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과)와 한문(과), 그 연대와 공존 방안

        박덕유 ( Deok Yu Park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3 No.-

        한국어의 대부분은 漢字語이므로 語彙力을 향상시키려면 漢字를 알아야만 하고, 그러려면 한자와 한자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漢文교육을 통해 讀解力을 길러 우리의 傳統文化를 繼承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言語精神과 言語機能을 모두 중시여기는 분위기를 조성해 國語科와 漢文科가 相互補完함으로써 共存해 나아가야 할 方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漢字가 國字임을 분명히 하는 語文敎育의 政策的轉 換을 통해 21세기 漢字文化圈의 동반자로서의 역할은 물론 한국어의 세계화를 이루어 國家競爭力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敎育課程次元에서 초등학교부터 한자·한문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中等學校에서 한문 과목이 필수과목으로 지정되거나 국어과와의 통합으로 교육과정 안에 한자 및 한자어에 관한 항목을 명시해야 하며, ``古典과 漢文`` 과목을 설정해 한문 독해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言語敎授차원에서 한자, 한자어, 한문 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국어과의 道具性과 한문과의 正體性의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국어과와 한문과의 연대와 공존으로 그 位相을 세워야 한다. Given that most of the Korean words come from Chinese words,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is necessary if students want to improve the ability of vocabulary. For this reason, it is inevitable to teac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dur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ad by learning Korean Classical Chinese and then, as a resul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lso could be keeping successive and developed forward as well. In this context, this paper is intended to present a detail recommendation about creating an at- mosphere of taking both language spirit and language function seriously so that both two could complement each other, and then the coexis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ly. Firstly,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globalizing Korean language, as the part of the Han-character Culture sphere of the 21st century, should be enhanced by means of switching the policies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ry in which Chinese characters specifically is the national script. The second suggestion about the education curriculum is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should start from primary school. Meanwhile during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phase, Korean classical Chinese should be set up as required subject, or specified as a project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that is integr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esides, the subject of Classic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also should be set up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to read. The third one is relative to language teaching. The vehic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ubject identity should be match up each other whe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Korean Classical Chinese is conducted. Furthermo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jointed and coexisted as one subject whose status of subject is necessary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인도네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 분석 고찰 및 교육 방안

        우스미 ( Usmi ),박덕유 ( Deok Yu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6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데 반해 인도네시아 학습자 를 위한 한국어 연구는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고는 인도네시아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인도네시아인 학습자의 한국어 문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인도 네시아인 학습자의 조사 사용 오류의 원인을 밝혀내는 데 있다. 오류 분석 결과를 보면 조사 사 용 횟수는 1,212회로 이중 오류를 범한 오류 수는 162회이다. 총 162회의 오류 횟수에서 다른 오 류 유형보다 대치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누락 오류는 총 33회(20.37%), 첨가 오류는 총 2 회(1.23%)인데, 대치 오류는 총 127회(78.40%)를 차지했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와 인도네시아어의 기본문형 구조를 수형도로 대조함으로써 두 언어 간의 차이점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차이 점으로 인하여 인도네시아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할 때 어려움을 겪을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범한 원인을 오류 유형에 따라 분석 고찰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 방 안을 제안하였다. The number of students who want to study Korean language In Indonesia is constantly increasing; however, there are only few Indonesian language researchers focusing on Korean Language for Indonesian learners. Being concerned with this issue, this preliminary study aims to discuss the Indonesian learners` perceptions on Korean grammar and to analyse the causes of improper use of Korean particles by Indonesian learners.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from 1,212 times of using particles, the Indonesian students make 162 errors. The most of the errors made by Indonesian learners are particle replacement-related errors. These errors could take various forms, namely particle omission (33 times or 20.37%), particle addition (2 times or 1.23%), and particle replacement (127 times or 78.40%). In this study, basic sentence structures of the two languages are also compared by using tree diagram. It show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both languages. Through these differences, we can predict Indonesian students`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language. Finally, the study findings are generally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designing an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Indonesian learners.

      • KCI등재

        한·중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표현문형 고찰

        원운하 ( Yuan Yunxia ),박덕유 ( Park Deok-y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교재 개발할 때 표현문형을 선정하거나 기술하는 데에 참고할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표현문형 고찰을 통해 올바른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한·중 한국어 중급 교재 5종류 13권을 대상으로 교재에 제시된 표현문형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양국 교재에 제시된 표형문형은 표기법 규칙성이 약하며, 결합정보에 대한 기술이 체계적이거나 일목요연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재 간에 수록된 표현문형 차이가 크다는 점, 비슷한 의미·기능을 갖는 표현문형들에 대해서도 보다 명확한 차이에 대한 기술이 없다는 점, 화용정보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중국 교재에 복합 형태나 확장 형태 표현문형이 존재하는 것, 한국 교재에 표현문형 문법 용어 표기가 없고 중국 교재에 있다는 것, 한국 교재에 표현문형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 없으며 중국 교재에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 있는 점, 중국 교재에 한국어에 대응하는 모국어 표지를 제시한 점 등 여러 면에서 표현문형 기술의 차이점이 있음을 밝혔다. 이에 한·중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표현문형 특징과 문제점을 바탕으로 표현문형 제시 방향을 고찰하였다. 제시 방향으로는 형태, 표기, 결합 정보와 구성, 의미·기능 및 화용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select or describe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whe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es develop textbooks, and also to suggest the correct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efficient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Thus, targeting total 13 Korean language textbooks(5 types) of intermediate level in Korea and China, the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presented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ed the weak regularity of orthography while the description of binding information was not systematic or clear. Moreover, there were problems like huge differences in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contained in the textbooks, no description of clear differences in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and insufficient explanation of pragmatic information. Meanwhile,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like Chinese textbooks included complex forms or extended forms of expression grammatical form, Korean textbooks did not include grammatical terms of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while Chinese textbooks had, Korean textbooks had no explanation of elements of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while Chinese textbooks had explanation of them, and Chinese textbooks suggested the sign for mother tongue to cope with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show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Korea and China, the directions of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were considered. The directions were described in the aspect of form, marking of expression grammatical forms, binding information, composition, meaning/function, and pragmatics.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이안용(Lee An yong),박덕유(Park Deok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이 소셜 미디어에서 공유하고 있는 한국어 사용 문제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유튜브에서 ‘탈북자, 한국어교육’을 검색어로 하여 2019년 5월 30일부터 2020년 5월 30일까지 유튜브 영상 100개와 댓글 11,173개의 문서를 수집하였다. 연구 방법은 언어 네트워크와 토픽모델링 분석을 사용하여 빈도수, 단어 쌍, 중심성, 주요 주제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넷마이너 4.4.와 소셜 미디어 수집 기능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가장 자주 출현한 핵심어는 ‘말’(1,532회 등장)이며 함께 사용된 단어들은 ‘억양, 말투, 무시, 상처, 충격’ 등 부정적인 단어이다. 둘째, 단어 쌍 분석 결과, ‘소외-계층’, ‘남한-생활’, ‘문화-차이’, ‘생활-차이’, ‘대학-생활’, ‘생활-정보’, ‘노력-정착’ 등이다. 셋째, 중심성이 가장 높은 핵심어는 ‘교육’이며 함께 사용된 단어들은 ‘적응, 학교, 학생, 교육, 정책, 필요, 북한, 말’ 등이다. 넷째, 댓글에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는 약 15%의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발음·억양’ 등이 주요 핵심어로 추출 되었다. 언어적응 과정에서 겪는 말투, 발음, 억양을 교정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들을 공유하고 있으나 문법적인 오류들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perceptions and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issue of using the Korean language shared by North Korean refugees on social media. The research subjects collected 100 YouTube videos and 11,173 comments from May 30, 2019 to May 30, 2020, using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search term on YouTube. The research method used language network and topical modeling analysis to analyze frequency, word pair, centrality, and main topics. The analysis tool utilize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Netminer 4.4. and social media collection func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core word is speech (appeared 1,532 times), and the words used together are negative words such as ‘intonation, speech, ignore, wound, shock . Second, as a result of word pair analysis, ‘alienation-class , ‘South Korean-life , ‘culture-difference , ‘life-difference , ‘university-life , ‘life-information and ’effort-settlement etc. Third, the core word with the highest centrality is “education, and the words used together are “adaptation, school, students, education, policy, need, North Korea, speech. Fourth, in the comments,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wed a low ratio of about 15 percent, and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ere extracted as major keywords. In order to correct the speech,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experienced in the language adaptation process, information was shared on social media, but grammatical errors were found and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aised in the social media space.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연구

        단채미 ( Duan Caiwei ),박덕유 ( Park Deok-y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한국어를 배우려면 한국어의 발음과 문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휘를 많이 알고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우선 어휘를 많이 알아야 그만큼 의사소통을 잘할 수 있다. 한국어의 어휘체계는 주로 ‘한자어+고유어+외래어’로 구성된다. 그중에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현대사회는 경제 글로벌화에 따라 한 언어권이 타 언어권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외래어가 한국의 일상생활 중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외래어에 대한 교육 연구는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한국의 대학에서 공부하는 중국인 학생의 수는 매우 많은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 6개 기관에서 나타난 499개 외래어를 정리하고 어원의 특성, 학습자의 수준, 외래어 출현 빈도, 외래어 표기 실태, 중국어와의 대비 등 다섯 가지 관점에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외래어의 학습 현황 및 범하기 쉬운 오류를 통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To learn Korean,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accurately grasp the pronunciation and grammar of Korean, at the same time,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know a lot of vocabulary and be able to use it correctly. First of all, a lot of vocabulary is the foundation to communicate well. The vocabulary system of Korean is mainly composed of "Sino-Korean words + native words + loanwords", among which the proportion of "loanwords" is increasing. In modern society,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one language field is shifting to another language field. Therefore, loanwords occupy a large proportion of daily life in Korea, but educational research on loanwords has not yet been sufficiently covered. In particular, although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universities in Korea is very large, studies that suggest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oanwords for Chinese learners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d 499 loanwords that appeared in Korean textbooks from six institutions, classified and analyzed them from five perspective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ymology, the level of learner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loanword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anwords, and the contrast with Chines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nd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learners learning Korean loanword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and the easy mistakes usually made, a specific education direction for Chinese Korean learners was suggested.

      • KCI등재

        과제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담화표지 ‘그냥’ 교육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하여 -

        고산 ( Gao Shan ),박덕유 ( Park Deok-y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고는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담화표지 ‘그냥’의 기능 및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자료와 모국어 화자의 발화 자료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과제중심 교수법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각 기능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을 찾고, 그 기능에 따라 모국어 화자의 발화에서 사용된 빈도와 학습 자료에서 제시된 빈도를 비교해서 학습자료의 문제점을 제시하였으며 의사소통적 교수법인 과제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교수 방안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담화표지를 학습할 때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help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the use of Korean discourse markers more successful.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I first research the discourse functions of the marker ‘keunyang’, examined along with examples in actual conversation 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correspondence expressions in Chinese. After having discussed the discourse functions, I discussed the problem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native Korean speaker’s conversation data and the textbook. Finally, I suggested a Task-Based Teaching Method in Discourse Marker ‘keunyang’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meaningful for chinese leaners that they can learn the Korean discourse markers effectively.

      • KCI등재

        한국어 유사 문법 교육에서 자료주도학습의 적용 효과 연구

        설교(Xue Jiao),박덕유(Park, Deok-yu)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9 No.-

        본고는 유사 문법 교육에서 코퍼스를 활용하여 자료주도학습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료주도학습은 학습자가 콘코던스를 통해 추출된 언어자료에서 발견한 언어자질(salient feature)을 분석한 후 자기 스스로 발견한 규칙을 일반화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한국어 교육은 전통적으로 교사중심의 연역적 설명과 명시적 정보를 암기하는 주입식 교육인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유사 문법 학습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를 통하여 귀납적 방법과 연역적 방법의 자료주도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실제적인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두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학급별로 각각 학생중심 귀납적 학습과 교사중심 연역적 학습을 적용하여 14차시의 연구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수업의 전과 후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 평가 및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학습방법과 학습자 수준에 따라 학습효과가 다르게 나타났음을 밝힘으로써 인지적, 정의적 실험 결과와 개방형 설문을 바탕으로 설계한 학습모형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활용 방안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한국어 유사 문법 교육에 새로운 가능성을 고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iciency of data driven learning using corpus in similar grammar education. Data-driven learning is that learners generalize their own rules after analyzing salient features found in language data extracted through the concordance. Considering that Chines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raditionally teacher-centered deductive and explicit information memorizing,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n similar grammar learning, designed data-driven learning models of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and applied them to the actual classroom to verified its effectiveness. To verify this, two classe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pplying student-centered inductive learning and teacher-centered deductive learning to each class, respectively,for a total of 14 lessons.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class, pre- and post-evaluation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students, revealing that learning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learning method and learner level. On this basis, combined with cognitive and effective experiment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e open questionnaire, the designed learning model i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provides a new possibility for Korean similar grammar education by using the corpus to make specific and practical application plans and applying them to the field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