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에 관한 연구: Chatman의 정보빈곤이론을 기반으로

        민수진,이용정,Min, Soo Jin,Yi, Yong Jeong 한국정보관리학회 2022 정보관리학회지 Vol.39 No.3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ormation poverty on North Korean refugees' social adaptation to South Korea based on Chatman's Theory of Information Poverty (1996). Based on the Theory of Information Poverty, information poverty consists of four variables: Secrecy, Deception, Risk-taking, and information acceptance in response to situational relevance. An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daptation to South Korean life is divided into social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From August 4 to August 30, 2021, after approval by the IRB through the North Korean refugee support organization <Urion>, surveys were conducted with North Korean refugees who had lived in South Korea for at least one year and were aged 19 or older. The 100 collected vali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information pover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North Korean refugees' soci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particular, the "deception" variable had negative effects on soci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that it explains North Korean refugees' adaptation to South Korea based on Theory of Information Poverty by defining them as information poor. Above all, it attempts a quantitative approach through operationalization of key concept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were conducted with qualitative approaches.

      • KCI등재

        선거가 기능별 세출예산 구성에 미치는 영향: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민수진 한국지방재정학회 2023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8 No.3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기초자치단체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가 기능별 세출예산 항목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지방선거 전에는 사회복지와 보건 항목의 세출예산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국회의원선거 전에는 지역개발 항목의 세출예산 규모가 증가하였다. 이는 정치적 위치에 따라 부여된 의정활동 범위에서 능력을 평가받는 성격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을 의미한다. 더불어, 지방선거와 국회의원선거 전 세출예산의 항목 간 대체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초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들이 유권자가 각자에게 기대되는 의정활동에 부합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선택적인 선거 전략을 구사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local and legislative elections on public spending allocation. Using a panel of South Korean municipalities, I find that the local election and legislative election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budget composition of local government. Local elections tend to increase spending on social welfare and sanitation. On the contrary, legislative elections shift resources toward regional development and away from other spending items such as welfare and transport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local administrators and legislators focused on different budget items before elections because voters evaluate the competence of local administrators and legislators based on different policies.

      • KCI등재

        ARCS 동기모델 적용 수업이 초등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민수진,박현숙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ARCS model applied math class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The participants were 206 underachievers in total(103 each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anging from 4th to 6th grade, in 24 elementary schools in Seoul(12 schools in experimental group, 12 schools in control group) and 24 teachers instructing the students in their own school. The experiment was intervention of 38 lessons(3 classes per a week) for 14 weeks in after-school classe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ANCOVA were used. The research procedure was as follows: planning and developing lesson pla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ARCS model in the math course,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the review committee meeting, teacher training, pre-test, intervention committee meeting, intervention and fidelity evaluation, additional teacher training sessions, and post-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ARCS applied classes) received significantly higher math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raditional classes). Also, th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xamined to identify distinguished features according to grades and group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obtain information suggesting what kind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methods are needed to meet individual students’ needs relating to underachievement.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about instructional designs enhancing the math achievement of students at-risk for LD and underachiev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24개 초등학교 4-6학년 초등 학습부진 학생 206명(실험-통제집단 각 12개교 103명)과 전담강사 24명을 대상으로, ARCS 동기모델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방과후 수업에서 총 16주, 주 3회, 38차시 중재로 이루어졌다.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고 자료는 공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ARCS 수업 지도안 개발, 내용타당도 검증, 협의회, 교사 연수, 사전검사, 중재 협의회, 중재 및 충실도 평가, 사후검사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수학 학업성취에 있어서 ARCS 동기모델 적용 수업을 들었던 4-6학년 실험집단이 전통적 방식으로 학습한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학 점수를 보였다. 또한 학년 및 실험·통제 집단별로 기술통계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을 검토한 결과, 이들의 학업성취 요구를 지원하는 차별적인 교수법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학습장애 위험군 및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에 필요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설계 적용 가능성 고찰: ARCS 동기모델을 중심으로

        민수진,박현숙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3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have experienced continuous motivational problems and learning difficulties. Nevertheless, the instructional approach for them has mainly focused on instructional design, not motivational design. Especially, many studies have interested in a specific motivational problem and a specific effective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Keller's ARCS motivational model to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students with LD, in relation to four motivation categorie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d concepts, constructs, and working processes of the ARCS model, and discussed how the ARCS model is connected with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D.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 ARCS model and IEP process, and suggested one example in practice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ARCS motivational design. Finall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an application of the ARCS model to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students with LD. 학습장애 아동들은 지속적인 동기문제와 학업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접근은 주로 교수설계에 초점을 두었고, 이들의 동기설계는 간과하여 왔다. 특히 많은 연구들은 학습장애 아동의 특정한 동기문제와 그에 효과적인 특정 중재 제공에 관심을 두었다. 이러한 한계점으로부터 본고에서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수설계에서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이라는 4개의 동기요소들을 균형 있게 통합한 Keller의 ‘ARCS 동기모델’ 적용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ARCS 동기모델의 개념, 구성요소 및 실행절차를 살펴보고, ARCS 동기모델이 학습장애 학생의 동기적 특성과 학업적 요구에 어떻게 부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ARCS 모델 적용의 한 실례로서, 12개 하위영역의 동기유발 전략들과 실행 10단계를 사용하여 학습장애 학생의 교수설계에 적용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수업설계와 관련하여 ARCS 동기모델 적용상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민수진,최웅재,김성훈 한국학교체육학회 2003 한국학교 체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개인적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을 살펴봄으로써 성장기의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02년 현재 서울지역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으로 하였고, 층화표본추출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서울을 강남과 강북으로 분류한 후 서울시 교육청에 등록된 학교에 난수표를 부여한 후, 각각 1개교씩 2개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학교에서 교사의 양해를 얻어 250명씩 총 500명을 표집하였다. 연구대상 50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53부를 제외한 447부가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 박아청(1996)이 제작한 한국형 자아정체성 검사 중 '정체감 유예'와 '정체감 혼미'를 제외한 '주체성',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 '친밀성'의 6개 영역을 각 8문항씩 총48문항으로 재구성한 류청렬(1999)의 검사지를 수정·보안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분석방법은 SPSS 10.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Reliab Analysis), T-검증(T-Test), 교차 분석(Crosstabs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요인 분석(factor Analysis)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개인적 특성의 변인으로 성별, 학년, 학업성적, 경제수준에 따라 자아정체감에서 성별은 '친밀성' 요인에 있어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은 '주도성', '목표지향성'. '자기수용성', '천밀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적은 학업성적이 높으면 전체 자아정체감이 높았으며, '친밀감',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주체성'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경제수준은 '주체성'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basic materials helpful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ir middle school days and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fy in a period of grow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what effect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had o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ticipation in self-identity.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as of 2002. For this purpose, 500 students were sampled using the duster random sampling method. 447 questionnaires returned from them were used as data for analysis of this study. Such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a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rosstabs analysis, one-way ANOVA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using the SFSS 10.0 version program.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self-identity according to such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as sex, school year, school records and economic level. Middle school girls showed the higher level of intimacy than the schoolboys in terms of sex. Self-identity was shown to be higher in the ascending order of 'initiative', 'goal orientedness 'self-acceptance and 'intimacy' in terms of school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etter school records, showed the high overall self-identity, which was shown to be higher in the ascending order of 'intimacy', 'self-acceptance', 'future assurance', 'subjectivity'. They showed the high level of 'subjectivity' in terms of economic level.

      •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이용한 챗봇(chatbot)의 수용 결정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민수진,김헌진,송근혜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5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하면서 챗봇이 글로벌 IT기업들에게 새로운 IoT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챗봇이란 대화형 인터페이스 상에서 규칙 또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사용자와 상호작용(interaction)을 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챗봇은 현재 간단한 정보검색 및 가상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이지만, 향후 IoT와 O2O 영역의 핵심적인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챗봇은 스마트폰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빠르게 확산되어 핵심 플랫폼의 지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챗봇 사용자의 수용행태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이론(TAM)보다 수용의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다고 검증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을 적용하여 챗봇의 사용자 수용행동에 관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용의도의 결정요인인 성과기대, 예상노력, 사회적영향, 촉진조건이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용의도 결정요인과 수용의도 간의 관계를 성별, 연령, 개인혁신성이 조절할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챗봇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과 조절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여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분석

        민수진,박현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가족간 협력을 강조하는 추세에 맞추어 특수교사와 학부모들이 협력의 필요성과 실행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문헌연구와 요인분석을 토대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학교-가족간 협력에 관한 인식 척도(3 요인: 자기효능감/성실, 기술/문제해결, 존중/동등성)를 개발하여, 서울시의 10개 국공립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223명과 학부모 27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협력 필요성에서는 요인 3(존중/동등성), 협력 실행에서는 요인 2(기술/문제해결)에서 교사 집단의 인식이 학부모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두 집단은 각각 세 요인 모두에서 협력 실행이 필요성에 유의하게 미치지 못하였고, 요인 2에서는 학부모 집단의 협력 필요성-실행간 격차가, 요인 3에서는 교사 집단의 협력 필요성-실행간 격차가 상대 집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교사 집단은 학부모 집단과는 달리 협력 필요성과 협력 실행에 대해 변인별(학교 유형, 소속 학년, 장애 정도, 교육 경력)로 차이를 보였다. 협력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욕구를 바탕으로, 향후 이에 맞는 협력 프로그램 모색을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special teachers and parents in terms of the necessity and the practice of collaboration. For this purpose, a special teacher-parent collaboration scale with 3 factors (self-efficacy/commitment, skill/problem solving, & respect/equality)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actor analysi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23 teachers and 271 parents in 10 national or public special schools in Seoul. The study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teacher group perceiv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arent group on factor 3 (respect/equality) in collaboration necessity, and on factor 2 (skill/problem solving) in collaboration practice; (2) Both groups' perceptions in collaboration practi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collaboration necessity on all three factors, and in the discrepancy between collaboration necessity and collaboration practice, the par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more discrepancy than the teacher group on factor 2, while the teacher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more discrepancy than the parent group on factor 3; (3) The parent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s, whereas the teach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type, severity of the disability, teaching career, or grade in charge. Discussion was made regarding suggestions to explore a collaboration program fitted to the needs of teachers and parents.

      • KCI등재

        Evaluation on bioaccessibility of arsenic in the arsenic-contaminated soil

        민수진,김혜빈,김선희,백기태 한국화학공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6 No.11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regulates the soil quality based on the pseudo-total content of metals extracted by aqua-regia, and the concentration of metals has been used in the risk assessment of the contaminated site. The pseudo-total content of metals can be accepted conservatively as a potentially risky concentration of metals in the soil. However, only some portion of metals in the soil are absorbed by plants, animals, and human beings, and the pseudo-total content used in the risk assessment tend to overestimate the risk of metal contamination. Therefore, the pseudo-total content does not reflect the real risk of the contamination. Bioavailability and bioaccessibility can be alternatives for the pseudo-total content to estimate the reasonable risk. Bioaccessible concentration can be analyzed as invitro by the amounts of metals extracted in the gastrointestinal situation, and the bioaccessible concentration is the maximum amount of metals to be absorbed. The bioaccessible concentration of As was evaluated, compared with the pseudo-total concentration of A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A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was analyzed. The bioaccessible concentration can be estimated by the labile fractions of As, and Si, Al, and Mn content decrease the bioaccessible concentration of 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