출하였으며, 유의어의 공통 특성과 시차 특성을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기술할 뿐 아니라 최근 검색 단어 및 관심 단어 저장 기능, 퀴즈 등 모바일 환경의 장점을 활용한 의미 정보 기술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바일 한국어 유의어 변별 사전의 개발은 모어 화자를 위한 사전 편찬뿐 아니라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so that Korean learners can easily distinguish and use synonyms, bu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 and increase learners accessibility. A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this paper focused on vocabulary selection and semantic explanation. To this end, we selected advanced adverbs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referred to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andard Korean Language Standard Curriculum (Kim Joong-sup et al., 2017) to search for vocabulary and examples. Accordingly, 59 pairs of advanced adverbial synonyms were extracted, and the advantages of the mobile environment were to be utilized as well as to explicitly distinguish commonality and parallax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 of such a mobile-based Korean synonym dictionary is an essential task for the compilation of native speakers dictionaries as well as for their u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태양광 폐 모듈의 처리현황 및 실용화 기술

        조재영,박아름,윤현목,전연수,김준수,Cho, Jai Young,Park, Areum,Yun, Hyun Mok,Jun, Yun-Su,Kim, Joon 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20 資源 리싸이클링 Vol.29 No.4

        Recently, it is increasing a amount of installed solar-cell rapidly, and end-of-life photovoltaic(ELP) modules are generated in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cell efficiency largely. Recycling of ELP modules are begun at an advanced nation already, but there are bring abou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resource recovery problems owing to not treated ELP modules because of economic cost completely. First of all, there were researched basic study for treatment conditions of used solar cell inspection, dismantling of aluminum frame, crushing / grinding & separation of tempered glass, removal of back sheet & EVA film, leaching & precipitation recovery of valuable metals and treatment of waste water. Therefore, we establish optimum conditions through carried out of designed apparatus, installation of equipment, test operation & trouble shooting in scale of 1ton/day pilot plant test. Following to economic review, it does have the economic efficiency until to the case of tempered glass recovery, but does not have the economic value in case of total processes until to recover the valuable metals. However, there are guaranteed economic value if we are gained a large amount of the expenses through EPR supported system. It was confirmed the commercialized possibility of ELP modules recycling if there were established on the collecting ELP modules, reusing criteria, economical technology, enactment of directives and enforcement of EPR supported system efficiently.

      • KCI등재

        배추좀나방의 계절적 발생과 월동집단의 유전적 분화 감소

        김은성,박아름,박영진,김주일,김용균,Kim, Eunseong,Park, Areum,Park, Youngjin,Kim, Jooil,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4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국내 자연 상태에서 월동한다. 안동지역에서 이른 봄부터 배추좀나방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성충 발생 시기를 주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연중 4 회의 성충 발생 피크를 보였다. 월동 집단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지역 집단 간 생물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내한성, 약제감수성 및 발육속도에서 뚜렷한 집단 특성을 나타냈다. 분자마커로 집단변이를 분석한 결과 월동세대의 높은 집단변이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배추좀나방의 국내 월동 집단 사이의 생물적 특성 차이를 나타냈고, 이들의 높은 유전적 분화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이들 집단 사이의 개체들의 이동에 따른 유전적 교환이 이뤄졌다는 것을 제시했다.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overwinters in some protected areas in Korea. Using a sex pheromone trap, the adults were monitored since the occurrence of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In Andong, P. xylostella exhibited four adult peaks in a year. Biological characters, such as cold tolerance,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developmental rate, were analyzed and showed a significant variation among different local overwintering populations. Population genetic variation was assessed with molecular markers, in which the initial high genetic variation among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decreased with the progress of season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re may be a significant migration of P. xylostella to decrease the genetic variation among the different local populations that are different in biological characters.

      • NiO-TiO<sub>2</sub> 광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태양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박경희(Park, Kyunghee),김은미(Jin, Enmei),조흥관(Zhao, Xingguan),박아름(Park, Areum),왕교(Jiao, Wang),구할본(Gu, Halb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가능한 광전자의 이동경로에 대해 살펴보면 빛 에너지를 흡수한 루테늄계 염료는 기저상태에서 여기상태로 전이한 후 광전자의 반도체 전도띠로 전자주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 중 일부는 반도체산화물의 트랩으로의 전이와 트랩에서 염료 기저상태로의 전이가 일어나고 일부 전자는 전해질의 이온종 또는 산화된 염료와 재결합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자의 재결합을 막고자 p형 반도체인 NiO paste를 제작하여 TiO₂ 광전극 층 위에 코팅하였다. 코팅된 NiO 층은 홀수용체로서 염료에 전자를 제공해 주는 역할과 동시에 TiO₂ 가전도대로 이동되었던 전자들이 염료의 기저상태의 홀이나 전해질로의 전자 유입이 이루어지는 전자의 재결합을 막는 방벽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된다. 제작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셀의 에너지 변환효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000 W Xe Arc Lamp와 Air Mass 1.5, filter가 장착된 Thermo-Preal (USA) Solar simulator system을 사용하여 개방전압 (Voc), 광전류 (Isc), fill factor (FF), 에너지변환 효율 ({eta})을 조사하였으며 광학현미경을 통해 염료의 흡착 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NiO의 코팅 두께나 NiO 나노입자 크기에 따라 염료감응형태양전지에서 에너지변환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NiO가 코팅되지 않은 TiO₂ 광전극과 비교해 볼 때 NiO 코팅시 Voc와 Isc의 증가로 인해 에너지변환효율이 20% 이상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