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직무수행 비교 연구

        박순호,고은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bout various task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lead students better prepared in their first year as teachers when they graduate from college. To do th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ers' performing frequency and difficulty of various tasks between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was carried out. Questionnaires with 122 questions were created for analysis, and 134 teachers, who all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ir colleg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Firstly, it was found that, in respect of performing frequency, childcare center teachers have higher frequency in teaching preparation tasks, learning specialty skills, parents-related tasks and event-related tasks than kindergarten teachers do. Secondly, it was found that, in respect of difficulty, kindergarten teachers feel more difficulties in preparation of teaching, practicing of teaching tasks, assessment tasks, tasks related to child safety and event-related tasks of center than childcare center teachers do.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a few suggestions are provided to assist pre-service teachers and beginning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를 졸업하고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현재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의 빈도와 어려움을 알아봄과 동시에 또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수행의 빈도와 어려움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근무기관 별, 경력 별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한 직무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전문성 신장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과를 졸업한 유치원 교사 162명, 보육교사 170명, 총 332명 교사를 대상으로 직무수행을 알아보았으며, 연구도구로는 총 122문항으로 구성된 유아교사의 직무분석을 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 간 직무수행빈도에서 교수학습준비, 실제, 평가영역, 유아보호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등에서 보육교사가 직무수행의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가 교수학습 실제, 유아보호관련 업무, 사무관련 업무에서, 보육교사가 교수학습 평가영역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어려움을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과를 졸업한 초임교사들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의 빈도와 어려움이 반영되는 예비보육교사 양성프로그램이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반응형 웹 기반 선박 보조기기 및 배관 상태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박순호,최우근,최경열,권상혁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6 No.6

        The alarm monitoring technology applied to existing operating ships manages data items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with AMS (Alarm Monitoring System) and provides an alarm to the crew should these sensing data exceed the normal level range. In addition, the maintenance of existing ships follows the Planned Maintenance System (PMS). whereby the sensing data measured from the equipment is monitored and if it surpasses the set range, maintenance is performed through an alarm, or the corresponding part is replaced in advance after being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whether the target device has a malfunction or not.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operational safety of ship engin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enable advanced diagnosis and prediction based on real-time condition monitoring data. To do so, comprehensive measurement of actual ship data, creation of a database, and implementation of a condition diagnosis monitoring system for condition-based predictive maintenance of auxiliary equipment and piping must take place. Furthermore, the system should enable management of auxiliary equipment and piping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 responsive web, and be optimized for screen and resolution so that it can be accessed and used by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s well as for viewing on a PC on board. This update cost is low, and the management method is easy. In this paper, we propose CBM (Condition Based Management) technology, for autonomous ships. This core technology is used to identify abnormal phenomena through stat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pumps and purifiers among ship auxiliary equipment, and seawater and steam pipes among pipes. It is intended to provide performance diagnosis and failure prediction of ship auxiliary equipment and piping for convergence analysis, and to support preventive maintenance decision-making. 기존 운항선박에 적용되어 있는 알람 모니터링 기술은 온도, 압력 등의 데이터 항목을 AMS(Alarm Monitoring System)으로 관리하고 해당 센싱 데이터가 정상 수준 범위를 초과할 경우만 선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선박의 정비는 PMS(Planned Maintenance System)를 따른다. 이는 장비로부터 측정된 센싱 데이터가 설정범위 이상으로 측정되어 이에 따른 알람을 통해 정비하거나, 대상 기기의 고장 유무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 사용 후 해당 부품을 사전에 교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선박 기관운영의 신뢰성과 운항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의 사전적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실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선박의 보조기기와 배관의 상태기반 예지보전을 위한 상태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특히 반응형 웹 기반으로 선박의 보조기기와 배관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선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에서 보는 용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접근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화면과 해상도에 맞춰 최적화된 상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업데이트 비용이 적게 들며, 관리 방법도 쉽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 핵심 기술인 상태기반정비(Condition Based Management, CBM)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의 보조기기 중 펌프와 청정기, 그리고 배관 중 해수 및 스팀 배관의 상태 진단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 현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융합 분석할 수 있도록 선박 보조기기 및 배관의 성능 진단 및 고장 예측에 활용하여 예방정비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국제결혼 아시안 이주여성의 공간분포 특성과 그 요인

        박순호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결혼 아시안 이주여성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그 요인을 다중회귀분석과 회귀잔차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국제결혼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아시안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현재 91.9%를 차지하며, 이들의 국적도 점차 다양화 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농어촌 지역을 비롯한 여성 결혼대상자의 실질적 부족과 많은 사회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국제결혼 중개업체의 역할을 들 수 있다. 아시안 이주여성은 실제로는 대도시를 비롯한 도시 지역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입지계수는 농어촌 지역이 훨씬 높다. 농림수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 남성의 경우 2~3명 중 1명은 외국인 여성과 국제결혼을 하고 있다. 아시안 국제결혼 이주자들의 지역적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는 농업인구비율, 외국인 노동자비율과 1인당 병상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의 국제결혼 경로는 농어촌지역의 경우에는 결혼중개업소를 통한 비율이 높은 반면에 도시지역의 경우는 그들의 가족이나 친구들의 소개를 통해 결혼하는 이주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이 도시적 성격이 강한 외국인 노동자비율과 1인당 병상수가 중요한 변수로 선정된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다중회귀분석의 설명력은 단위지역의 약 60%이나 회귀잔차분석을 통하여 설명력은 약 80%까지 가능하였다. 그 외 지역에 대한 요인 분석은 분석모델의 한계점인 동시에 향후 연구과제이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에 대한 대구시 초·중등학교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박순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1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rctersitics of cogni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494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Daegu City. To obtain the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ers?perception, concept, necessity and reas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time and method to implement it. Teachers had the low level of percept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Female teachers or teachers experiencing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clined to see it in the multiculturalism perspective; while, male teachers or teachers not having teaching it tended to understand it in the assimilation viewpoint. Most teachers consider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so that they thought that it would be necessary at schools. They cognized that it helped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tudents in mainstream culture and students in minority 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taught from elementary school in holistic approach.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tion more strongly influenced on its cognition of teacher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sex, age and their school place. Therefor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raining programs for would-be teachers and in reeducation programs for school teachers should be reinforced. 본 연구는 대구시 초·중등학교 교사를 사례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지정도와 다문화교육의 개념, 다문화 학교교육의 필요성과 이유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실시시기와 방법에 대한 인식 실태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지정도는 보통 이하이며, 다문화 개념에 대해서는 여성과 다문화교육의 유경험자일수록 다문화주의적 관점에서, 남성 혹은 다문화교육 무경험자일수록 종래의 동화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현재 학교교육에서는 다문화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인식이 강하고, 그 결과 다문화교육은 필요하며, 그 주된 이유로는 주류문화집단과 다양한 소수문화집단 상호이해로 인식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부터 실시하되 범교과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강하다.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속성은 성, 연령, 근무학교 그리고 다문화교육 경험이나 특히 다문화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가장 크다는 점에서 예비교사 양성교육과 현직교사의 재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사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국 다문화 교육의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위스콘신주의 오클래르교육구를 중심으로

        박순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au Clare Area School District, Wisconsin in the U.S. and attempte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 for Korea. Korean polic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ently shape international married migrants, foreign workers and their children to assimilate into Korean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S. trying to achieve educational reform helps minorities to hav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school.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reconsidered from multiculturalism standpoint. To achieve the goal based on multiculturalism, the educational reform is needed. The central Korean government needs to encourage the local education office to generate measurements mee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Programs like 'new Beginning' are necessary to keep children of multicultual family from dropping out schools. The local community in which public school closely relates to community educational programs, generates synergy effect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olicies utilizing the volunteers should be created. 본 연구는 위스콘신주 오클래르 지역교육구를 사례로 다문화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기초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은 국제결혼이주자와 외국인 근로자와 그 자녀를 한국문화에 동화시키고 사회화시키려는 성격이 강하다. 반면에 미국의 다문화교육은 주류와 비주류가 교육현장에서 동일한 지위를 가질 수 있는 교육개혁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도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다문화교육 목표를 재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 중앙정부는 다문화교육의 대원칙을 제시하고 지역교육청 단위로 지역특성에 맞는 다문화교육정책을 수립·실시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취학자녀의 ‘탈학교현상’을 예방하고, 이들을 학교로 복귀시키기 위한 ‘새 출발(New Beginning)’과 같은 프로그램을 개발·실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연계를 통하여 시너지효과를 제고하는 동시에 자원봉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정책대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