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류환경에서 집품 작업자를 위한 추종형 무인운반차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및 검증

        박상미,김정우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20 로지스틱스연구 Vol.28 No.5

        With the accelera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new changes occur in the logistics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of logistics automation and picker following Automated Guided Vehicle (AGV). In the logistics environment, the product picking operation is the process that requires the manpow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 picker following AGV to increase work efficiency, which causes many issues during the process. Few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ollaboration between picking workers and the picker following AGV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follow-up the picker following AGV to improve logistics efficiency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the picker following AGV and to maintain a new balance and coope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define and improve the existing logistics environment and picking work by developing the picker following AGV centered on picking workers.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nd verified a new type of picker following AGV by applying Design Thinking Methodology an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 collaborative model tha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logistics transportation in the picking process by presenting a follow-up the picker following AGV design centered on the product picking workers.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노동연계형 복지정책 비교연구: 취업우선전략을 중심으로

        박상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Comparative Study on Workfare Policies in the US andSouth Korea: Focused on the Work-first ApproachSangmi Park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obtain implications i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work-first approach, which has been used as a major workfare policy after policy transfer from the US to Korea. For this purpose, literature data and official statistical data from the OECD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re used, and Gilbert & Terrell (2005)’s ‘selective analysis’ was used for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countries showed similar policy environment and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which means that the problems of the US work-first approach may appear in Korea. Accordingly, Korea’s workfare polic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a protective approach is needed for the low-income class. Second, long-term policies such as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re needed. Finally, policy effectiveness should be enhanced by improving the blind spot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policy unit and period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comparison groups, so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Key Words: Workfare, Self-sufficiency, Work-first Approach, Labor Market, Choice Analysis 미국과 한국의 노동연계형 복지정책 비교연구: 취업우선전략을 중심으로박 상 미** 요약: 본 연구는 미국에서 한국으로 정책 이전되어 주요한 노동연계형 복지정책으로 활용되고 있는 취업우선전략에 대해 두 국가 간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에서의 함의를 얻고자 한다. 문헌자료와 OECD, 보건복지부 등의 공식 통계자료 등을 활용하였으며 내용분석에는 Gilbert & Terrell(2005)의 ‘선택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국가는 유사한 정책환경과 노동시장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미국 취업우선전략의 문제점이 한국에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한국의 노동연계형 복지정책은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진다. 첫째, 저소득층에 대하여 보호적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같은 장기적 관점의 정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보장제도의 사각지대를 개선하여 정책실효성을 높여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두 비교군 간의 정책 단위와 기간이 다르다는 한계를 가져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노동연계형 복지정책, 자활, 취업우선전략, 노동시장, 선택분석 □ 접수일: 2022년 3월 12일, 수정일: 2022년 3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이 논문은 저자의 2018년도 박사학위논문에서 발췌하여 재구성하였음. **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 선임연구원(Researcher, Gyeongsangnamdo Public Agency for Social Service, Email: parksm@gn.pass.or.kr) □ 접수일: 2022년 3월 12일, 수정일: 2022년 3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 KCI등재

        노인의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서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박상미,이창대,김정란,김태희,박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autobiographical memory function (AMF)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reminiscence function and with resilien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cognitive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older adults aged 60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The Korean Version of Thinking About Life Experiences,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Reminiscence Functions Scale for the Elderly were used to measure AMF, resilience, and reminiscence function, respective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3.14 years (SD = 7.59) (n = 121). The mean score of AMF was 1.99 (SD = 0.72). AMF tended to decrease with age (p = .32). AMF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miniscence functions (p < .001).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characteristics, AMF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silience (β = 0.229, p < .05). AMF explained 4.2% of the variance in resilience.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AMF is a related factor to the resilience of older adult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measure AMF with various samples, including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and cognitive decline, and to analyze it’s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support the advantage of AMF in older adults’ health.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 수준을 측정하고,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회상기능, 회복탄력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60세 이상의 인지적⋅정신적으로 건강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 회복탄력성, 회상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한국형 자서전적 기억 기능 평가 척도, 한국형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 노인 회상기능 척도를 적용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분석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3.14세(Standard Deviation; SD = 7.59)였다 (n = 121).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 평균은 1.99점(SD = 0.72) 이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 .32).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노인 회상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 < .001).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건강 특성을 통제하고도 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 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β = 0.229, p < .05), 회복 탄력성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의 설명력은 4.2% 였다. 결론:자서전적 기억 기능은 회복탄력성 관련 인자로 확인되었다. 자서전적 기억의 기능적 사용이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유익에 대한 근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울집단이나 인지저하집단과 같은 보다 다양한 건강수준의 샘플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 기능을 측정하고 건강변수와의 관계를 밝히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박상미,강윤정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5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 였다. 최근 국제사회는 사회발전·경제성장·환경보호를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 기 위해 공동체에 대한 존중을 핵심가치로 규정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을 계획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이러한 수업이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계한 수업은 ‘모두의 놀이터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서의 놀이터를 디자인하고 모형으로 제작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개발된 수업은 총 8차시로, 초등학교 5학년의 학습자에게 적용되었다. 수업 전후로 공동체의식 검사지를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한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공동체의식의 각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보다 활발하게 논의될 지속가능발전교육이라는 큰 흐름에 있어 미술을 통한 실천적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sustainable design classes applying PB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nse of community. International society is paying atten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considering social development,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rder for this aim, global community is emphasiz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defining respect toward community as its key value. Therefore, as the measures to implement ESD through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ustainable design classes applying PBL by applying it to the sites of education. Under the theme ‘Playground design for all’, classes are comprised of activities in which playgrounds are created into models. Eight classes have been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As a result of conducting surveys by using sense of community survey sheets before and after classes, learners' sense of community had significant improv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ed practical cases through art in ESD which is to be discussed actively in the future.

      • KCI등재

        A Framework for Improving Object Recognition of Structural Components in Construction Site Photos Using Deep Learning Approaches

        박상미,이재희,강인석 대한토목학회 2023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7 No.1

        Mobile phones and drones are widely used to record images of construction sites in various stages of progress. Although site images can be used a lot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they are mostly used only for recording simple construction results. If objects in a photographic image are recognized by a component of construction structure, the image could serve as a valuable tool in construction schedule management. In this study, authors present a framework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objects for each component of a structure in a photographic image. To this end, after collecting and training a large amount of photographic images from the railroad bridge structures, an object detection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construction components of the bridge structure based on deep learning model was introduced. Images are procured through web crawling, and the collected images are pre-treated for supervised training. The results of the deep learning model showed high performance in the pier and coping classes, and the slab showed a rather low accurac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detection resul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ngle of shooting the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