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인쇄 병풍화의 유행과 民畵에의 영향

        박근아(朴槿娥) 한국미술연구소 2016 美術史論壇 Vol.- No.42

        Not only the visual image such as postcards, posters, textbooks and novels illustrations, newspaper ads, etc. due to the printing technology introduced through Japan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in Korea, but also a variety of types of printed pictures such as reproduced ones by famous painters had got to be prepared. Among which bird and flower paintings were mass-produced and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For printed bird and flower paintings the auspicious motifs such as pine and crane, tiger and bamboo, peonies and peacocks, eagles, a group of chickens were often used. The motifs such as pine and crane, tiger and bamboo can be also found in ou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but in the composition and style the influence of Japanese painting style is detected. The printed pictures were already introduced into the country and distributed nationwide in the 1920s, which had been used mainly in the form of a folding screen until the 1980s, in the feasting spaces, such as wedding ceremonies and the 60th birthday parties. Such folding screens were printed to form a new demand as a “new art” in the art market in the 20th century, which replaced the place of folk paintings having existed as the existing public art. Rather, the fact that folk artists have actively borrowed and transfigured the motif of the printed folding screens and tried to fit in a then fashioned taste can be found through existing handwriting folk paintings. We are looking forward to that you can identify the visual culture by newly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nted folding screens and folk paintings in a fashion all over the 20th century, and take it a base to access the folk ones on a broader perspective.

      • KCI등재

        16세기 향사당의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박근 한국체육사학회 2022 체육사학회지 Vol.27 No.4

        조선 초기 점필재 김종직은 향사례의 구체적 시행을 위하여 유향소 복원을 성종에게 건의하게 된다. 따라서 복원된 유향소는 향사당이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불리어지게 된다. 이후 향사당과 향사례는 현재 활터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추론된다. 본 연구는 향사당의 변천과정 속에서 향사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활쏘기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16세기에는 향사당의 전국적 분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사당의 교육적 기능 위주의유형과, 유향소적 기능 위주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모두 주례의 향대부를 체로 삼고 있다. 그러나이를 적용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지역별로 많은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향사당이라는 명칭을 고수하고있는 것으로 보아 향사당과 유향소가 분리되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1593년 영현지역에 나타난 사계는 향사례를복원하기 위해 만들어 진 것으로 향사당의 변형적 형태인 것으로 확인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휴대폰 카메라용 비구면렌즈의 성형해석 및 후변형해석

        박근,엄혜주,안종호,Park, Keun,Eom, Hyeju,Ahn, Jong-Ho 한국금형공학회 2012 한국금형공학회지 Vol.6 No.1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optical components, aspheric lenses have been widely applied in recent years. An aspheric lens consists of aspheric surfaces instead of spherical ones, which causes difficulty in the design process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procedure. Although injection molding is widely used to fabricate optical lenses owing to its high productivity, there remains lots of difficulty to determine appropriate mold design factors and injection molding parameters. In the injection molding fields, computer simulation has been effectively applied to analyze processes based on the shell analysis so far. Considering the geometry of optical lenses, a full-3d simulation based on solid elements has been reported as a reliable approach. The present work covers three-dimensional injection molding simulation and relevant deformation analysis of an injection molded plastic lens based on 3d solid elements. Numerical analyses have been applied to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es of three aspheric lenses for an image sensing module of a mobile phone.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approach has been verified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치우와 헌원의 정통성에 대한 연구 - 『사기』 「오제본기」의 중의적 서술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박근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사기』 「오제본기」는 천자였던 신농의 정통을 헌원이 계승하였다는 정통성의 관점에서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헌원의 정통성을 근간으로 한족(漢族)의 역사가 성립된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서 신농의 정통이 치우에게 있음을 사마천은 피력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오제본기」는 중의적 서술 구조로 기술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표면적으로는 헌원의 정통을 의도하기 위해 서술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면적 내용은 오히려 치우에게 정통이 있음을 피력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오제본기」의 중의적 구조를 분석하여 사마천의 의도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사마천이 「오제본기」를 집필하기 위해 인용하였던 일차사료 중 현존하는 사료를 분석하여 사마천의 왜곡의 과정을 도출하여 보았다. 이후 「오제본기」의 중의적 서술 구조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여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마천이 말하고자 하는 진실은 ‘신농의 정통을 계승한 이가 치우’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추측하건데 사마천이 집필할 당시 진실을 말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마천은 중의적으로 서술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정통성의 관점에 있어서 전쟁에서의 승패는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승패와 상관없이 비록 치우가 변방으로 쫓겨나 있을지언정, 치우가 신농의 정통을 위해 헌원과 대결하는 순간 천자의 정통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신농과 헌원과 치우라는 세 인물의 이야기에 불과할 수 있지만, 어찌 보면 수천 년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시원이 되리라 생각된다. 『Sagi』 「Ojebongi」 i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legitimacy that Heonwon inherited the orthodoxy of Sinnong. Based on this legitimacy of Heonwon, the history of the Han Dynasty is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discovered that Chiu was inherited the orthodoxy of Sinnong. 「Ojebongi」 was described in a dual narrative structure. On the surface, it seems to have been described to intend the orthodoxy of Heonwon, but the behind-the-scenes content was rather explaining that Chiu was inherited orthodox.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intention of the 「Ojebongi」 by analyzing a dual narrative structure of the Samacheon. To this end, we first analyzed the existing historical materials among the primary sources cited by 「Ojebongi」 to write Samacheon to derive the process of distortion of Samacheon. Since then, a dual narrative structure of 「Ojebongi」 has been closely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th that Samacheon was trying to tell was that "Chiu inherited the legitimacy of Sinnong." Presumably, Samacheon was not allowed to tell the truth at the time of writing, so it is thought that described it a dual structure. When it comes to legitimacy, winning or losing a war may not be an important issue. Regardless of the victory or defeat, although Chiu may be kicked out, the moment Chiu confronts Heonwon for the legitimacy of the Sinnong, the legitimacy of the heavenly ruler arises. This study may only be the story of three characters, Sinnong, Heonwon, and Chiu, but in a way, it is thought to be a source of correcting the distorted history of thousands of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