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과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Reeve, 1846) hemolymph의 생리학적 변화

        민은영,김신후,황인기,김경욱,박보미,이정식,강주찬,Min, Eun-Young,Kim, Shin-Hu,Hwang, In-Ki,Kim, Kyeong-Wook,Park, Bo-Mi,Lee, Jung Sick,Kang, Ju-Chan 한국패류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1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lterations in water temperature (WT) on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factors in the hemolymph of the abalones, Haliotis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The abalone were exposed to various WT; 18, 20, 22, 24, 26 and $28^{\circ}C$ for 96 hours. In biochemical factors, total-protein (TP), glucose, magnesium (Mg),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were not significant changes in hemolymph of H.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But calci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high WT (${\geq}24^{\circ}C$). In immunological factor, The phenoloxidase (PO) activity was decreased in hemolymph of H.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geq}22^{\circ}C$)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Whereas alkaline phosphatase (ALP)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igh temperature adversely affects the immunity of H. gigantea and H. discus discus. 본 연구에서는 수온 증가에 따른 말전복 (Haliotis gigantea) 과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헤모림프의 생리 및 면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 두 전복을 20, 22, 24, 26 및 $28^{\circ}C$ 수온에 각각 4 일간 노출시켰다. 노출 결과, 헤모림프의 totalo-protein (TP), glucose, calcium (Ca) 은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말전복 (H. gigantea) 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magnesium (Mg), alkaline phosphatase (ALP) 두 전복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O에서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이 더 높게 나타났다. 수온 증가에 따른 헤모림프의 TP, glucose, Mg, AST, ALT 및 ALP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헤모림프의 Ca 농도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에서 $24^{\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면역인자인 phenoloxidase (PO) 는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2^{\circ}C$ 이상 말전복 (H. gigantea) 에서는 $26^{\circ}C$ 이상의 수온에서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말전복 (H. gigantea)은 $24^{\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6^{\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보였다. 둥근전복 (H. discus discus)은 $26^{\circ}C$ 이상에서 혈액학적 변화를 보였고, $22^{\circ}C$ 이상에서 면역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수온 상승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과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체액의 생리학적 변화

        민은영,이정식,김재원,전미애,강주찬,Min, Eun-Young,Lee, Jung Sick,Kim, Jae Won,Jeon, Mi Ae,Kang, Ju-Chan 한국패류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31 No.1

        본 연구에서는 수온 증가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과 둥근전복 (H. discus discus) hemolymph의 생리 및 면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위 두 종을 20, 22, 24, 26 및 $28^{\circ}C$ 수온에 각각 4 일간 노출시켰다. 노출 결과, hemolymph의 total-protein (TP), glucose, 칼슘 (Ca) 은 둥근전복이 북방전복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마그네슘 (Mg), alkaline phosphatase (ALP) 및 lysozyme은 두 종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다. 수온 증가에 따른 hemolymph의 TP, glucose 및 마그네슘은 두 전복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칼슘과 면역관련 인자인 ALP 및 lysozyme은 둥근전복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북방전복에서는 $26^{\circ}C$ 또는 $28^{\circ}C$의 고수온에 노출되었을 때, 유의하게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phenoloxidase (PO)는 북방전복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북방전복은 둥근전복과 달리 여러 지표에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된 것으로 보아 북방전복이 둥근전복보다 고수온에 보다 민감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vated water temperature (WT) on biochemical and immunological factors in the hemolymph of the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and H. discus discus. The abalone were exposed to various WT; 20, 22, 24, 26 and $28^{\circ}C$ for 4 days. In the control and $20^{\circ}C$, total-protein (TP), glucose and calcium (Ca) in hemolymph of H. discus discus were higher than the values in H. discus hannai. The values of magnesium (Mg),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ysozyme in H. discus hannai were similar to the H. discus discus in the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alterations in TP, glucose and Mg levels of hemolymph in H. discus hannai and H. discus discus by WT increases. The values of Ca, ALP and lysozyme were increased in H. discus hannai exposed to the high temperature (26 and $28^{\circ}C$) compared to control, while the values in H. discus discu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T groups. The phenoloxidase (PO) activity was increased in hemolymph of H. discus hannai exposed to high temperature (${\geq}24^{\circ}C$) compared to the control (P < 0.05). These 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H. discus hannai. However, these parameters in H. discus discus were barely altered at the high WT (P < 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 discus hannai is considered to be more sensitive than H. discus discus at the high WT.

      • KCI등재후보

        해조류 유래 Fucoidan의 어류용 백신 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민은영,김광일,조미영,정승희,한현자,Min, Eun Young,Kim, Kwang Il,Cho, Mi Young,Jung, Sung-Hee,Han, Hyun-Ja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9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4 No.1

        Fucoidan(후코이단)은 주로 갈조류에서 추출되는 fucose를 함유한 함황 다당류의 일종으로,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 효과와 함께 다양한 경로로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생리 기능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체 백신 분야에서는 fucoidan의 백신 adjuvant(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보조사료로서의 fucoidan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나, 수산용 백신 개발을 위한 adjuvant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동물세포에서 fucoidan의 adjuvant에 대한 긍정적인 검토와 함께 안전성을 증명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fucoidan을 어류 백신용 adjuvant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류에서도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fucoidan의 분자량에 따라 세포 내 흡수율이 각기 다르다는 점과 병원체의 인위감염에 따른 항체 생성을 포함한 어류의 특이면역 반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뒷받침 된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adjuvant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fucoidan이 사람과 동물을 포함하여 어류의 면역자극 즉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수산업 분야에서 fucoidan의 사용과 어류 백신용 adjuvant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Fucoidan is a physiologically functional ingredient extracted from seaweed brown algae, which is a sulfated polysaccharide containing fucose as a main molecule backbone. Fucoidan has a variety of immune-modulating or -stimulating effects, including promoting antigen uptake and enhancing anti-bacterial, anti-viral and anti-tumor effects. In addition,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e of fucoidan as a vaccine adjuvant in the field of human vaccine. Use of fucoidan as supplementary feeds have already been studied, but the development of fucoidan as an adjuvant of fish vaccine is still premature. However, the intracellular uptake of fucoidan differs depending on the molecular weight of fucoidan, and there is a limit to the study on specific immune response including the production of antibodies to fish caused by an artificial infection of pathogen. Although the safety of fucoidan has been demonstrated in animal cells, there is a need to confirm the safety of fucoidan in fish. Therefore, active research in this field is needed to use fucoidan as a vaccine adjuvant.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s of fucoidan on immune stimulation, humoraland cellular- immunity including humans and animals. The prospect of fucoidan as a vaccine adjuvant in fisheries also reviewed.

      • KCI등재

        교원임용 시험을 준비하는 중등학교 기간제 교사들의 교직생활과 삶에 관한 질적 연구

        민은영(Eun-Young Min),장유진(Yoojin J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교원임용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기간제 교사들의 교직생활과 삶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0명의 기간제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고,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경제적 필요를 충족시키고 자신의 꿈인 교사생활의 기쁨과 보람을 맛보며, 임용 시험에 실질적인 도움을 얻고자 기간제 교사직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교사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학교 관리자로부터의 차별 대우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이로 인한 자존감의 저하와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차별이 오히려 임용 시험 준비에 대한 강한 의지로 전환되어 참여자들은 안정되고 당당한 교사 신분을 얻기 위해 임용시험준비에 전념하고 있다고 진술하였다. 하지만, 시험준비 과정에서 부족한 공부시간, 끝없는 공부양, 다양한 삶의 역할 수행, 체력 저하, 난해한 시험 유형, 이전 실패경험에서 오는 불안감 등으로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d the lives of non-tenure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s" exam. Semi-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teach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chosen a contract-based teaching position, believing that it would meet their financial needs, provide them with the satisfaction of being a teacher and, more importantly, afford practical help with their exam preparation. In practice, however, they suffered from low self-esteem and identity confusion due to discrimination by the school administrators. Ironically, this unfair treatment strengthened the participants" commitment to studying for the exam, in order to acquire a stable and secure position in school. However, they experienced a lot of study-related stress, including a lack of study hours, heavy study load, multiple life roles, physical exhaustion,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vague exam guide, and anxiety due to previous failure in the exam.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Arsenic에 노출된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항산화 효소반응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민은영 ( Eun Young Min ),정지원 ( Ji Won Jeong ),강주찬 ( Ju Chan Kang ) 한국어병학회 2014 한국어병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수온변화에 따른 비소 (As) 노출의 영향을 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간과 아가미에서 항산화 방어기작 (antioxidant defense system)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틸라피아를 수온이 각각, 20, 25 및 30℃ 일때, 비소 농도 0, 200및 400 μg/L에서 10일간 노출시킨 후, glutathione GSH) levels, glutathione reductase (GR),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S-treansferase (GST)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비소 노출 이후, 틸라피아의 간과 아가미에서 이들 항산화 효소는 수온 변화에 따라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특히, 다른 온도구간에 비하여 수온이 30℃ 일 때, 비소에 노출된 틸라피아의 간에서 이들 효소의 변동폭은 가장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본 연구는 틸라피아의 간과 아가미에서 GSH 및 항산화 효소인 GR, GPx 및 GST에 미치는 비소의 영향은 수온상승이 동반되었을 때, 어류의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기작의 감소를 촉진시켰음을 보여준다. The effects of waterborne arsenic (As) exposure on antioxidant defense were studied in liver and gills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under thermal stress. Tilapia were exposed to different As concentrations (0, 200 and 400 μg/L) at three water-temperatures (WT; 20, 25 and 30℃) for 10 days. In antioxidant response, glutathione (GSH) levels, glutathione reductase (GR),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S-treansferase (GS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epend on WT in the gills after As exposure. Also, the range of fluctuation in these enzymes activities was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at 30℃ in the liver of tilapia exposed to A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a simultaneous stress by temperature change and As exposure could accelerate the alteration in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of tilapia.

      • KCI등재

        유산균 배양액 첨가 사료에 의한 숭어, Mugil cephalus의 성장, 혈액 및 비특이적 면역학적 반응 효과

        민은영 ( Eun Young Min ),김용석 ( Young Sug Kim ),강주찬 ( Ju Chan Kang ) 한국어병학회 2010 한국어병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supplementation on growth, hematological and immune responses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Three replicate groups of grey mullet (body length, 62.8±1.04 ㎜; body weight, 3.2±0.13 ㎎)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with 0 (control), 1, 2.5 and 5,0 % of LAB for 3 months. Total body length growth rate was increased in 2.5 % supplementation group compared to control (P<0.05).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ematological parameters (hematocrit, hemoglobin, RBCs) and serum chemistry (calcium, magnesium, total protein, glucose, GOT and GP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y mullet fed the 5.0 % LAB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P<0.05). Both intracellular superoxide anion production and lysozyme activity of kidney were higher in the 2.5 % LAB diet than in the control (P<0.05).

      • KCI등재

        국내 어류에서 분리된 Megalocytivirus의 유전형 분류 및 상관관계 분석

        이은선 ( Eun Sun Lee ),조미영 ( Miyoung Cho ),민은영 ( Eun Young Min ),정승희 ( Sung Hee Jung ),김광일 ( Kwang Il Kim ) 한국어병학회 2019 한국어병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2012년부터 2018년 1월까지 국내어류에서 참돔이리도바이러스병 (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RSIVD) 으로 확정 진단된 주요분리주에 대하여 major capsid protein (MCP)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Megalocytivirus의 유전적 관계를 명확히 했다. 또한, Megalocytivirus와 숙주 세포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이 유전자 2종,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및 Histidine triad motif인 HIT-like 단백질 (HIT)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유전적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국내 어류에서 분리된 39개의 megalocytiviruses는 2가지 유전형인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형과 turbot reddish body iridovirus(TRBIV)형으로 분류되었으며, RSIV형의 megalocytiviruses는 다시 유전아형인 RSIV-subgroup 1형과 2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VEGF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서는 RSIV형의 바이러스에서 변이가 발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IT-like 단백질 유전자는 RSIV형의 Megalocytivirus에서만 발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collected 39 megalocytiviruses isolated from diseased fish in Korea from 2012 to 2018. Major capsid protein (MCP) gene, a part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gene and histidine triad motif-like protein (HIT) genes of Megalocytivirus were targeted for PCR amplification and analysis of those DNA nucleotide sequences. Korean strains revealed two genotypes (red sea bream iridovirus and turbot reddish body iridovirus types) based on the phylogeny of MCP gene. The red sea bream iridovirus type (RSIV-type) megalocytiviruses were divided into RSIV­subgroup 1 and 2. From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VEGF genes, a genotypic variant of RSIV-type Megalocytivirus was identified. The HIT-like protein gene was detected in RSIVs, but not in TBRIV and ISKNV, suggesting that HIT-like protein gene may be specific in RSIV.

      • KCI등재

        HCB 와 PCBs 에 노출된 나일틸라피아 , Oreochromis niloticus 의 혈액성분의 변화

        조규석(Kyu Seok Cho),민은영(Eun Young Min),강주찬(Ju Chan Kang)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2

        유용 양식어류인 틸라피아률 대상으로 어체중당 1일 0.05, 0.25및 0.50㎎/㎏의 HCB와 PCBs의 경 구투여에 의해 30일 동안 혈액성상 및 혈액화학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HCB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는 20일 이후 0.50㎎/㎏, 30일째는 0.25㎎/㎏의 농도, hemoglobin 농도와 hematocrit값은 20일 이후 0.50㎎/㎏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PCBs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 hemoglobin 농도 및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25㎎/㎏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혈청 무기성분인 calcium, magnesium 및 inorganic phosphorus 농도는 HCB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PCBs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도 magnesium과 inorganic phosphorus 농도의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농도는 20일 이후 0.50㎎/㎏ 농도, 30일째는 0.25㎎/㎏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HCB의 경구투여에 의한 혈청 total protein 농도는 30일째 0.50㎎/㎏ 농도에서,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해서는 20일 이후 0.25 ㎎/㎏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glucose 농도는 20일 이후 0.25㎎/㎏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HCB 및 PCBs의 경구 투여에 의한 GOT와 GPT 활성은 20일 이후의 0.50㎎/㎏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혈액화학적 변동은 0.25㎎/㎏ 농도 이상에서 적어도 20일 후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haematological constituents induced by dietary exposure of Hexachlorobenzene (HCB)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n nile tilapia, Oreochhromis niloticus. The nile tilapia were fed pellet with 0.05, 0.25 and 0.50 ㎎/㎏ body weight/day of HCB and PCBs for 30 days, respectively. HCB (≥0.25 ㎎/㎏) induced 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d blood cell count at 30 days, and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and hematocrit val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0 days to 0.50 ㎎/㎏. The diminution of red blood cell count, hemoglobin concentration and hamatocrit value by PCBs was found after 20 days at ≥0.25 ㎎/㎏. The concentrations of calcium decreased significantly at 30 days at ≥0.25 ㎎/㎏ of PCBs-diet. However, magnesium and inorganic phosphorus did not show any noticeable changes in the range of 0.05∼0.50 ㎎/㎏ of HCB and PCBs compared to control group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low concentration of total protein was observed at the last day of experiment to 0.50 ㎎/㎏ of HCB-diet, while total protein initiated to increase from 20 days at the 0.25 ㎎/㎏ of PCBs-diet. The gluco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0 days at ≥0.25 ㎎/㎏ of HCB and PCBs. A significant increment GOT and GPT activities was noticed after 20 days at 0.50 ㎎/㎏ of HCB and PCB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changes in the nile tilapia by dietary exposure to HCB and PCBs are affected at more than 0.25 ㎎/㎏ after 20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