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양방 협진의 진료협력수준 측정도구개발 및 타당도 연구

        박민정,최병희,백윤희,박정혜,Park, Minjung,Choi, Byunghee,Baek, Yun Hui,Park, Jeong Hye 대한예방한의학회 2015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9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rable model for the promotion of care coordination between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and develope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level of coordination. Moreover, we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Instrument. Method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16 items regarding care coordination in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by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In addition, we verifi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as a methodological research. Results : We developed two factors such as 'Inter-professional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s the instrument to measure the level of care coordination, and each of seven, eight total of 15 measurement items are listed. Conclusion : Since the legal permission, the level and type of care coordination and the effects of them are needed to be checked. So, the measurement instrument driven by this study has a political signification in healthcare system specially in these times. In addition, by utilizing this instrument, we propose to perform a variety of future studies on the levels of healthcare coordination and related outcomes.

      • KCI등재

        실손형 민간보험의 비급여 보장축소가 한방의료이용에 미친 영향

        박민정,고성규,Park, Minjung,Ko, Seong-Gyu 대한예방한의학회 2015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ol.19 No.3

        Objective :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Korean medicine has been reduced since October 2009 for preventing unnecessary utiliz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reduction affects on the Korean medicine utilization. Method : We analyzed the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08 to 2012. Panel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 Panel tobi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reduction and health expenditure of outpatient service. Results :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reduction significantly dropped both utilization and health expenditure of outpatient service by 9%, 9.2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apeutic utiliz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up to 10%. Conclusion :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reduction seems to have an effect to reduce both utilization and the health expenditure of Korean medicine outpatient service. This effect was more noticeable in the therapeutic utilization. Thus, more elaborate policy will be needed to prevent unnecessary utilization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

        코로나19 (COVID-19) 관련 위험정보 탐색과 처리가 코로나19 예방 행동 및 정보 공유에 미치는 영향

        박민정(Minjung Park),채상미(Sangmi Chai) 한국IT서비스학회 2020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9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ers perceptions of COVID-19 risk on their seeking and processing of relevant information as COVID-19 emerges and spreads worldwide in 2019. We apply the 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model (RISP Model) to verify whether users’ COVID-19 related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behavi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reventive and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bout 400 of social media users. The users perceptions of risk for COVID-19 increased their perceived insufficiency of COVID-19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erceived insufficiency of users information form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eking and searching of information behaviors. The processing of COVID-19 related information has increased related preventive behaviors and sharing of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While searching for information related to COVID-19 prompted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reventive behaviors. Accordingly, in order to promote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as well as overall user health-related behaviors it can be inferred that additional measures are needed in addition to pursuing relevant information.

      • KCI등재
      • 나리 구근 선별 기계화를 위한 구근 특성 조사 및 공정 설계

        박민정 ( Minjung Park ),강태경 ( Taekyung Kang ),윤남규 ( Namkyu Yun ),권진경 ( Jinkyung Gwon ),김형권 ( Hyungkweon Kim ),임류갑 ( Ryugab Lim ),오성식 ( Seongsik Oh ),윤성욱 ( Jinkwan Son ),손진관 ( Sungwook 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우리나라의 나리, 프리지아 등 절화 구근류는 203 ha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구근 절화류 생산량은 59백만 본, 생산액은 231억원을 차지하고 있다(MAFRA, 2020). 절화나리는 국내 절화생산액의 10.0%, 면적8.8%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액은 6,922천달러에 달하는 주요 화훼작목이다. 그러나 최근 저일조, 고온 등 이상기후에 의한 절화품질이 저하되어 경쟁력이 감소하여 일본 수출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설화훼 구근 절화류 재배 장치의 기반 조성이 필요하고, 출하시기 조절 및 집중관리가 가능한 재배상자를 이용한 구근 선별 재배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상자를 이용한 절화나리 구근 선별 기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절화나리 구근의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고 농가의 작업방법에 기초하여 작업공정을 설계하였다. 조사 시료는 나리 구근 둘레에 따라 12 cm이하, 13~15, 16~19, 20 이상의 4가지 크기에 대하여 200개의 시료에 대해 생육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근 둘레 12 cm이하는 평균 11.2±0.5 cm, 13~15 cm는 13.4±1.4 cm, 16~19 cm는 18.3±1.0 cm, 20이상은 20.2±1.1 cm로 균일하게 나타났다. 구근 둘레에 따라 장경, 단경, 구고, 무게는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뿌리길이의 경우에는 재배환경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리 구근 선별을 위한 작업 공정은 절화수확이 완료된 상자를 공급하는 상자공급부, 뭉쳐져 있는 구근 및 흙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구근 및 흙 분리부, 크기별 구근이 선별되어 나오는 구근 선별부로 구성하여 작업공정을 설계하였다. 상자재배를 위한 구근 선별을 기계화하기 위해서는 구근의 둘레 및 구근의 뿌리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나리 구근 선별 기계화를 위한 선별 간격에 따른 요인시험

        박민정 ( Minjung Park ),강태경 ( Taekyung Kang ),윤남규 ( Namkyu Yun ),권진경 ( Jinkyung Gwon ),김형권 ( Hyungkweon Kim ),임류갑 ( Ryugab Lim ),오성식 ( Seongsik Oh ),손진관 ( Jinkwan Son ),윤성욱 ( Sungwook 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국내 절화나리는 절화생산액의 10.0%, 면적8.8%를 차지하는 주요 화훼작목이다(MAFRA, 2020). 구근 선별작업은 단시간 동안 집약적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근 선별 시 인력에 의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나리 구근 선별 기계화를 위한 적정 선별 간격 조건을 결정하고자 요인시험을 수행하였다. 나리 구근 선별 기계화시스템은 상자공급부, 구근 및 흙 분리부, 구근 선별부로 구성되며 선별부 앞뒤의 회전선별봉 간격을 조절하여 구근 크기(구근 둘레)별 선별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나리 구근 둘레(12cm이하, 13~15, 16~19, 20이상) 별 190개의 시료를 이용하였으며, 봉간격(105cm, 115,125) 3요인에 대하여 3반복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간격 105mm의 경우에는 크기별 4단계 선별은 이루어졌으나, 선별된 구근의 구둘레를 조사한 결과, 특대 21.5cm∼15.5cm(±1.47), 대 17.4∼12.7(±1.29), 중 14.9∼10.3(±1.13) 소 11.1∼9.0(±0.67)로 분포되어 선별된 구근의 크기 및 구근 둘레의 편차가 컸으며 구근 둘레에 따라 분류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격 115mm의 경우에는 크기별 4단계 선별이 이루어졌으며, 선별된 구근의 구둘레를 조사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대 21.5.cm∼17.2cm(±1.13), 대 19.3∼14.5(±1.01), 중 14.5∼11.7(±0.86) 소 11.7∼9.3(±0.61)로 분포되어 구근 둘레의 크기 편차도 가장 작았고 4단계의 크기 별로 분류되었다. 간격 125mm의 경우에는 간격이 너무 넓어 크기별 3단계 선별이 이루어졌다. 선별된 구근의 구둘레를 조사한 결과, 대 21.5∼17.3(±1.17), 중 18.9∼11.6(±1.64), 소 13.4∼9.0(±1.17)로 분포되었다. 다른 요인보다 상대적으로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격이 너무 넓어 크기별 4단계 선별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전 봉 간격 115mm에서 구근 둘레 크기에 따른 4단계 선별이 가장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패러디적 관점에서 본 서곤체와 후서곤체 관계 고찰 ― 시의 형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朴玟貞 ( Park Minjung ) 중국어문연구회 2022 中國語文論叢 Vol.- No.111

        In this study, we sample the poems of Xikun-Style and Latter Xikun-Style and compare the formal features of them. In type of poetry, it was targeted at all the works that were sampled. In terms of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poetry, considering the fact that modern-style poetry was mainly composed in the early Northern Song Dynasty and the original poem-Xikun-Style was centered on the poem of Seven-word formal poem, we’ll select the Seven-word formal poem and analyzed three elements of it-level and oblique tones, rhyme and antithesis. The problem of sample count discrepancy was established using a method of converting to percentage for comparison in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basic work, and the relationship review based on this is the second stage. The first Step focused on sampling and analyzing each type element as originally planned. The type of poetry was analyzed in 250 Xikun-Style poems and Latter Xikun-Style poems―1580 Songqi’s, 217 Yanshu, 293 Xiasong, and 431 Wanggui. The Formal elements of poetry was analyzed in 145 Seven-word poetry of Xikun-Style and 835 Seven-word poetry of Latter Xikun-Style poems―203 Songqi’s, 33 Yanshu, 50 Xiasong, and 149 Wanggui. The second step wa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arody and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Xikun-Style and Latter Xikun-Style in terms of parody. Parody is not just imitating or imitating another work, but revealing the problems it has. The “twisting effect” and the “original” itself,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well-known original works that exist and are revealed while imitating them, can be explained as parodies. of Latter Xikun-Style―the type, level and oblique tones, rhyme and antithesis. In this work, many kinds of parody phenomena could be foun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formal features with the Xikun-Styl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Latter Xikun-Style was able to achieve the effect of intentional imitation to highlight the problems of Xikun-Style, which was socially branded at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 개발

        박민정(Minjung Park),이시영(Siyoung Lee),강동현(Donghyeon Kang),김종구(Jongkoo Kim),손진관(Jinkwan Son),윤성욱(Sung-wook Yoon),안세웅(Sewoong A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작업 편이성을 높일 수 있는 원통형 종이포트를 일정한 크기로 생산하여 연속적 공급이 가능한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를 개발하고, 장치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는 상토공급부, 종이 공급부, 종이 접착부, 종이포트 절단부로 구성되어 종이포트 제조를 위한 상토공급부터 종이포트 절단까지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토 함수율에 따른 적정 상토공급압력시험에서는 상토를 공급하는 진공압이 높을수록 종이포트의 경도와 가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함수율이 높아질수록 경도와 가밀도는 증가하다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포트제조부로 상토를 공급하기 위한 적정 함수율 및 공기압은 50%~60%와 0.5Mpa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장치의 성능과 고형접착제에 의한 종이 접착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종이의 원통성형이 이루어지고 가이드부와의 유착없이 연속적인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적정 온도는 150℃~160℃인 것으로 판단된다. 원통형 종이포트 절단칼날의 최적 절단각도를 구명하기 위한 시험에서는 절단 속도와 작업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소 기울기인 30°에서 깨끗한 단면을 나타내는 일자칼날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통형 종이포트 제조장치의 성능시험에서 종이포트의 길이는 설정한 길이로 균일하게 제조되었으며, 종이접착 및 상토공급 등 준비 시간을 제외한 종이포트(직경: 40mm, 길이: 40mm) 제조 작업성능은 3300개/hr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cylindrical paperpot manufacturing equipment which is capable of continuously producing paperpots with a constant size. The equipment consists of the soil supply part, the paper supply part, the pot manufacturing part, the paperpot cutting part and its process for manufacturing paperpot from the soil supply to the paperpot cutt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test using this equipment, we suggest that the optimal moisture content and injection pressure to supply soil are 50%~60%, and 0.5 Mpa respectively. Moreover the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dhesive strength is 150~160℃ taking into account the performance of device and adhesion time. Also, considering the cutting speed and safety, it is appropriate to adopt a straight blade having a clean plan at a minimum angle of 30°.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apacity of the developed equipment was 3300 pots per ho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