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에서 인권 관점의 반영 기준 연구

        박새롬 ( Park Saerom ),구정화 ( Koo Jeonghwa ),송현정 ( Song Hyunjung ) 한국법교육학회 2021 법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에서 인권 관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을 토대로 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인권 관점 반영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그 타당성을 분석하고 기타 의견을 수렴하여 기준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제시된 인권 관점 반영 기준안은 다음과 같다. 내용 및 삽화 구성 차원에서는 특정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이 담기지 않도록 할 것, 일상적 삶의 다양성을 드러나도록 하되 지식 위주의 다양성은 지양할 것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활동 구성 차원에서는 활동 수행 과정에서 인권 침해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 인권 관점 반영 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안내나 활동 팁을 제시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인권 관점을 반영하기 위한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is a study on finding ways to consider human rights perspectives in subject curriculum and textbooks. To this end, criteria for reflecting the human rights perspectives in subject curriculum and textbooks,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were proposed. The final plan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feasibility statistically through an expert delphi survey and by collecting other opinions. As a result, we came up with the following suggestions on the basis of reflecting human rights perspectives. Avoid stereotypes or biases about a particular group at the content and illustration composition level and expose the diversity of daily life while avoiding knowledge-oriented diversity. At the activity organizing level, the following guideline was drawn out. Do not let human rights violations occur in the course of performing activities and provide additional guidance or activity tips on activities that reflect human rights perspectiv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and problems for discussions on reflecting human rights perspectives.

      • KCI등재

        능동적 시민성 교육을 위한 초등 사회과 가치 학습의 의미와 활용 방안

        박새롬(Park, Sae-Ro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능동적 시민성 교육 실행 시 사회과 가치 학습 활용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능동적 시민성 교육과 사회과 가치 학습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능동적 시민성 교육 실행에 있어 기존의 사회과 가치 학습 방법이 갖는 의미와 한계를 각각 살펴보았다. 또한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 실행될 수 있는 능동적 시민성 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과정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결과 능동적 시민성은 민주적 가치를 추구하는 과정 속에서 자율적으로 발휘되는 역량이므로 가치 학습과의 적합성이 높으며, 사회과 가치 학습은 능동적 시민성 교육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 활용되어야 한다. 첫째, 특정 가치를 일방적으로 주입하기보다는 학생 스스로 민주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둘째, 민주적 가치 인식이 실천적 행위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인지적 사고 또는 정서적 공감의 과정을 경험하게 해야 한다. 셋째, 민주적 가치 추구를 위한 자신만의 실천 계획을 세워 실천 행위를 경험해보게 한다. 결론 사회과 가치 학습은 능동적 시민성 교육 실행 시 적절하게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회과 가치 학습을 활용한 능동적 시민성 교육 현장 사례 연구 등의 다양한 후속 연구와 실천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value learning in implementing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suggest its applications. Methods To that end,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value learning in implementing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was investigated and its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social studies value learning were explored by analyzing prior researches with use of a literature research approach, and based on the results ideal cases of learning in class were constructed and suggested. Results Since active citizenship is a competency displayed in the process of pursuing democratic values, it has a high suitability for value learning and thus social studies value learning must be used by keeping the following points in mind in implementing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First, it is suggested to encourage studen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values by themselves rather than to unilaterally inject specific values. Second, it is suggested to allows them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cognitive thinking or emotional empathy so that their recognition of democratic values can develop into practices. Third, it is suggested to let them make their own action plans in pursuit of democratic values and experience practices. Conclusions Social studies value learning needs to be used appropriately in implementing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aforementioned results must lead to various follow-up studies such as case studies of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using social studies value learning and studies of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학부모 교육참여 우수사례 공모사업의 변화와 2019년 우수사례 내용 분석

        박새롬 ( Park¸ Saerom ),이강이 ( Lee¸ Kangyi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시행된 학부모 교육참여 우수사례 공모사업에 나타난 변화와 2019년 학부모 교육참여 우수사례로 선정된 85편의 활동내용 분석을 통해 학부모 교육참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2015년 이후 사업목적이 학부모 참여를 지원하는 우수사례를 발굴하는 데 보다 초점을 둠으로써 공모대상에서 학교와 지역학부모지원센터의 비중이 증가한 반면, 학부모회의 비중은 크게 감소하였다. 공모분야는 활동주체를 중심으로 점차 통합되어 왔으며, 공모분야 중에서는 교육기부/자원봉사와 학부모교육 분야의 비중이 비교적 높아 현장에서는 학부모가 학교교육의 보조자 및 교육수요자로서 참여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선정된 우수사례들에 포함된 활동내용 중에서는 학부모교육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포상순위가 높은 사례들은 학부모가 교육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는 특징을 보였다. 교육주체로서 학부모의 교육참여 활성화를 위하여 향후 학부모 교육참여 우수사례 공모사업에서는 주도적인 학부모회 활동 사례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학교참여로 연계될 수 있는 학부모교육 등 학부모교육의 질 제고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of the best practice contest project for par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organized by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09 to 2019, a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85 best practices selected from the 2019 contest. Since 2015, as the purpose of contest has focused more on finding best practices to support parents’ participation, the proportion of schools and parent support centers has increased in the contest while the proportion of parents’ associations has decreased considerably. The field of contest has been gradually integrated around the subjects, and the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volunteering activity and parents’ education showed that parents participated as educational assistants or consumers rather than educational entities. Among the activities included in the selected best practices in 2019, the proportion of parents’ education was the highest, while cases with higher rankings showed a leading participation in school curriculum by parents. It was discussed the necessity for expanding the proportion of parents’ association gradually at the contest in the futur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parents’ education which can be linked to school participation.

      • KCI우수등재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가 온정적 양육행동 및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새롬(Saerom Park),혜준(Hye Jun Park) 한국아동학회 2016 아동학회지 Vol.37 No.5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ajectory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during infancy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mothers when each year`s depression was controlled and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affective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al outcomes for preschoolers. Method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first 4 waves of panel data collected from 2,078 mothers and their babies were analyzed. This nationwide data was provided from the 2008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Results: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showed a linear increasing pattern,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rcept and slope. Second, when each year`s maternal depression was controlled, the intercept of parenting stress was lower, but the rate of increase was higher. In multiple group analyses, this increasing pattern of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 only in unemployed mothers. Lastly, the increase of unemploye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direct effects on child emotionality and peer interaction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 peer interaction (mediated by affective parenting).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verified that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creasing parenting stress of unemployed mothers on affective parenting and child socioemotional development when maternal depression level was controlled.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emotional health and resources of unemployed mothers and provide them with social support as well as employed mothers.

      • KCI등재

        라벨 임베딩 분포를 사용한 효율적인 딥러닝 앙상블 방법

        박새롬(Saerom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레이블 임베딩의 분포를 반영하는 딥러닝 모형을 위한 새로운 스태킹 앙상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앙상블 방법론은 기본 딥러닝 분류기를 학습하는 과정과 학습된 모형으로 부터 얻어진 레이블 임베딩을 이용한 군집화 결과로부터 소분류기들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방법론은 주어진 다중 분류 문제를 군집화 결과를 활용하여 소 문제들로 나누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군집화에 사용되는 레이블 임베딩은 처음 학습한 기본 딥러닝 분류기의 마지막 층의 가중치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군집화 결과를 기반으로 군집화 내의 클래스들을 분류하는 소분류기들을 군집의 수만큼 구축하여 학습한다. 실험 결과 기본 분류기로부터의 레이블 임베딩이 클래스 간의 관계를 잘 반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앙상블 방법론이 CIFAR 100 데이터에 대해서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acking ensemble framework for deep learning models which reflects the distribution of label embeddings. Our ensemble framework consists of two phases: training the baseline deep learning classifier, and training the sub-classifiers based on the clustering results of label embeddings. Our framework aims to divide a multi-class classification problem into small sub-problems based on the clustering results. The clustering is conducted on the label embeddings obtained from the weight of the last layer of the baseline classifier. After clustering, sub-classifiers are constructed to classify the sub-classes in each cluste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at the label embeddings well reflect the relationships between classification labels, and our ensemble framework can improv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n a CIFAR 100 dataset.

      • KCI등재

        목표 기반 시나리오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세계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박새롬(Park, Sae-Ro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세계시민교육 실행에 있어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목표 기반 시나리오에 주목하여 세계시민교육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이 갖는 세계시민교육적 의미와 구성 방안에 대해 탐구하였다. 또한 목표 기반 시나리오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처치집단(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과 비교집단(설명식 수업)으로 나누어 수업하였으며, 차이 분석(t검증)을 통해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이 세계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세계시민성은 세계 시민으로서의 의미있는 행위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 역량이라는 점에서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 등과 같은 학습자의 행위가 중심이 되는 수업 방법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은 학습자의 ‘행위’를 동기화하거나 이를 위한 기억을 활성화시키는 기법이나 장치(커버스토리, 미션 제시, 자원 제공, 인지적 탐구)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다. 실제로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은 세계시민성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설명식 수업이 인지적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에 비해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은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도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세계시민교육 실행 시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이 적절하게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목표 기반 시나리오 활용 수업과 같이 세계시민교육을 효과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나 기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erify its efficacy by paying attention to goal-based scenario to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tilized in implementing social studies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compositional methods of goal-based scenario utilizing class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prior research analysis. In addition, classe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divided into the treatment group (instruction utilizing goal-based scenario) and the comparison group (expository instruc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oal-based scenario, and the efficacy of goal-based scenario utilizing classes on the Global Citizenshipattitude development was examined through difference analysis (T-test). Result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an action-oriented or activity-oriented educational method, given that Global Citizenship attitude is a complex capability that allows the composition of meaningful acts as global citizens. The fact that instruction utilizing goal-based scenario, which is centered on the ‘act’ of the learner, includes various techniques or tools (cover story, mission suggestion, resource provision, cognitive inquiry) that induce acts rather than have the students act right away makes it meaningful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al manner. Actually, goal-based scenario utilizing classes were effective in Global Citizenship attitude development. While expository instru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cognitive areas, instruction utilizing goal-based scenario displayed efficacy in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s as well as the cognitive areas. Conclusions When implemen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goal-based scenario utilizing classes appropriat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a variety of studies should be continued on specific ways to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implemen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uch as goal-based scenario utilizing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