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분석을 통한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 활성화 과제 탐색

        박광옥,이현주,김경선,박희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0 장애와 고용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formance tasks for the promo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Delphi analysis and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to carry out the tasks. Metho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on 30 experts with abundant knowledge of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r who have directly provided or used relevant education and services for at least 6 years. Results: As a result of Delphi analysis, a total of 6 areas and 19 tasks were derived, including interagency collaborati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cross the lifespan, on-site training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amily participation, lifelong education, and integrated school for vocational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Through the discussion on the task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greed by the Delphi analysis, suggestions were made to activate each task. This study is meaningful to provide suggestions preparing for the future special education policy by exploring important and critically required task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델파이 분석을 통하여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수행 과제를 탐색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학생 전환교육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거나 최소 6년 이상 관련 교육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거나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델파이 분석 결과, 유관부처 및 기관 협업, 생애주기별 진로 · 직업교육, 특수교육대상자 현장실습, 가족참여, 평생교육,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등 총 6개의 활성화 영역과 총 19개의 세부 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델파이 분석에 의해 합의된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의 과제에 대한 논의를 통해 각 과제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학생 진로 · 직업교육 분야에서 현재 중요하고 시급하게 요구되는 과제들을 탐색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종사자 인식 연구 -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

        박광옥,이동석,김은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types of service providers in institutions on challenging behavior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dopted Q-methodology which is developed mainly to study on the subjective conceptualization of related people on research theme. As a result, three major types of perception on challenging behavior are found out. Type 1 is named as ‘communicational behavior – respect for disabled person’, because challenging behavior is recognized as means of expressing wishes and it is necessary to respect for wishes in itself. Type 2 is named as ‘risky behavior –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provider’. It emphasized the undesirable results of challenging behavior and stresses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provider. Type 3 is named as ‘unpracticed behavior – self directed support’. Challenging behavior occurs because disabled persons do not know how to act and communica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right reaction and attitude and this support should be delivered by self direction. By this study, we can find diverse perceptions and meanings on challenging behavior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facilitate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allenging behavior.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들의 빌달장애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우선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151개의 Q모집단에서 31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으며, 거주시설 종사자 37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거주시설 종사자의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인식유형은 총 3가지로 나타났다. 유형 1은‘의사전달행위 – 당사자 존중형’으로 도전적 행동을 욕구표현수단으로 인식하고, 발달장애인이 중심이 되어 그들의 필요에 기반한 지원을 강조하였다. 유형 2는‘위험수반행위 – 전문가 주도형’으로 도전적 행동의 결과에 초점을 두고,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으로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체계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경험부족행위 – 당사자 옹호형’으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은 부족한 경험과 학습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그들의 역량 개발에 중점을 두어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발달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전적 행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환경 기반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이해와 필요한 실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홈 IoT에서 SSDP 반사체 공격에 대한 대응기법

        박광옥,이종근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2

        최근에 증폭기법을 이용한 DDoS 공격은 정상적인 서버들에서 정상 트래픽과의 구분을 어렵게 하고 공격탐지를 하더라도 감지가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SSDP 프로토콜은 IoT 장비들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DDoS 증폭 공격으로 활용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SSDP의 서비스 확인 메시지 중계의약점을 이용한 반사체공격기법을 분석하고 이러한 공격에 대하여 각 디바이스의 Mac 주소를 관리하여 공격을 감지하고 방어하는 기술적 제안과 홈 IoT 관리 체계를 제안하였다. 가상 환경 속에서 실험적 공격을 수행하여 가상공격의효과에 대하여 정리 분석하였으며 제안 기술로 공격을 방지하도록 검증하였으며 또한 홈 IoT의 보안관제 체제를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DDoS attack using the amplifier method make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normal traffic from the normal server and it is difficult to detect even the attack detection. Since the SSDP protocol is a common protocol widely used in IoT devices, it is used as a DDoS amplification attack.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flector attack of SSDP which is one of the DDoS and suggest a technical proposal to detect and defend against the attack by managing the Mac address of each device. Also, we propose a control structure to protect the reflection attack of SSDP in Home IoT.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verified by performing an experimental attack on the virtual environmen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자아개념 및 정신건강

        박광옥,김영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와 정신건강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와 G시에 소속되어 있는 한 학기동안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3학년, 169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9월 17일에서 10월 12일까지이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는 높았고, 자아개념 정도와 정신건강 수준은 낮았다. 임상실습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실습교육환경,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 실습업무 부담 등이 높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교육환경,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 대인관계갈등, 환자와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개념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개인적 자아,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와 임상실습스트레스 하위 영역 중에서는 대인관계갈등이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32.9%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과 임상실습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중재방안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plore the mental health level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clinical stress and self-concept,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mental health.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69 nursing students in B and C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21.0 program. The mean scores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self-concept and mental health were 2.86, 3.05 and 1.56. The mental health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x and the location of high school. The mental health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self-concept. Personal self-concept, social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flict accounted for 32.9% of variance in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Finding of this study allo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by considering self-concept and relieving stress of clinical practice.

      • KCI우수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희망 근로조건에 대한 연구

        박광옥,김종경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the problems and desired work conditions of nursing organizations in small-medium hospitals. Methods: Delphi Technique was used. In the first stage, the work conditions of nurses in small-medium hospitals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the second stage, through 3 consultations with 20 nurse advisory groups, feedback was received on the desired work conditions for nurses in small-medium hospitals. In the third stage, 415 nurses and nurse manager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content validity and importance of the desired work conditions identified in the second stage. Results: Sixty-four items were developed along eight domains of desired work conditions for nurses in small-medium hospitals. The survey on the desired work conditions revealed the following in order of importance: ‘wages’, ‘personnel’, ‘job’, ‘work hours’, ‘welfare’, ‘education’, ‘culture’, and and ‘other incentiv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mall-medium hospitals need to recognize the desired work conditions desired by nurses and accordingly change policies through the efforts of hospitals and professional group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소병원의 간호조직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근무조건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델파이기법이 이용되었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무조건에 대해 문헌고찰을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간호사 자문그룹 20명과 3번의 조사를 통해 중소병원의 간호사의 바람직한 근무조건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415명의 중소병원 간호사와 간호관리자를 통해, 두 번째 단계에서 확인된 바람직한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무조건의 대한 내용타당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중소병원의 간호사의 바람직한 근무조건은 8개 영역, 64개 항목이 개발되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희망 근로조건의 8개 영역은 '임금', '인력', '업무', '근무시간', '복지', '교육', ‘문화’, '기타 인센티브등이다. 결론: 본 연구 결과 병원에서는 중소병원 간호사가 원하는 근로조건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병원 및 전문직 단체의 노력이 있어야 하며, 정책에 반영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