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터널 조명배열 유형과 운전자 주행행동 및 인식 간의 관계 분석

        신소현(Shin, So Hyeon),민아람(Min, Ara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3

        최근 터널의 증가와 터널의 장대화로 터널 내 사고율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터널의 폐쇄적이고 협소한 공간은 운전자들의 심리를 자극한다. 이에 따라 국내외 각종 터널 관련 문헌 조사 및 분석, 국내외 터널 조명 관련 분석 등을 바탕으로 1km 이상 터널을 외‧내부 디자인 요소별로 정량화하며 사고데이터와 관계를 분석한다. 데이터 기반 사전연구를 통해 터널의 어떤 디자인 요소가 사고량과 가장 연관성이 있는지 규명하고 이후 관련 요인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2차 실험을 진행하여 정확하게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다중회귀분석으로 이행된 데이터 기반 사전연구에 의하면 터널의 넓이, 차선 수, 터널 곡선의 유무, 그리고 출구부 조명의 여부가 사고량과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 외 조명 색의 다양성과 조명의 개수 및 위치가 미미한 관계를 보였는데, 이에 대한 심층적 요인 파악을 위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총 18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몰입감 있는 운전 주행 시뮬레이션을 위해 게임 엔진인 Unity를 활용하여 실제 터널 모양과 유사하게 모델링 하였으며 현실감을 위해 Racing Wheel을 활용하였다. 각 참여자는 총 6가지의 터널 시나리오 중 하나의 시나리오를 배정받아 주행하였으며 각 시나리오는 3개의 터널에 3개의 충돌지점이 포함되어 설계되었다. 터널 주행 후에는 인터뷰를 진행하여 운전자들의 실제 도로 또는 터널 운전 경험에서 나오는 감정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 결과 터널 내에서의 조명개수 및 위치는 운전자 주행 행동 및 심리‧인지적 측면과 다소 복잡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명배치가 1배열일 때 집중도가 높아졌다는 인터뷰 결과와 상반되는 2배열일때 충돌률이 줄어드는 수치적 결과는 오히려 조명 디자인이 너무 한곳에 집중되어 있으면 시각적 장애물 역할을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으며, 조명이 전체적으로 너무 과할 경우, 눈에 피로도 또한 운전 주행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명 디자인의 다양한 유형(색상, 배치 간격, 형태 등)에 관한 심층적 연구의 확장이 필요함을 강조할 수 있었다. Recentl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unnels and their elongation have raised the risk of accident rates in tunnels. The closed and narrow characteristics of the tunnels inevitably affect the psychology and the cognition of the drivers. In this research, we quantify tunnels over 1km by design elements, and the relationship with real-world accident data is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tunnel’s width, number of lanes, presence of a curve, and presence of lighting in the tunnel’s end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accident data. Meanwhile, the number of lighting colors and lighting array types had a minimal relationship. To investigate the regression results more in-depth, we conducted experiments that simulate the driving situations with diverse lighting array counts and sides at curved parts of the tunnels. For the experiment, we designed six different scenarios, each with three different tunnels with three different crash points. There were 18 participants, and each was given one scenario to drive using a racing wheel for the sense of reality. After the simulation experiment, we interviewed the subjects to identify the drivers attitudes toward the actual road and tunnel driving experiences. From the interviews,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nnel lighting designs and driving behaviors and cognition of the drivers is, in fact, complex. For instance, while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felt more focused when there was a single array of lighting, the actual crash rate was substantially lower when there was a double line of light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needs further research with various lighting designs such as the color, spacing, and shape.

      • KCI등재

        2007년 이후 국내 논문 결과에 근거한 수학적 모델링 탐색

        황혜정 ( Hwang Hye Jeang ),민아람 ( Min Ara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논문집 Vol.32 No.2

        2007년에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주제로 국내 학회지에 실린 총 11편의 선행 연구 및 22편의 석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를 탐색하였는데(황혜정, 2007), 이와 동일한 취지와 목적으로 2007년 이후 수학적 모델링에 관하여 전반적인 사항을 검토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주제를 다루는 논문은 총 24편으로, 여기에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수학교육’과 ‘수학교육 논문집’, 대한수학교육학외의 ‘수학교육학연구’와 ‘학교수학’, 그리고 한국학교수학회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논문이 해당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총 24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적 모델링의 의미, 수학적 모델링의 문제의 특징과 유형, 수학적 모델링에서의 모델의 의미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재정리해 보고자 한다. 다만, 2007년 연구에서는 22편의 석사학위논문을 부가적으로 참조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학회지의 것과 상이하게 다른 점을 비교하였는데, 금 번에는 학회지 논문만도 총 24편에 달하므로 이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선행 연구자들간의 다소 다른 견해나 강조점들에 관한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모델링과 관련된 몇몇 국외 문헌들을 참조하고자 한다. Problem solving and its mathematical applications have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school mathematics over the past years. Recently it is recommended that mathematical applications and modelling situations be incorporated into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any researchers on the approach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This study is planning to investigate and establish the meaning of mathematical modelling and model, mathematical modelling process. And also it does the properties of problem situations introduced and dealt with in mathematical modelling activity.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ose 24 articles. They are on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2007 to 2017 and are included in the five types of publication. Prior to this study, the previous study was conduct in 2007 with the same purpose. Namely, by the subject of 11 articles and 22 master dissertations published domestically from 1991 to 2005, the analytic and explorative study on the mathematical modelling and its understanding had been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