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패드 기반의 협력 학습을 위한 대학 강의 보조 도구로서의 어플리케이션 기획 설계

        민혜기,유현지,소유나,임세은,류아영,박승호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2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춘 새로운 교수-학습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현재, 급격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교육 분야에 있어 새로운 교육 환경과 부응하는 융•복합 콘텐츠의 출현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대학 현장에서 교수자의 일방적인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학습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패드 기반의 강의 보조 어플리케이션 ‘스터디 위더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협력학습이 가능하도록 공유를 통한 풍부한 학습 자원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참여적 환경의 형성, 학습에 있어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맥락 제공이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컨셉이다. 개발방향에 따라 주요 기능들을 도출하였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플로우차트를 설계한 후 향후 실제 구현을 위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To keep pace with the age of ubiquitous, new teaching-learning technique studies are invigorated at present. Rapidly spreading Smart devices are accelerating to emerge consolidation contents which are satisfying new circumstances in education field. In this research, we are going to shed unilateral teaching environment from college's lecture room and propose the lecture assistance application which is named "study with us" based on smart pad. The application's main concepts are three. One, to utilize abundant educational resources with sharing, which make cooperative learning possible. Two, to create participative circumstances so, it can improve interactions between lecturer and students. Three, to provide practical contents that enhance to be immersed in learning. As the aims of development, we deduct main functions to design the application's flowchart plan and suggest a prototype for henceforward implementation.

      • KCI등재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탐색

        민혜,홍성연 한국공학교육학회 2009 공학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rovable proposal of instruction through analyzing learners' needs and satisfaction for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the online survey date with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college of engineering and all students in SNU was identified. Among several factors influenced on learners' satisfaction in class, it is shown that satisfaction to facilities is higher than any other factor related to instruction. Generally, satisfaction with teaching in class is lower while satisfaction to an extrinsic support to students is high.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be more concerned about teaching in class. Learners' satisfaction with instructors’ feedback to assignments and tests is significantly higher in college of engineering. However,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progress of classwork and assignment students should perform regularly is lower than one in other colleges. 이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의 차이 및 전체 대학과 공과대학의 학생의 수업만족도 차이에 근거하여 공과대학 수업개선 전략을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 전체와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전반적인 교육만족도에 있어 수업 자체에 대한 만족도 보다 시설, 설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업외적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나 실제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요구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실제 수업에 대한 관심을 더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항목별 만족도에 있어서는 과제와 시험의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대학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수업진행 속도와 과제부담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취업준비 과외학습의 유형과 비용에 관한 연구

        민혜 한국교육사회학회 2003 교육사회학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준비 과외학습 경험과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특히 가정의 소득, 부모의 학력과 같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대학소재지, 대학의 위계서열, 전공계열과 같은 대학관련 특성은 대학생의 취업준비 과외학습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성별이나 성적과 같은 개인적 배경 변인들은 대학생의 취업준비 과외학습 경험과 취업준비 과외학습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취업준비 과외학습 경험과 취업준비 과외학습 비용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은 전공계열, 대학의 소재지, 대학의 위계서열과 같은 대학 관련특성과 부모의 학력과 가정의 수입과 같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임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과외학습 경험과 비용이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전공계열이나 대학의 소재지, 대학의 위계서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취업준비 과외학습을 매개로 해서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야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현재 계속 증가하고 있는 대학생의 취업준비 과외학습은 대학의 전공계열간의, 위계서열이 다른 대학간의, 수도권 대학과 비수도권 대학간의 취업기회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대학생의 취업준비 과외학습 경험과 비용은 개인적인 선택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기보다 노동시장 구조와 사회경제적 구조에 의해 변화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analysis of practical data about experiences and costs of the private tutoring of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The private tutoring of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has led university education to be toward excessive employment preparation and raised discussions about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by increasing expenditure of private education cost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private tutoring also has been enlarged in universities and to analyze social meanings of the private tutoring in Korean society. Concrete research issues to be examined are as follows; first, actual conditions of the private tutoring of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second, factors affecting experiences and costs of the private tutoring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factors greatly affecting the private tutoring among personal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urth, difference in the private tutoring by location of university, university ranking an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that experiences and costs of private tutoring of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are correlated with socioeconomic backgrounds of a home, major, location of university, and university rank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socioeconomic status of a home can affect occupation and social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and socioeconomic inequality may arise through educational opportunity of the private tutoring.

      • KCI등재

        교수·학습 자격과정을 통한 대학에서의 교수·학습 질 관리 : 영국 대학의 사례

        민혜리(Min Hye-Ri)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3

        이글은 교수·학습 질 강화를 핵심과제로 삼고 있는 영국의 고등교육 개혁 작업을 분석한다. 주요한 분석의 대상은 영국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평가사정국(Quality Assurance Agency for Higher Education)의 인증을 받아 운영하고 있는 고등교육 교수·학습 자격과정 혹은 학위과정이다. 이 과정은 그간 대학교육에서 연구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시되어왔던 교수자의 교육능력을 관리·훈련하는 전문적 과정이다. 뿐만 아니라 영국에서 최근 추진하고 있는 강의능력 향상을 위한 국가기구(Teaching Quality Academy)와 강의에 대한 새로운 국가전문기준(professional national teaching standard) 마련 작업의 기초가 되고 있다. 이같이 영국 대학에서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그간 연구에 비해 중요성이 저평가 되었던 대학에서의 교육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한국의 교육개혁 작업에서 놓치고 있는 강의 현장의 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reformation of English higher education regards the intensification of teaching-learning quality as a main theme. This is a thesis which analyzed the process of such reformation. The main object of this analysis is a qualifying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teaching-learning system which is being operated under the authentication of Quality Assurance Agency for Higher Education. This curriculum is a process to manage and to improve the teachers' teaching capability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compared with the researching capability. In addition this process is becominga basis to found the Teaching Quality Academy which is lately promoted by English government to improve teaching ability and to get a new professional national teaching standard for lectures as well. Considering the effort which the English have had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it might be a chance for Koreans to take another look at the importance of college education which has been disregarded. Furthermore this will be a start to expedite the progress of changing atmosphere at the scene of teaching which has been also missed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대학교수 교육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민혜리(Hyeree, Min),길혜지(Hyeji, Kil),윤지영(Jiyoung Yo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S대학교 우수강의자 인터뷰 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역량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측정영역 및 하위요소를 구성한 후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구인타당도 검증과 신뢰도 분석, Rasch 모형을 적용한 문항특성 분석 등을 통해 기초소양 21개, 교수역량 44개로 구성된 교육역량 진단도구를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대학본부 차원에서는 진단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 등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tool for assessing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of the professor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 analysis of an interview with an excellent lecturer at S University,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to define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measurement domain, and to developed draft items. Next,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struct validity, reliability, item difficulty and fitness by rating scale model. In result,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al competencies consisting of 21 basic literacy and 44 teaching competencies was finally develope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y diagnosing professors’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support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using this tool practically.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수업 우수 사례 연구

        민혜리 ( Hyeree Min ),김경이 ( Kyungyee Kim ),남민우 ( Minwoo Na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전면적으로 도입된 온라인수업에서 우수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이들 수업의 공통요소와 향후 비대면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수사례는 온라인수업방식,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동기부여, 성과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검토하고, 각 영역별 특성을 전공계열별로 나누어 차이점 및 공통점을 검토하였다. 우수한 온라인수업에서는 많이 활용되는 온라인 상호작용은 LMS 활용, SNS 활용, 온라인 그룹활동, 실시간 토론, 교육용 앱과 협업 도구 활용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학습동기부여영역에서는 참여유도형 학습 활동, 지속적인 교수자 모니터링 및 피드백, 강의 관련 다양한 콘텐츠 활용, 상세한 학습활동 안내의 순으로 활용하였다. 우수 사례들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된 요소는 1) 학습자의 이해도를 확보하는 온라인 강의 2) 실재감 높은 강의 콘텐츠 제작 3) 적극적인 온라인 상황에서의 상호작용 4)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 5) 온라인학습관리시스템(LMS)의 적극적 활용 6) 학습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피드백 강화가 제시되어 이 점이 향후 온라인수업의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and analyze best practices in online classes that were fully introduced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derive common elements of these classes and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uture. Best practice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online teaching method, online inter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by major category to examin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lin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widely used in the order of LMS utilization, SNS utilization, online group activities, real-time discussion, and educational app and collaboration tool utilization. I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inducing learning activities, continuous monitoring and feedback of instructors, the use of various contents related to lectures, and detailed learning activities were used in the order. Factors commonly evaluated as important in best practices were 1) Online lectures to secure learners' understanding 2) Production of realistic lecture contents 3) Interaction in active online situations 4) Use of various edutech 5) Continuous monitoring and reinforcement of feedback o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This point was found to suggest an important direction for future online class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