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주거만족도 비교연구

        박서연,전희정 한국도시행정학회 2018 도시 행정 학보 Vol.31 No.4

        This study examines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We ask two research questions: 1) For which group between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is the level of residential satisfaction higher?; 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between public housing residents and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 analyze the 2016 Korea Housing Survey by employ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is study has two major findings: 1) The level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s higher for public housing residents than for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2) While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is affected by both housing facilitie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housing choice voucher recipients is affected mostly by neighborhood environment. 본 연구는 주거복지정책의 공급측면과 수요측면 정책을 비교하기 위하여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주거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와 주거급여 수급가구 중 어느 집단의 주거만족도가 더 높은가? 둘째, 두 집단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한가? 본 연구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2016년도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t-test 및 χ2 test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주거만족도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주거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주거만족도는 주택 시설과 근린환경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 반면,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주거만족도는 주로 근린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각 대상집단에 대한 차별적인 주거복지정책을 시행함에있어 각 집단의 주거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어떠한 요소를 고려하여 정책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대한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아시아 국가별 물 안보 평가

        박서연,이승호,이현주,이주헌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S-1

        Recognizing a complexity of global water challenges, such as water shortage, water pollution, water-related disasters, and degradation of water environments, this study introduces the newly established concept and definition of water security and water 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works on water security. In order to critically assess the situations of water security of each country, an water 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is employed highlighting the four core areas: 1) social equity; 2) economic efficiency; 3)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4) resilience to water-related disasters. 28 Asian countries have been selected and evaluated for the level of water security, and as a consequence, Japan, Malaysia and South Korea demonstrate a high degree of water security whereas India, Pakistan and the Philippines show a relatively low level of water secur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larifying weak areas in water security as well as suggesting the areas that should be improved for achieving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전 세계가 물 부족, 수질오염, 수재해, 물환경 생태계 파괴 등과 같은 물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 물 문제에 대한 현실 인식을 기반으로 현재까지의 물 안보 논의를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물 안보에 대한 체계적인 정의를 내리고자 하였다. 또한, 각국의 물 안보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 안보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사회적 형평성, 경제적 효율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수재해 회복 탄력성 등 4개 핵심 분야(core area)에서 물 안보 상황을 평가하였다. 대상으로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28개국을 선정하여 4개 핵심 분야에서 각국의 물 안보를 평가하였고 한국은 일본, 말레이시아와 함께 물 안보 상황이 좋은 상위군에 속하였고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등은 물 안보 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제시한 물 안보 정의와 평가 프레임워크는 각국의 물 안보 현황 인식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향후 물 안보 향상을 위해 중점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인천국제공항의 저비용항공사 운영효과 분석

        박서연,박용화,장월화 대한교통학회 2019 大韓交通學會誌 Vol.37 No.3

        Since 1990, demand for air travel in the Asia-Pacific region has been growing at a much higher rate than in other regions. The main reason is the role of low cost carriers (LCC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CN), the representative airport of the region, was selected for analy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CC on the network structure of hub airport, and also examined whether the LCC contributes to airport revenue and how it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hub airport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flights operated by the LCC in terms of airport operations. In terms of network structure, ICN has been found to have increased network length and density due to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LCCs since 2010. As a result, the number of passengers at ICN has increased year by year, and the number of aircraft flights has also increased. ICN can be evaluated as having balanced development of short, middle and long-haul routes due to its network structure. However, recent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lights on medium and short distance routes by LCCs has been evaluat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airside congestion and delay. Als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CCs, which have relatively small-size aircraft operations in terms of airport profitability, their contribution to landing fees was low. 1990년 이후부터 아시아 ‧ 태평양 지역의 항공수요는 여타 지역보다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였는데, 그 주된 이유는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역할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을 대상으로 하여 허브공항의 네트워크 구조에 LCC가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LCC가 과연 공항수익에 기여하는지와 공항운영측면에서 LCC의 항공기 운항회수의 증가로 인한 허브공항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코자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은 네트워크 구조로 볼 때 2010년 이후로 LCC들의 절대적인 기여로 인해 네트워크 길이 및 밀집도가 증가되어 온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여객 수는 매년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항공기 운항회수도 동반하여 증가해 왔다. 인천국제공항은 네트워크 구조상 단 ‧ 중 ‧ 장거리 노선이 균형 있게 발달되어 왔다고 평가할 수 있겠으나, 최근 LCC들에 의한 중 ‧ 단거리 노선에서의 급격한 운항회수 증가로 인해 공항 에어사이드(airside)의 혼잡 및 지연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공항수익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항공기 운항이 대부분인 LCC들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착륙료 수익에서는 기여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 KCI등재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어린이 시설의 실내 공기질 분석

        박서연,우창규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24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20 No.1

        Children are vulnerable to bad indoor air quality, and many researches on indoor air quality have been done with various methodologies. Herein, we used the genetic algorithm, one of the optimiza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based on better estimation values that are not easy to measure. A children playroom and a Taekwondo gym were chosen for the different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fter estimation of the number of occupants, the generation degree of CO2 and PM2.5 were determined from the data of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s. Relative errors were below 1% for all cases. Due to many air-treating electronics, the PM2.5 in the children playroom was well-managed compared to that in the Taekwondo gym. The PM2.5-generating activities were calculated and that of the Taekwondo gy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ildren playroom. The PM2.5 generating values were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2 generating values. This means that we can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from limited measurement data. For the numerous children facilities, indoor air quality can be easily analyzed and this might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hildren health.

      • KCI등재

        청소년을 위한 명상 프로그램에서 만족도 조사 연구 - 봉인사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박서연,김병수,박성식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This study examines the satisfaction of youth in the Sangsang (相想) meditation program. It is significant because it comprehensively reviews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and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it. In modern society, many students do not adapt well to school life in our country. It is due to several factors: friendship, bullying, school violenc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learning problems. I tried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problems in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June 1 to 4, 2015, in the Bongin-sa temple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do. Target of this research was about 80 students includ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things were discovered. First, satisfaction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mportant in satisfaction: the physical comfort of the facilities, the ease of applying, the convenience of ameniti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signs. The study discovered that if some factors are excellent, students would be willing to participate often and recommend the program to others. These factors include: availability of the program, instructor expertise, excellence in teaching methods and kindness of teachers.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Sangsang Meditation Program in order for it to grow and meet students’ needs. 본 연구는 2015년 6월 1일부터 4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경기도 남양주시奉印寺에서 실시된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위한 상담이 있는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참여한 응답자들은 성별로는 여학생의 빈도가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유용성, 강사의 전문성, 강의 내용의 우수성 항목에 대한만족수준이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프로그램 서비스환경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해서는 남녀 간에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에 지속적인 참가 의향’, ‘타인에게 추천 의향’ 등 프로그램 성과에대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만족수준이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셋째, 프로그램 내용의 유용성 항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중학생이고등학생보다 프로그램 내용이 상대적으로 더 유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나타났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이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프로그램에 지속적인 참가 의향’에서는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다소 높게나타났고, ‘타인에게 추천 의향’에서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다. 넷째, 프로그램 환경의 쾌적함, 프로그램 신청 접수의 편리함, 편의시설(화장실, 휴게실 등) 이용의 편리함, 안내 표지판의 적절함 등이 프로그램 만족도를 결정하는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프로그램 내용의 유용성, 강사의 전문성, 강의 방법의 우수성, 요구사항에 대한 담당자의 친절성 등을 우수하다고 지각할수록 본 명상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가할 의향과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높아진다는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명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그 만족도에 영향을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傷寒論』 辨病診斷體系에 근거하여 甘草乾薑湯 투여 후 호전된 수면 장애 관련 증례 2례

        박서연 대한상한금궤의학회 2019 대한상한금궤의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improvement in two patients with different complaints of sleep disorder treated with herbal medication based on the Shanghanlun disease pattern identification diagnostic system (DPIDS), and hypothesize the meaning of word ‘更’. Methods : According to DPIDS,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Taeyang-byung no. 29 provision, and took Gamchogungang-tang herb medication 15 or 90days. The results of administration were evaluated by the hyperhidrosis disease severity scale (HDSS)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Results : After administration of Gamchogungang-tang 15 or 90days, based on 29 provision of Gamchogungang-tang diagnosed according to Shanghanlun provisions, in one case the HDSS decreased from 3 to 1 and the VAS decreased from 10 to 1. In the other case, the VAS decreased from 10 to 1. Conclusions : Each patient not only recovered from symptoms of hyperhidrosis and alopecia areata, but also from sleep disorders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 single medication of Gamchogungang-tang. 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the word ‘更’ in the 29 provisions of Shanghanlun means sleep disorder in this case.

      • KCI등재

        한국 남녀 노인의 근감소성 비만 영향 요인 분석: 제 5기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2010-2011년) 활용

        박서연,구미옥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sarcopenic obes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aged in Korea. Data for 816 male aged and 1064 female aged (age ≥65) from the fif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were included. Sarcopenic obesity was defined as the mixed status of sarcopenia and obesity.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weight*100(%) less than 2 standard deviations below the mean for gender specific young, healthy reference population was used to define sarcopenia and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to define obesity. Sarcopenic obesity prevalence rates were 4.8% in male aged and 7.8% in female aged. Also, sarcopenic obesity prevalence rates were 6.6% in all. Mu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education, alcohol history and triglyceride were influencing factors of sarcopenic obesity in male age and osteoarthritis, fasting glucose and triglyceride were influencing factors of sarcopenic obesity in female ag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factors of sarcopenic obesity could help to develop programs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the sarcopenic obesit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남녀 노인의 근감소성 비만의 유병률과 근감소성 비만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0-2011년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 자료를 사용하여 복합표본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65세 이상 남자 노인 816명, 여자 노인 1064명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근감소성 비만을 정의하기 위해 근감소증의 정의는 사지 근육량(appendicular skeletal muscle, ASM)을 체중으로 나눈뒤 100을 곱한 값이 건강한 젊은 성별 기준집단의 평균값보다 2SD 미만으로 감소된 상태로 하였고, 비만의 정의는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근감소성 비만의 유병률은 65세이상 남녀 노인 각각 4.8%, 7.8%로 나타났고, 전체 노인의 근감소성 비만의 유병률은 6.6%였다. 일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 노인은 연령, 학력, 평생 음주경험, 중성지방이, 여자 노인은 골관절염, 공복혈당, 중성지방이 근감소성 비만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한국 노인의 근감소성 비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본 연구결과에 기반한 근감소성 비만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권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