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노실버 투명전도소재 보호필름의 개발 및 공정 최적화와 실험 계획법을 이용한 검증

        박광민,이지훈,Park, Kwang-Min,Lee, Ji-Ho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8 No.12

        We have studied commercialization and process optimization of protective film on transparent conductive coated substrate, nano silver on flexible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by means of roll-to-roll micro-gravure coater. Nanosilver on flexible PET substrate is potential materials to replace ITO (indium tin oxide). Protective film is most important to maintain unique silver pattern on top of transparent PET. 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as developed solely for nano silver on PET and protective film was successfully laminated. We have optimized all process conditions such as coating thickness, line speed and aging time & temperature via experimental desig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its protective film developed in this resear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at this moment.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A New High-Efficiency CMOS Darlington-Pair Type Bridge Rectifier for Driving RFID Tag Chips

        박광민(Park, Kwang-M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논문에서는 RFID 태그 칩 구동을 위한 새로운 고효율 CMOS 브리지 정류기를 설계하고 해석하였다. 동 작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게이트 누설전류의 주 통로가 되는 게이트 커패시턴스를 회로적인 방법으로 감 소시키기 위해 제안한 정류기의 입력단을 두 개의 NMOS로 종속접속형으로 연결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러한 종속접속 형 입력단을 이용한 게이트 커패시턴스 감소 기법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제안한 정류기의 출력특성은 고주 파 소신호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일반적인 경우의 50㏀ 부하저항에 대해, 제안한 정류기는 915㎒의 UHF(for ISO 18000-6)에서는 28.9%, 2.45㎓의 마이크로파 대역 (for ISO 18000-4)에서는 15.3%의 전력변환 효율을 보여, 915㎒에서 26.3%와 26.8%, 2.45㎓에서 13.2%와 12.6%의 전력변환효율을 보인 비교된 기존의 두 정류기 에 비해 보다 개선된 전력변환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제안한 정류기는 다양한 종류의 RFID 시스템의 태그 칩 구동을 위한 범용 정류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a new high-efficiency CMOS bridge rectifier for driving RFID tag chips is designed and analyzed. The input stage of the proposed rectifier is designed as a cascade structure connected with two NMOSs for reducing the gate capacitance by circuitry method, which is the main path of the leakage current that is increased when the operating frequency is increased. This gate capacitance reduction technique using the cascade input stage for reducing the gate leakage current is presented theoretically.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rectifier are derived analytically using its high frequency small-signal equivalent circuit. For the general load resistance of 50㏀, the proposed rectifier shows better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of 28.9% for 915㎒ UHF (for ISO 18000 -6) and 15.3% for 2.45㎓ microwave (for ISO 18000-4) than those of 26.3% and 26.8% for 915㎒, and 13.2% and 12.6% for 2.45㎓ of compared other two existing rectifiers. Therefore, the proposed rectifier may be used as a general purpose rectifier to drive tag chips for various RFID systems.

      • KCI등재

        고조선 국명 및 지명에 대한 어원적(語源的) 고찰(考察)

        朴光敏 ( Park Kwang-min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60

        본고는 『삼국유사』 <고조선> 편에 기록된 우리나라의 古代지명어를 語源的으로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고대의 지명어가 만들어지고 기록될 당시에는 고유어를 적는 수단이 없었으므로 漢字의 음이나 새김을 차용해 고유어를 표기하는 수단으로 삼았다. 당연히 고유어가 먼저 있었고, 借字와 漢譯등은 고유어 이후에 생겨난 것들이다. 그러나 이두나 口訣또한 한자였으므로, 어떤 것은 音讀을 해야 하고, 어떤 것은 訓讀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 글도 수천 년 세월의 間隙(간극)을 뛰어넘기는 어렵겠으나 여러 자료의 비교 분석을 통해 고대 우리 지명어를 어원적으로 고찰하고, 고조선 諸國언어의 異同여부를 究明하여 고대사 복원을 위한 작은 礎石한 개를 놓아 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삼국유사』의 ‘阿斯達·窮嶽·白岳·朝鮮·平壤’ 등의 相關性을 고찰하면서 同音語또는 同根語일 가능성과 ‘三危’의 어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ncient Korean toponyms which were transcribed in “Part: Kojoseon”(「古朝鮮」 篇) of Samguk-Yusa(『三國遺事』), with etymological concerns. Most of ancient Korean toponyms apprear in Samguk-Sak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and partly some others are found in Goryeosa(「高麗史 The History of Koryo」),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 「地理志 篇」), and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新增東國輿地勝覽」) Due to the absence of native Korean texts in ancient times, Korean language was transcribed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or interpretation of Chinese characters. First, the native Korean verbal language existed, then developed the methods of loan-word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I-du (吏讀)’ and ‘Kugyol (口訣)’. For the methods used Chinese texts, some ancient Korean toponyms can be read according to its Chinese pronunciation, while others can be according to its Chinese meaning. There exists the gap of thousands of years between the ancient and today. Howev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ncient Korean toponyms by scrutinizing each document available. In “Part: Kojoseon”(「古朝鮮」篇) of Samguk-Yusa(『三國遺事』), the following country names and toponyms are found: Asadal(阿斯達), Joseon(朝鮮), Samui-Taebaek(三危太伯), Myohyangsan(妙香山), Pyeongyang(平壤), Baekaksan(白岳山), Jangdangkyeong(藏唐京), Kojukkuk(孤竹國), Hyeondo(玄菟, Xuantu), Nakrang(樂浪, Lelang), Deabang(帶方, Daifang), Muyeopsan(無葉山), Gungak(窮嶽). While inspec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mes of Asadal, Gungak, Baekak, Joseon, and Pyeongya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synonymic or cognate association between them, and reexamines the etymology of Samui(三危).

      • KCI등재

        RFID 칩 구동을 위한 NMOS 전류미러형 브리지 정류기의 설계

        박광민(Park, Kwang-Min),허명준(Hur, Myung-J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유효한 DC 전압을 얻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입력전압이 충분히 낮으면서도 소비전력이 기존의 정류기 보다 낮은 새로운 NMOS 전류미러형 브리지 정류기를 제안하였다. 설계된 정류기는 13.56 ㎒의 HF (for ISO 18000-3)부터 915 ㎒의 UHF (for ISO 18000-6) 및 2.45 ㎓의 마이크로파 대역 (for ISO 18000-4)까지의 전 주파수 범위에 대해 RFID Transponder에 내장된 마이크로 칩을 구동하기에 충분히 높고 잘 정류된 직류전압을 공급 할 수 있다. 제안된 NMOS 정류기의 출력특성은 고주파 등가회로를 이용하여 해석하였으며, 동작 주파수 증가에 따른 게이트 누설전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회로적 방법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계된 NMOS 전류미러형 브리지 정류기는 3V 피크-투-피크 업력전압과 45 ㏀ 부하저항에서 100 ㎼의 소비전력 특성과 2.13V의 DC 출력전압이 구해졌다. 제안된 NMOS 전류미러형 브리지 정류기는 기존의 정류기에 비해 UHF 및 마이크로파 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보다 우수한 특성들을 보였다. In this paper, a new NMOS current-mirror type bridge rectifier for driving RFID chips, whose minimum input voltage required to obtain the effective DC output voltage is low enough and whose power dissipation can be reduced than that of conventional one, is proposed. The designed rectifier is able to supply high enough and well-rectified DC voltages to drive RFID transponder chips for the frequency range of 13.56 ㎒ HF(for ISO 18000-3), 915 ㎒ UHF(for ISO 18000-6), and 2.45 ㎓ microwave(for ISO 18000-4).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rectifier are analyzed with the high frequency equivalent circuit. And the circuitry method for effective reducing of the gate leakage current due to the increasing of operating frequency is also proposed theoretically. Using this method, the power consumption of 100 ㎼ and the DC output voltage of 2.13V for 3V peak-to-peak input voltage and 45 ㏀ load resistance are obtained. Compared to conventional one, the proposed rectifier operates in more stable and shows superior characteristics in UHF and microwave frequencies.

      • KCI등재

        상대 밀도에 따른 금속 적층 제조 격자 구조체의 기계적 특성

        박광민(Kwang-Min Park),김정길(Jung-Gil Kim),노영숙(Young-Sook R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6

        격자 구조체는 강도 및 강성, 초경량 및 에너지 흡수 능력 등의 우수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방위 산업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나,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형상에 따른 제조 공정의 어려움으로, 현재까지 광범위한 상용화 및 사용은 제한되고 있다. 한편 적층 제조는 전통적인 제조 방법으로는 불가능한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 제조가 가능한 기술로써, 격자 구조체 제조를 위한 최적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좌표 방법으로 단위 셀을 형성하고, 단위셀의 바운더리 박스 크기 및 스트럿 반경에 따른 상대 밀도의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imple Cubic(SC), Body-Centered Cubic(BCC) 및 Face-Centered Cubic(FCC)을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대 밀도 맞춤형 구조체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상대 밀도 산출식 정확도는 SC, BCC 및 FCC에서 98.3 %, 98.6 % 및 96.2%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격자 구조체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동일한 셀 배열 조건에서는 상대 밀도가 커짐에 따라 항복 하중이 커지고, 동일 배열 조건에서는 SC, BCC, FCC 순으로 압축 항복 하중이 작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20 ㎜ × 20 ㎜ × 20 ㎜ 크기의 구조체는 SC 단위 셀을 3×3×3 배열로 구성하는 것이 압축 하중에 대한 구조적 최적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lattice structure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industry because of its excellent strength and stiffness, ultra-lightweight, and energy absorption capability. Despite these advantages, widespread commercialization is limited by the difficult manufacturing processes for complex shapes. Additive manufacturing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optimal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lattice structures as a technology capable of fabricating complex geometric shapes. In this study, a unit cell was formed using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method. The relative density relational equation according to the boundary box size and strut radius of the unit cell was derived. Simple cubic (SC), body-centered cubic (BCC), and face-centered cubic (FCC) with a controlled relative density were designed using modeling software. The accuracy of the equations for calculating the relative density proposed in this study secured 98.3%, 98.6%, and 96.2% reliability in SC, BCC, and FCC, respectively. A simulation of the lattice structure revealed an increase in compressive yield load with increasing relative density under the same cell arrangement condition. The compressive yield load decreased in the order of SC, BCC, and FCC under the same arrangement conditions. Finally, structural optimization for the compressive load of a 20 ㎜ × 20 ㎜ × 20 ㎜ structure was possible by configuring the SC unit cells in a 3 × 3 × 3 array.

      • KCI등재

        건설자재 미세먼지 제거율 평가를 위한 선형 회귀 분석법 제안

        박광민 ( Kwang-min Park ),민경성 ( Kyung-sung Min ),정상화 ( Sang-hwa Jung ),노영숙 ( Yonug-sook Roh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5 No.5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제거 기능성 건설자재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 제거율 평가 방법 및 기반 시설은 국내에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상 미세먼지 제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미세먼지 제거율 시험 챔버를 구축하고 입자상 미세먼지 제거율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건설자재는 미세먼지가 발생하는 환경에서 유효성을 가지기 때문에, 시험 입자 주입 단계 구간를 비교 대상으로 제안하였다. 미세먼지 주입 단계에서 측정한 모든 질량농도값에서 선형 회귀 분석으로 얻어진 기울기값을 상대 비교함으로써 미세먼지 제거율 평가를 제안하였다. 본 방법은 모든 측정값을 대상으로 하고 측정값 변동성에 대한 평가를 결정계수(R<sup>2</sup>)로 평가할 수 있어서 미세먼지 제거율 결과값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order to remove particulate matter, func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are developed. However, there is no evaluation method and infra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moval rat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particulate matter removal rate test chamber and to present a method for particulate matter removal rate. As a result, since construction materials have effectiveness in an environment where particulate matter is generated, the particulate matter injection step was proposed as a comparison target. The evaluation of the particulate removal rate was proposed by relative comparison of the slope values obtain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all concentration values measured in the particulate matter injection step. In linear regression method, all measured values can be evaluated, and the variability can be evaluated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articulate matter removal rate can be secu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