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협동과 집단적 효능감 및 성과기대의 차이

        민윤기,문은식,한건환,박명실 한국자료분석학회 200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9 No.1

        Although cooperation has been considered in varied ways in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many problems undermining collaboration involve worker interaction patterns and trust issues. To understand these issues empirically, this study examined one well-researched factor, group interdependence structure, and another one less-attended factor, trust. The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university students' cooperation,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as a function of differential interdependence structures and trust level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interdependency: positive and negative) 2(trust: high and low) factorial design. Four simulated scenarios(work group conditions) were generated to reflect each group characteristic in terms of interdependency and trust. The research sample of 186 undergraduate students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simulation cooperative learning group conditions. Subjects described the actual group situation similar to the assigned scenario. They then responded to a measure of cooperation, collectiv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trust variable of cooperative learning significantly affected university students' collectiv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is study suggest that instructors can proactively adopt the cooperative work(or team) performance system by promoting trust among students, instead of the traditional competitive grading system, and trust is a collective construct such that the development of a collective agency within a work group depends on the cognitively shared form of trust.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라 대학생의 협동, 집단적 효능감, 그리고 집단적 성과기대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186명이었고, 설문지(협동, 집단적 효능감, 집단적 성과 기대 척도 포함)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원변량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은 협동학습의 상호의존성 구조와 신뢰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적 효능감은 협동학습의 신뢰 수준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적 성과기대도 신뢰 수준에서만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학습에서 신뢰 조건이 대학생의 집단적 효능감과 성과 기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효능감과 성과기대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 과정에서 구성원들 간에 신뢰를 형성시킬 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공법에 대한 연구동향

        민윤기,유승규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89 전산구조공학 Vol.2 No.3

        본 고에서는 선진 각국의 해체공법에 대한 연구동향을 고찰하기 위한 일환으로 1988.11.7-11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콘크리트와 조적조의 해체 또는 폐재의 재이용에 관한 제2회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논문을 기초로 해체공법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피고자 한다. 해체공법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을 주제별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Effects of Stimulus-Response Modality Compatibility on the Stroop Effect

        민윤기,김진호,김보성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3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translation model (TM) which places emphasis on the modalities of stimuli and responses would be a valid model to explain the Stroop effect. In experiment 1, the Stroop effect was examined by using manual- and verbal-response Stroop tasks, respectively. In experiment 2, similar to the task used by Durgin (2003), target stimuli, distracters as well as response patches were displayed on the same screen and the Stroop effect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mental modality representation of the responses verbally or nonverbally.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here response modalities were physically classified,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oop effect due to the different response modalities, while experiment 2 showed an asymmetrical Stroop effect due to the response modalities. These results supported the prediction by the TM that a distracter stimulus does not cast an interference effect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target stimuli and responses are compatible in modality. Therefore, the findings offer evidence that the TM can be considered as a valid model for explaining the Stroop effect.

      • KCI등재

        시각자극의 제시시간, 청각자극의 제시유무 및 두 자극 간 시간간격이 대각형태의 착각적 움직임 지각에 미치는 영향

        민윤기,김현우,김보성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esentation time of visual stimuli, presence of auditory stimuli, and the inter-stimulus interval (ISI) on the diagonal apparent motion perception. To investigate motion perception shift, the visual stimuli presentation time and ISI conditions were manipulated. In addition, to understand motion perception for single modality and multiple modalities respectively, auditory stimuli were presented along with visual apparent motion stimuli. As a result, the multiple modality condition showed extensive range of motion perception compared to the singular modality condition.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a phenomenon referred to as ‘perceptual grouping’, which is when both the auditory stimulus presented between the visual stimuli are perceived as a single perceptual unit. Meanwhile, taking visual stimuli presentation time and the ISI combination into account, movement was perceived when the two conditions' combination was under 250m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change of perception for diagonal apparent motion was explored regarding systematic stimuli combination with the motion perception shifts compared between modalities. 본 연구는 대각형태의 착각적 움직임이 지각되는 자극을 사용하여 시각자극의 제시시간, 청각자극의 제시유무 및 두 자극 간 시간간격(inter stimulus interval; ISI)이 이러한 움직임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 2에서 시각자극의 제시시간과 ISI 조건을 변화시켰다. 또한 단일 양상(청각자극 미제시 조건)의 움직임 지각과 다중 양상(청각자극 제시조건)의 움직임 지각을 살펴보기 위해 시각자극과 함께 청각자극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단일 양상조건보다 다중 양상조건이 움직임 지각 반응의 시간적 범위가 확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 가현운동 자극 사이에 제시되는 청각자극이 시각자극과 함께 하나의 지각적 단위로 지각되는 현상인 ‘지각적 집단화’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시각자극 제시시간과 ISI의 조합을 통해 살펴본 결과에서 두 조건의 조합이 250ms 이하일 때 자극이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되었다. 이는 대각형태의 움직임 지각에 있어 감각양상에 의한 비교와 체계적인 자극의 조합을 통하여 움직임 지각의 변화를 탐색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작업기억의 연령차와 상태불안 및 인지간섭의 조절효과

        민윤기,김초복,정종욱 한국자료분석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age-related difference(11 and 15-year-old groups) of working memory using the tasks to measure the capacities of visual working memory, and spatial working memory and central executive as its subsystem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xiety and cognitive interference on working mem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apacities of spatial working memory and central executive were higher in 15-year-old group than in 11-year-old group.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visual working memor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visual working memory could develop earlier than spatial working memory and central executive. Cognitive interference decreased performances in visual working memory and central executive tasks. This result supported several prior studies, showing that cognitive interference impaired the capacity of working memory task. 본 연구는 작업기억의 하위체계인 시각작업기억, 공간작업기억 그리고 중앙집행부의 용량을 측정하는 과제를 사용하여 작업기억에서의 연령차(11세, 15세)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불안과 인지간섭이 작업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공간작업기억과 중앙집행부의 용량은 15세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지만, 시각작업기억 용량에서의 연령차는 없었다. 인지간섭은 시각작업기억과 중앙집행부 과제의 수행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작업기억이 공간작업기억과 중앙집행부보다 더 이른 시기에 발달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인지간섭이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을 감소시킨다는 선행 연구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주요용어 : 작업기억, 작업기억 발달, 불안, 인지간섭.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