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론」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교직에 대한 인식 분석

        박수정(Park, Soojung),한은정(Han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론」 수업 과정에서 나타난 대학생들의 교직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9년에 실시된 교육학과 전공 수업인 「교사론」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이며, 이들이 제작한 스마트폰 영화의 주제와 수업 과정에서 작성한 수업 성찰문을 주요 연구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에서 교직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유의미하게 발견되는 학습 경험에 대하여, 특정 주제에 관한 기본단위로 분류하고 범주를 선정하여 세부 내용을 분석하되, ‘수업 전의 인식’과 ‘수업 후의 인식’으로 나누어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은 초ㆍ중ㆍ고등학생 시기에는 다소 거리를 두고 “관람객”과 같은 학생의 관점에서 교사를 바라보고, “이상적인 존재”로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점은 「교사론」수업을 거치면서 학창 시절의 교직에 대한 추상적인 관점에서 교사의 ‘현장 및 현실에 대한 관점’으로의 확장, 교사의 힘든 점에 대한 “공감”, 교사의 역할 및 교직의 의미에 대한 성찰로 이어졌고, ‘교직’에 대한 관점에서 나아가 ‘교육’에 대한 고민으로 발전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생들이 타 직업군에 비해 교사를 많이 만나고 경험하였으나, 이로 인해 교사에 대한 인식이 미성숙한 학생의 관점에서 형성되고 이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 ‘교육을 위한 교사’의 관점이 「교사론」과 같은 대학 수업을 통해 형성되는 경험을 하고 있으며, 영화 제작과 교사 면담과 같은 방법이 이를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by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urse of the “Teaches cla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s class, a major subject in department of education held in 2019, and collected the subjects of the smartphone movies they produced and the reflective journals for class as major research materials. For the learning experiences found significantly in relation to the perception of teaching in the data, the detail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basic units on a particular topic and selecting categories. The process of change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re-class perception and ‘post-class perception .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university students looked at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such as “audience with some distance dur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nd recognized them as “ideal beings . This view was analyzed to extend from an abstract perspective on teaching in school days to an “perspective on field and reality , to reflection on teachers’ difficulties, roles and meaning of teaching, and it started from a teacher s point of view, but developed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is shows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met and experienced teachers more than other occupations, but this tends to form and stay in the perspective of immature students. It suggests that the perspective of “teacher for education is formed through university classes such as “teachers”, and that methods such as film-making and teacher interviews can facilitate this.

      • KCI등재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교육의 성찰과 과제

        박수정(Park, Soo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사양성교육에 초점을 두어 지금까지 제기된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근본적으로 성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원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 교육대학원의 현황 및 최근의 변화를 살펴보고,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선행 연구 결과와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교육대학원은 중등교사와 비교과교사 양성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양성 기능과 재교육 기능의 혼재로 정체성이 분명치 않고, 교사 양성에 있어서 주변적인 기관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근본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항들로 교육대학원 교사양성교육의 필요성, 교사양성에서 교육대학원의 역할, 교사양성교육의 질 관리 등을 논의하였고,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 교사교육자의 정체성 확립, 전문성 개발, 정책적 지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ssues and present fundamental tasks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recent change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state and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presented b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an important role for educate secondary and nonsubject teacher, but identity is unclear due to mixtur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stay for minor institution in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tasks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discussed as follows; why do we need teach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at is the rol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eacher education? how do we control quality of teacher education? As a direction for development, teacher educators should confirm identity and develop capacities, and relevant policies should be provided are suggested.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여가스트레스전략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Soojung Park),임진선(Jinsun Lim) 한국여가문화학회 2023 여가학연구 Vol.21 No.2

        최근 국내 대학에서 학위 과정 중인 외국인 유학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은 한국 문화적응에 큰 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여가스트레스전략이 직접적으로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23년 3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 국내 거주 기간이 3년 이하이며 교양 한국어 수업을 듣는 외국인 유학생 264명을 유목적표집으로 조사하였다. 이후 응답이 누락된 39부를 제외한 최종 225부의 설문지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가스트레스전략 중‘여가교우’와 ‘여가완화대처’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여가분위기향상’은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여가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y were found to have great stress in accultu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how leisure stress coping measures directly affect cultural adaptation stress. To this end, 264 people were collected using purposeful sampling from foreign students who lived in Korea for less than three years from March 1 to March 20, 2023. After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with the final 225 questionnaires, excluding 39 copies with missing respons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isure companionship’ and ‘leisure palliative coping’ had a positive effect on relievi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while ‘leisure mood enhance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lieving cultural adaptation stress. Afterwards, based on these results, a leisure plan was specifically proposed to leisure stress coping of foreign students.

      • 평생교육의 관점을 토대로 한 중학교 「진로와 직업」교과서 분석

        박수정 ( Soojung Park ),조덕주 ( Duckjoo Cho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3 No.-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평생학습사회로 원활하게 나갈수 있도록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중학교「진로와 직업」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며 해당 교과서가 평생교육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현실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자기주도성의 원리를 토대로 분석하고, 향후 「진로와 직업」교과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진로와 직업」교과서에는 현실성과 자기주도성의 원리가 같은 빈도로 많이 제시되어 있었고, 통합성의 원리는 상대적으로 적게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현실성의 원리와 자기주도적 원리에서 현실의 범위 및 자기주도적 결정의 대상이 제한적이라 판단되고, 통합성의 경우도 가정, 부모, 친구, 주변 직업인으로 그 관계가 제한적이며, 평생교육의 주요 특징인 적극적인 수직·수평의 관계 맺음으로 나아가고 있지 못함이 드러났다. 주요 개선 방향으로는 통합성의 원리가 좀 더 반영되어, 교과의 경계를 벗어나 생애적 관점에서 꾸준히 통합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생학습사회에 대한 실제 경험의 기회를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iddle school 「Career and Vocation」textbook based on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to guide students to move forward to lifelong learning society through career education at school. By literature review, the principles of practicality, integration, and self-directed were selected as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se 3 principles were used as criteria for analyzing textbook.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rst, the principles of practicality and self-directed which were in equal frequency were presented more than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Second, the span of practicality and self-directed was limited and subjects of integrity was also limited to student`s narrow surrounding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 specific guidelines for complementing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And the activities that guide to use resources of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resources beyond student`s surrounding circumstances should be explored for student to prepare lifelong learning society.

      • KCI등재

        조선후기 수령 오횡묵의 교육행정 활동 분석

        박수정(Park SooJ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1

        조선시대 지방교육행정가인 수령(守令)이 수행한 교육행정의 실체와 활동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총쇄록(叢?錄)』에 나타난 수령 오횡묵(吳宖默)의 교육행정 활동을 정리, 분석하였다. 19세기 후반 정선과 여러 지역 수령으로서 오횡묵이 수행한 교육행정 활동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사행정(훈장ㆍ교임 선정, 선물 배부), 재무행정(양사재 건립비용 마련), 시설행정(양사재 중수), 학사행정(권학전령(觀學傳令) 반포, 서당 조사, 강회(講會), 고강ㆍ순제(旬製)ㆍ백일장(白日場)), 의례행정(향교 알성(謁聖), 석전제 거행), 과거행정(과거시행 일정 전달), 그리고 홍학을 위한 행정 (양사재 건립, 면훈장제 운영, 영학 관련 업무, 감영의 지시에 따른 시험 실시) 활동이 확인된다. 여기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권학(勸學)을 권농(勸農)과 함께 지방행정의 우선적인 과제로 삼았고, 수령에게 기대된 교육행정 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평가하는 활동과 홍학을 위한 적극적인 행정 활동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도와 연계된 교육행정 활동을 수행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at a local governor as an educational administrator had performed in Chosun Dynasty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ctivities in ChongSwaeRok(叢?錄) written by OhHoengMuk(吳宖墨). His educational administration activities as a local governor of Jeongseon-gun and other towns covered personnel administration(selection of teacher and faculty, distribution of gifts), finance management(rasing fund to build a new public school "YangSaJae"(養士齊)), facility maintenance(remodeling YangSaJae), academic affairs administration (proclamation of an official message of encouragement of learning(勸學傳令), check on schools, meeting for lectures(講會), students' achievement test), rites administration("AlSeong"(謁聖), "SeokJeonJe"(釋奠祭)), civil examination administration (conveyance of the civil examination schedule), and promot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work related YangSaJae, a system of the appointing teachers to a small village(面訓長制), province-wide school(營學)). What we can identify from his case are as follows. He made it a priority to encourage learning as well as agriculture. He accomplished his work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government expected a local governor to do it. He also performed dynamically and spontaneously the work of testing students' achievement and encouraging learning. He conducted the activiti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were connected a province.

      • KCI등재

        중등교육실습의 확대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박수정(Park, SooJung),이인회(Lee, In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예비 중등교사의 교육실습은 일반적으로 4학년 1학기에 4주간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중등교육실습이 기간과 내용 측면에서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범대학 차원에서 중등교육실습을 확대 운영하는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중등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개 사범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실습 기간의 확장과 내용의 심화 사례를 정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교원대는 참관실습과 수업실습(4주), 수업실습과 실무실습(4주)으로 이루어지는 ‘실습단계 확대형’, 충북대는 참관실습(2주)과 수업실습(3주)으로 이루어지는 ‘참관실습 확대형’, 충남대는 교육실습 사전사후교육(15시간)과 교육실습(4주)으로 이루어지는 ‘실습교육 확대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확대를 위한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raised that a four week teaching practicum in secondary schools (TPSS), practiced at the first semester of university fourth grade, is not sufficient from the viewpoints of the period and the contents of TPS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ncrete implications improving TPSS by analyzing its expansion cases in normal university level. To do so, the three cases of College of Education that expanded the period of TPSS and deepened its conten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three TPSS models were discovered as follows: The first one wa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odel, consisted of a four week field observation practicum - student teaching practicum, and another four 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 practical training. It could be called the teaching practicum stage expansion model. The second one wa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odel, consisted of a two week field observation practicum and a three 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It could be called the field observation expansion model. The third one wa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odel, consisted of pre- and after-education of teaching practicum and a four week student teaching practicum. It could be called the pre- and after-education expansion model. Based upon those results, both basic directions and concrete strategies for TPSS were provided.

      • KCI등재

        시도교육청의 혁신교육지구 정책 분석:2020학년도 혁신교육지구 계획을 중심으로

        박수정(Park, SooJung),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혁신교육지구 사업은 2011년에 경기도교육청에서 처음 시작하여 10년이 경과하였고,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계획·운영하고 있는 정책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도교육청에서 추진하는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내용을 파악하여 종합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혁신교육지구 정책의 현황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혁신교육지구를 추진하는 16개 시도교육청의 2020학년도 혁신교육지구 계획 문서를 수집하고, 혁신교육지구의 명칭, 비전, 개념, 목표, 거버넌스, 조례, 추진과제, 구성원 역량 강화, 질 관리를 분석 항목으로 설정하여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혁신교육지구의 명칭으로는 혁신, 행복, 지역명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혁신교육지구의 비전에서는 마을/지역이, 개념에서는 소통/협력이 많이 나타났다.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초단위 거버넌스에 대한 내용이 많았고,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는 곳이 많았으며, 마을교육공동체 조례에 기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혁신교육지구의 추진과제는 마을학교 및 교육공동체 운영 지원이, 구성원 역량 강화는 마을 강사(활동가)에 대한 연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질 관리를 위해 자체평가와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혁신교육지구 정책 도입 시기에 따른 지역 간에 시차가 있었지만 정책의 동형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혁신교육지구 추진과제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 주민의 수요와 참여에 기반한 정책이 되어야 한다. 셋째,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거버넌스가 구축되고 조례가 제정된 지역에서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넷째, 혁신교육지구의 구성원의 역량 강화는 다양한 대상과 방법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 first started in 2011 at the Gyeonggi Office of Education, and 10 years have passed, and it is a policy planned and operated by most offices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and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by analyzing the comprehensiv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y grasping the content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promot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16 provinci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at promote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collect the planning documents for the 2020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analyze the name, vision, concept, goal, governance, ordinances, promotion tasks, member competency strengthening,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The main contents were analyzed by setting them as items. Results Innovation, happiness, and local names were most often used as the names of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s. In the vision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villages/regions appeared, and in the concept, communication/cooperation appeared a lot. Since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 is carried out by the basic municipality, there is a lot of content on local governance, and there are many places that enact related ordinances for smooth project promotion, and in many cases it is based on the ordinan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The promotion task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was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village schools and educational communities, and training for village instructors (activists)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members, and self-evaluation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were conducted for quality management. Conclusions First, there was a time lag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time of introduction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olicy, but the policy was isomorphism. Second, the initiatives for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should be a policy based on the needs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ird,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projects are actively being promoted in regions where governance for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has been established and ordinances have been enacted.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members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through various targets and methods.

      • KCI등재

        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 및 시사점

        박수정(Park, SooJung),박경희(Park, KyungHee),김경주(Kim, KyoungJu),방효비(Fang, XiaoFei),한소민(Han, So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최근 혁신교육지구 사업과 마을교육 실천을 위하여 지역의 자원을 조사하고 활용하자는 요구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는 대전 서구 지역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 사례의 과정과 내용을 정리하고, 마을자원의 조사, 구성, 활용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마을자원 지도 제작은 1) 지역의 교육 여건 및 현황, 교육자원에 대한 조사, 2) 교육자원 현황 조사 결과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와 인식 분석, 3) 주민 수요에 기반 한 마을자원 분석 및 구조화, 4) 주민 수요 중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의 4단계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혁신교육지구의 마을자원 지도 제작은 마을자원의 유형 분류와 현황 조사, 다양한 배경과 전문성을 가진 연구자들의 협업과 피드백, 주민 수요에 관한 심층 면담과 요구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마을 주민들은 거주하는 마을에서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마을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고, 마을자원에 대한 정보 부족이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민 수요를 중심으로 제작한 마을자원 지도는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수업 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다양한 경험을 가진 마을활동가들을 연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며, 혁신교육지구나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된 자원과 지도를 활용하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및 데이터베이스화, 그리고 온라인 서비스 제공과 같은 활용 방안이 요구되며, 마을자원 지도의 제작과 지속적인 개선, 기초 단위(시, 군, 구)보다 작은 마을 단위의 지도 연계 제작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Recently, the needs to investigate and utilize local resources for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nd village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summarizes the case of making process on the village resource map of Seo-gu, Daejeon, in Korea, which is promoting the new Project of the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and intende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investigation,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village resources. Methods Village resource mapping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Survey of local educational conditions, current status in the region and resource-linking resources, 2) Survey and analysis of residents perceptions on the educational resources status, 3) Analysis and structure of educational resources centered on residents needs, 4) It consisted of four stages of developing need-oriented village resource maps. Results Village resource mapping in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s was conducted through classification and status surveys of village resources, collaboration and feedback from researchers with diverse backgrounds and expertises,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of needs of residents. Villagers had a high need for local education, which they could experience in various ways in their villages, and it was confirmed that a lack of information on village resources could be a hindrance to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 map of village resources produced by the resident needs may be utilized as teaching materials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of school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ink local activists with diverse experiences. It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innovative education zones or local education community proj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ctive promotion, databaseization, and online service provision are required to utilize investigated resources and maps, it proposed the mapping of village units smaller than the local government (city, county, and district).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의 관계

        박수정(Park, Soojung),방효비(Fang, Xiaofe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교사학습공동체가 학교 변화와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요한 방법으로 부상하였고, 바람직한 학교문화를 조성하는데 교사학습공동체가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적극적인 교사학습공동체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2017년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학습공동체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학습공동체는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비전공유와 협력학습’, ‘시간확보와 재정지원’은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에 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특히 중요한 요인은 비전공유와 협력학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장 교사, 교장, 교감, 그리고 초등학교, 공립학교,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교원이 민주적, 협력적 학교문화를 상대적으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very important methods for school change and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Focused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how to create the desirable school cultu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Therefor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2017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belong to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which the policy has been actively promoted. The effec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eacher learning commun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Both the vision shar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supply of time and finan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Especially, vision shar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Head teacher s, principals, vice-principals, elementary schools, public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had an high influence on democratic,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Based on these finding,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