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물기후를 이용한 위해우려종(양서류)의 국립공원 서식 가능성 예측

        박민규(Minkyu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1 No.1

        환경부는 외래생물의 유입을 사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위해우려종을 지정하고 관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위해우려종 중 생물기후에 민감한 양서류를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활용하여 현재 및 미래 기후의 국립공원 서식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연구 대상종은 6개 종이며, 현재 및 RCP4.5, RCP8.5 기후 조건의 서식 가능성을 7개 Case로 구분하였다. 예측 결과 위해우려종의 자생지 위도(latitude) 범위가 한반도의 위도 범위와 유사한 Japanese common toad, Japanese brown frog는 대부분이 국립공원에서 서식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Marsh frog, Pool frog, African clawed frog는 기후의 극한지수 차이로 국립공원의 서식 가능성이 낮았다.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signated potential risk species to prevent and effectively manage the alien species. This study predicted the potential habitat possibilities of the Korea national park for amphibians sensitive to climate change, present and future climate and us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prediction. There are six amphibians for predicting habitat potential, and seven cas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present, RCP 4.5, RCP 8.5).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s, Japanese common toad and Japanese brown frog were predicted to be inhabitable in most national parks. The reason may be that the bio-climate was also similar, because their latitude of native distributions area were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Marsh frog, Pool frog and African clawed frog are less habitat possibilities, due to differences in the extreme bio-climate between the native distributions area and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가강수량 특성을 이용한 극치호우의 기후변화 예측

        박민규,박무종,김상단,주진걸,Park,Minkyu,Park,Moojong,Kim,Sangdan,Joo,Jingul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극치호우로서 가능최대강수량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기존의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호우 예측은 평균적인 모델링 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어 극한값의 재현이나 거동 예측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기온의 변화와 물리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가강수량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의 규모를 직접 추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 가능최대강수량의 규모가 향후 100년 이후 약 40% 정도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확률강우량의 변동폭 등과 관련해서도 간접적인 참고수치로 이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change was predicted using RCP 8.5 IPCC climate change scenario as extreme storm change. The modelling results based on average have the restriction on extreme rainfall value representation and future behavior predic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uses air temperature change and precipitable water relationship in order to calculate the magnitude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The results showed about 40% increase i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These were expected to use as reference of extreme storm increase such as IDF changes.

      • KCI등재

        수해취약성인자를 이용한 고위험 도시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박민규,송영석,김상단,박무종,Park. Minkyu,Song. Youngseok,Kim. Sangdan,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도시지역의 인구밀집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주요기반시설의 낙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수해피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지역과 수해취약성인자의 비교를 통하여 수해에 취약한 고위험지역을 배수분구단위로 평가하는 방법론이 제안된다. 도시침수지역은 침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침수면적과 침수횟수로 구분하여 분석되며, 도시지역에서 자료수집이 용이한 저지대지역, 통수능력부족관거, 불투수지역, 유출곡선지수가 수해취약성인자로 선정된다. 방법론의 적용으로, 중랑천 수계를 대상으로 침수피해에 취약한 고위험 배수분구가 식별된다. Due to urban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e of impervious ratio, backwardness of major infrastructure,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in climate change, and so on, the risk of flood damage in urban areas is increasing.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for this, quantitative analysis for flood damage that occurs in urban areas is needed. In this study, a methodology assessing high-risk areas vulnerable to flooding in units of drainage catchments by comparing the city`s flood zone and flood vulnerability factors is proposed. Using flood damage data, the city`s flood zone is delimited by inundation area and inundation frequency to be analyzed. Taking into account the ease of date collection, lowland areas, lack of sewer discharge capacity, imperviousness, and runoff curve number are selected as the flood vulnerability factors. As an application, high-risk drainage catchments vulnerable to flooding in Juanang stream watershed are identified.

      • KCI등재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을 위한 육상동물 서식지 가치평가 방안 연구

        박민규 ( Minkyu Park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5

        도시생태현황지도는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시(市)단위 이상의 지방자치단체는 의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비오톱지도라고 한다. 그 동안 비오톱지도 관련 연구는 식생유형, 식생자연성, 토지이용, 경관생태학 배경으로 이루어 졌으며, 비오톱의 구성요소인 동물서식지 개념을 적용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한계성을 개선하기 위해 육상동물 잠재서식지 개념을 도입하여 비오톱 유형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육상동물의 잠재서식지는 머신러닝을 이용한 공간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종풍부도로 변환하였다. 비오톱 유형평가는 식생학적 가치, 동물서식지 가치로 구분하여 가치합산 하였다. 식생학적 가치는 식생의 자연성과 토지이용을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하였고, 동물 서식지 가치는 머신러닝으로 예측한 종풍부도를 5단계로 구분하여 비오톱 유형평가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비오톱 유형평가에 소극적으로 반영된 육상동물 현장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을 도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향후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매뉴얼 개정 시 고려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URBAN ECOLOGICAL MAPS must be created by local governments by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maps are generally called biotope map. So far, biotope maps study was a tendency to focus on the type of vegetation, naturalness, land use, landscape ecology theories. However, biotope related studies have not reflected the concept of animal habitat, which is a component of biotope, and that is the limitation of biotope map research. This study suggest a methodology to predict potential habitats for fauna using machine learning to quantify habitat values. The potential habitats of fauna were predicted by spatial statistics using machine learning, and the results were converted into species richness. For biotope type assessments, we classified biotope values into vegetation value and habitat value and evaluated them using a matrix for value summation. The vegetation value was divided into 5 stages based on vegetation nature and land use, and the habitat value was classified into five stages by predicting the species richness predicted by machine learning. This is meaningful because our research can positively reflect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of fauna that were negatively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biotope types in the past. Therefore, in the future, if the biotope map manual is revised, our methodology should be applied.

      • 유로6 배기 규제 대응을 위한 2리터급 승용디젤엔진 개발

        박민규(Minkyu Park),강용석(Youngseok Kang),김정호(Jeongho Kim),정재훈(Jaehun Jeong),이명준(Myungjun Lee),이준규(Joonkyu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4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4 No.11

        To reduce engine raw emissions and to improve the fuel consumption new designed combustion bowl and improved fuel injection systems were adopted R engine very limited cost increase. And to meet Euro 6 emission regulation LNT(Lean NOx Trap) a kinds of NOx aftertreatment were adopted. This research shows the way to meet Euro 6 emission regulation and European CO2 regulation with minimized cost effect and simultaneously increase engine output power, fuel consumption.

      • KCI등재

        환경영향평가의 훼손수목량 추정을 위한 드론영상 분석법과 방형구법의 정확성 비교

        박민규 ( Minkyu Park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3

        환경영향평가의 훼손수목량은 온실가스 배출량, 임목폐기물 산정 등 다양한 부분에 활용되는 환경 지표이다. 지금까지 훼손수목량은 식생조사표의 임목밀도에 의존하였고, 이에 따른 표본편향으로 훼손수목량 추정의 불확실성이 가중되었다. 훼손수목량 추정의 정확성을 높이려면 전수조사를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으나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대안으로 드론영상을 이용한 개별 수목 탐지 방법이 있으며, 이 연구는 개별 수목 탐지 방법론으로 표본조사(방형구법)와 드론영상 분석법으로 추정된 훼손수목량을 전수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수조사 기준으로 드론 영상 분석법은 25주 과대추정 하였고 방형구법(평균)은 58주 과대 추정하였다. 그러나 기존 환경영향평가에서 시행하는 방형구법은 방형구의 개수, 방형구의 위치에 따른 표본편향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number of trees to be removed trees (AR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s an environmental indicator used in various parts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waste of forest trees calculation. Until now, the ART has depended on the forest tree density of the vegetation survey, and the uncertainty of estimating the amount of removed trees has increased due to the sampling bias. A full-scale survey can be offered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 accuracy of ART, but the reality is that it is impossible. As an alternative, there is an individual tree detection using aerial image (ITD), an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RTs estimated by full-scale survey, sample survey, and IT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compared to the result of full-scale survey, the result of ITD was overestimated by 25. While 58 were overestimated by the sample survey (average). However, as the sample survey is an estimate based on random samples, ART will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depending on the number and size of quad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