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거부민감성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명진,양난미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After thoroughly review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 rejection sensitivity scale of 78 items was produced. 228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structed and utilized resulting in four factors consisting of 16 items each. Factor 1 related to expected anger and factor 2 focused on expectation anxiety. Factors 3 and 4 focused on overreaction and rejection perception, respectively. In sequen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valid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data obtained from 201 of the selected stude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for the alternative model, and validity was established. A retest, conducted four weeks later, confirmed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odel. Academic significanc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거부민감성의 개념을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78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또한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6문항으로 이루어진 4개 요인이 확인되었는데 1요인은 ‘예기분노’로 거부를 기대할 때 느끼는 분노감, 2요인은 ‘예기불안’으로 거부를 기대할 때 느끼는 불안감, 3요인은 ‘과잉반응’으로 거부를 지각했을 때의 반응, 4요인은 ‘거부로 지각’으로 애매모호한 거부단서를 거부로 지각하는 것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4년제 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대안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안모형의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증분타당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주 후 실시한 재검사를 통해 안정적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明代 白話 公案小說에 나타난 「淸官現象」의 문화적 특징

        박명진 한국중국소설학회 2004 中國小說論叢 Vol.19 No.-

        明代産生了大量的白話公案小說, 表現了廣大群衆對淸官的渴望和愛戴, 在各種社會原因之下, 在白話小說的領域里形成了「淸官現象」。 在文學領域里出現大量的淸官, 他們便成爲民衆社會理想的體現者。 這種「淸官現象」包含着比較복雜的文化內涵。 明代白話公案小說繼承前代白話小說、 元雜劇以及說唱詞話等通俗文學的寫作方式, 表現民衆的理想和愿望, 因而, 「淸官現象」包含着强烈的通俗文化內涵。 同時, 明代白話公案小說的作者所選擇的淸官又是維護封建社會秩序的朝廷的官吏, 因此, 「淸官現象」也在一定程度上表現出封建社會的文化內涵, 特別是封建社會司法文化的特征。 因此, 本論文將分爲三個方面討論明代白話公案小說中「淸官現象」的文化內涵:第一, 箭타式淸官人物的創造 ; 第二, 淸官崇拜思想 ; 第三, 傳統的法律觀念--「人治」 觀、 「人主法輔」。 第一, 明代白話公案小說創造了箭타式淸官人物。 這是「淸官現象」的重要特点, 包含着較爲强烈的通俗文化的內涵。 明代白話公案小說在塑造嚴格執法、 鐵面无私的淸官人物時, 首先在歷史中 조個堪稱模范的原型人物, 然后把所有理想的品格、 才能賦予其一身。 箭타式淸官人物的代表无疑是包公。 這種箭타式淸官人物的創造所包含的通俗文化內涵主要體現爲民衆的喜聞樂見、 借歷史創造民衆英雄等特点。 第二, 明代白話公案小說的「淸官現象」包含着淸官崇拜思想。 民衆樂于創造一個英雄, 把自己的理想寄托于他的身上, 幷崇拜這個偶像, 以排泄自己的不滿和苦悶, 得到精神上的滿足。 這是通俗文化的一個重要特征。 淸官崇拜思想與民間信仰等迷信思想直接相關。 因爲淸官故事在民間流傳的過程中吸收了民間的思想感情, 所以「淸官現象」所包含的宗敎迷信思想, 反映了古代民衆的思想觀念。 第三, 明代白話公案小說的「淸官現象」體現了傳統的法律觀念。 從中國古代社會的法律觀念的角度看, 「淸官現象」與中國古代法律的「人治」 觀、 「人主法輔」的觀点有密切的關系。 在「人治」觀、 「人主法輔」等傳統法律觀念的背景之下, 明代白話公案小說的作者, 更加關注淸官人物, 創作出大量的以淸官爲中心人物的公案故事, 推動了「淸官現象」的形成。

      • KCI등재

        해방기 조영출의 공연 희곡 연구 -<위대한 사랑>을 중심으로-

        박명진 한국극예술학회 201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2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history of drama in immediate post-liberation, and to analyze play of Cho, Yeong-chool. In immediate post-liberation, the progressive drama group was formed, namely "Chosun Drama Construction Headquarters". The member of this party was composed of pro-Japanese group, so many members withdrew from this organization and formed a new group, namely "Chosun Proletariat Plays Alliance". Afterwards, these two groups was integrated into a single group, so-called "Chosun Plays Alliance". Yeong-chool played an active part in these groups. <The Great Love> is a play staged in "The 2nd Theater Festival of celebration for 3.1 Movement" hosted by "Chosun Plays Alliance". This paly adapted the story of "Chunhyangjeon" to "Donhak Revolution". And this play shows a melodramatic plot full of passion, anger, frustration, sentimentalism. So this play was criticized bitterly by many drama critics, nevertheless this play is necessary to analyze on the popularity and demagogy. "Chosun Plays Alliance" strenuously insisted that the goal of progressive play should be a popularity. <The Great Love> used sentimental mood and melodramatic plot to maximize a effect of demagogy. But these purposes was achieved through a oblivion of memor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oblivion of value of the feminine gender. We can say that <The Great Love> allowed probability, excessive expression of emotion, romantic sentimentality, and overflow of a vulgar taste. This shows how progressive drama group and Cho, Yeong-chool stired up the people to revolution. This implies that inflammatory play in immediate post-liberation could not but accept a vulgar taste in order to attract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people in political society. In conclusion, we can regard <The Great Love> as a propaganda play mixed with melodramatic taste. 이 논문은 해방 직후 남한의 연극계의 움직임과, 이 시기에 공연되었던 조영출의 희곡 <위대한 사랑>의 극작술 및 작가의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시기의 연극 운동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편의 선행 연구가 진행된 바 있지만, 조영출의 연극 활동과 희곡에 대한 본격적인 언급이나 분석은 전무한 형편이다. 이 논문은 해방 직후 연극계의 재편 과정과 조영출의 연극 활동을 살펴보고, 새롭게 발굴한 그의 공연대본 <위대한 사랑>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시기 진보적 민족 연극의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조선연극건설본부’,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 ‘조선연극동맹’의 결성 과정을 살펴본다. 김윤식에 의해 소위 ‘해방공간’이라고 명명된 바 있는 이 시기의 연극 운동은 ‘진보적 민족연극’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해방 직후에 결성된 ‘조선연극건설본부’는 1945년 8월 18일에 발족한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산하단체로서 좌익 계열 연극 운동의 중심지가 된다. 그러나 다수의 연극인들이 이탈하여 ‘조선프롤레타리아연극동맹’을 결성하게 된다. 외형상 두 단체가 이데올로기 차원에서 변별성을 지닌 것처럼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해방 직후 연극계의 권력 구도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분열의 결과였다. 반목 상태에 빠진 두 단체는 남로당의 지시로 ‘조선연극동맹’이라는 단체로 통합하게 된다. ‘조선연극동맹’이 펼친 운동 중 두 차례의 ‘3.1기념 연극제’ 개최가 가장 주목할 만하다. 1946년에 개최된 ‘제1회 3.1기념 연극대회’에 조영출은 김일성의 항일 투쟁 활동을 그린 <독립군>을 출품하고, 그 이듬해인 1947년의 ‘제2회 3.1기념 연극제’ 2부에서 <위대한 사랑>을 공연한다. <위대한 사랑>은 <춘향전>의 기본 줄거리에 전라도 고부(古阜)에서 일어났던 동학농민전쟁 이야기를 적용한 희곡이다. 이에 따라 당시 이 작품에 대해서 창조성 결여, 서로 다른 두 모티브의 비유기적인 결합, 감상적 로맨티시즘의 과도한 허용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반면에 이 작품이 대중에게 익숙한 <춘향전>의 줄거리를 참조하고 인민 대중의 혁명 정신을 고취시킴으로써 건설기의 연극 이념에 충실했다는 호평도 나왔다. <위대한 사랑>의 극작술에 나타나는 멜로드라마적 특징들은 당시 ‘조선연극동맹’이 주장했던 ‘연극 대중화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즉 한효가 「조선연극에의 요망」에서 밝히고 있는 ‘대중극의 기법과 신극의 사상성을 변증법적으로 통일’해야 한다는 주장은 <위대한 사랑>에서 볼 수 있는 감상적 정취의 전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당시 좌익 계열의 이념을 인민 대중에게 설득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에게 익숙하고 흥미를 줄 수 있는 극 양식이 전술적으로 필요했는데, <위대한 사랑>은 해방 직후 건설기의 프로파간다 연극으로서 멜로드라마의 특징들을 과감하게 수용하고 있다. <위대한 사랑>은 두 층위의 과거, 즉 <춘향전>의 시대적 배경인 영․정조 시대, 그리고 고부(古阜) 농민 봉기가 일어난 1894년, 이 두 개의 과거를 1947년 해방 직후 정국에 적용하고 있다. <춘향전>의 로맨티시즘과 동학농민전쟁의 혁명성이 결합된 이 작품은 ‘과정으로서의 역사’ 개념을 전개한다. 즉 <위대한 사랑>은 ‘객관적 사실’로서의 ‘역사’보다는 인민 대중의 단결을 도모하는 ‘집단 ...

      • KCI등재

        1930년대 경성의 시청각 환경과 극장문화

        박명진 한국극예술학회 200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27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the audiovisual culture and theatrical culture in the colonial capital, Kyeong-Sung(京城), in the 1930s. An ecstasy in the southern village(南村) of Kyeong-Sung(京城), which was a modern city, was the one that modern boys and modern girls long for in that period. Since the mid-1930s, the northern village(北村) of Kyeong-Sung(京城) has splendid external appearances, thanks to the Japanese advance into the northern village. However, the magnificence of the northern village could not be compared with the one of the southern village. The inhabitants of Kyeong-Sung could hear various music in a cafe or a dance hall, and appreciate a fascinating body of a waitress or modern girl. This paper focuses on the aural and visual stimuli among all senses that attract human being. The voices and landscape of the city allured the inhabitants of Kyeong-Sung into buying the goods in the department store or shopping mall. The sound of disc of gramophone or radio promoted the desire of the inhabitants of Kyeong-Sung for consumption, and the ads of newspapers or magazines, and the neon signs or signboards on the buildings charmed the eyes of the inhabitants of Kyeong-Sung walking round the street. The audiences coming to the theatres visited to enjoy the bodies of actresses or female audiences rather than to enjoy the dramas or movies. The culture of the dramas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modernity and coloniality of the city in that period. The audience became the subject of the modernity by appreciating the modern dramas. Encountering of the audience and theatre as modern buildings, and encountering of the audience and culture of the dramas induced the audience to pursuit the modernity. On the other hand, the culture of the dramas that the audience experience could not be free from the shadow of the colonial policy since the Japan's imperialism allowed only the themes of the dramas that did not contravene the colonial policy. The audience of the dramas was the Flaneurs who appreciate the modernity of the city as well as the subjects made by Japanese imperialism. 1930년대 경성 공간은 근대적인 소리와 볼거리가 본격화된 시기이다. 라디오, 유성기음반에서 흘러나오는 소리, 자동차와 인파들로 인한 도심의 소음 등은 경성 주민들로 하여금 도시 문화의 근대성을 체험하게 만드는 계기임과 동시에 신경을 날카롭게 만드는 원인이었다. 카페, 댄스홀, 극장, 유흥장 등에서 듣는 소리들은 소비자들에게 있어서는 섹슈얼리티를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이때의 청각체험은 시각이나 후각 등 다른 감각과 분리되어 실현되기보다는 매우 복잡하게 섞인 채로 받아들여졌다. 이 시기 경성 공간에 대한 시각적 인상은 근대성에 대한 매력과 식민성에 대한 거부감으로 분열되는 특징을 지녔다. 남촌, 북촌 사이의 시각적 차별성은 곧 식민지의 어두운 그림자를 상상하게 만듦과 동시에 근대적 문물에 대한 동경심을 불러일으켰다. 소위 ‘대경성(大京城)’ 공간에서의 시각 체험은 식민지의 모순과 함께 근대적 소비의 일상성을 유발했다. 극장 내부와 주변의 풍경은 다양한 시청각 체험과 식민지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의 소비 활동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때 극장 체험은 연극이나 영화를 통해 근대성을 경험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육체성에 대한 쾌락을 경험하는 것이기도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