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융그룹 통합감독 입법화에 대한 비판적 연구: 글로벌 스탠더드의 관점에서

        민세진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9 延世經濟硏究 Vol.26 No.2

        The bill on supervision of financial conglomerates is under review in the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checks the facts about IMF’s suggestion to Korea from the Financial Sector Assessment Program, and searches the regulatory cases of Australia and Germany. It turns out that the current level of Korean regulation on supervision of financial conglomerates, including the solvency calculation regarding non-financial subsidiaries, is not particularly low. Since it is important to properly supervise the financial conglomerates, evidenced from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t may be beneficial to use Financial Holding Company Act to supervise the financial conglomerates, following IMF’s suggestion. ‘금융그룹의 감독에 관한 법률안’이 제정 추진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그룹 통합감독이 IMF의 권고사항이라는 점에 대해 사실을 파악하고, 감독당국에서 주시하는 호주와 독일의 규제 사례를 자세히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복합금융그룹에 대한 감독은 특별히 뒤처지거나 떨어지지않으며, 특히 비금융회사에 대한 지급여력 계산에의 반영 부분은 글로벌스탠더드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금융그룹 통합감독의 문제의식은 금융지주회사법에 의해 감독받는 지주회사 형태가 아닌 금융그룹은 금융 감독 당국에 명시적 감독 근거가 제한적이라는 점에 있는데 이에 대해 IMF는 금융지주회사법을 이용한 그룹 감독을 언급한 바 있다. 비규제 기관을 포함한이업종 금융그룹을 효과적으로 감독하는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반증된것처럼 중요한 과제인 만큼 선진사례를 신중히 고찰하여 제대로 도입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펀드 이용료 배분 결정 요인

        민세진,이경원 한국은행 2010 經濟分析 Vol.16 No.1

        펀드 가입자가 지불하는 펀드 이용료는 판매사와 자산운용사에 각각 배분된다. 본 논문은 판매사와 운용사에 배분되는 몫이 각각의 협상력(bargaining power)에 의해 결정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보이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매사의 협상력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얻은 주요 결과들은 (i) 증권사에 비해 큰 규모의 가입자 접점 네트워크를 보유한 은행이 판매사로서 압도적인 협상력을 행사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 (ii) 배타적 거래는 판매사의 협상력을 증가시키는 방편이 된다는 것 등이다. The fees that the investors pay are shared between managing companies and selling channels. In Korea, a share for the latter is in general larger than that for the former. This article shows that this stylized fact can depends on their bargaining powers, and empirically points out the factors generating the current fact. The article finds that exclusive dealing is used for the selling channel to make its share larger. More interestingly, contrary to common conjecture, it argues that even with bigger networks, banks cannot have larger share than securities companies.

      • KCI등재

        Insider Trading Sanctions in the 1980s in the US: An Economic Perspective of Facts and Background

        민세진 한국생산성학회 2009 생산성연구 Vol.23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insider trading sanctions in the 1980s in terms of their interrelationship with mergers and acquisitions (M&A) and budget restraint of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A party against insider trading, including the SEC, argues that insider trading erodes public confidence in capital market, and eventually raises firms’ cost of capital, pressing corporate efficiency down. In this case, active insider trading is detrimental not only to industrial productivity, but also to public interest in general. The other party sympathetic to insider trading maintains that insider trading is an inexpensive way of compensating insiders for their managerial and supervising efforts. If this argument is true, banning insider trading requires a better method to circumvent general principal-agent problem, aligning insiders’ interest with shareholders’ hope that insiders’ efforts are focused on corporat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with higher share values. Insider trading sanctions, both case laws and statutory sanctions, were substantially reinforced in the 1980s. The SEC pursued insider trading not only because insider trading potential was larger due to the M&A boom, but also because they needed an easy-to-publicize issue to alleviate budgetary pressure on them.

      • KCI등재
      • KCI등재

        경제 활동 개념에 대한 고찰-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와 대학 교재 비교를 중심으로

        민세진 한국경제교육학회 2020 경제교육연구 Vol.27 No.2

        Most of the highschool economics textbooks see the economic life as the combination of the economic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Most of the college level economics textbooks, however, hardly explain economic activities systematically as the highschool textbooks do. The economic activities usually appear in the college textbooks either as the activities of the economic agents, households and firms, or as related with the fundamental economic questions: what, how, and for whom. Among the economic activities, ‘distribution’ is most problematic because there is no clear subject who is in charge of distribution, and, as the result, the activities of household and firms are not well matched with the highschool textbook economic activities. Moreover, in the fundamental questions, distribution is more rule to handle the equity issue than activity whi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can be understood as activities to tackl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Considering the problems of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t might be better to drop the current way of defining the economic activities in the highschool textbooks and leave the part of the economic agents and the fundamental questions to deal with the concepts of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현재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의 대부분은 교육과정상 중요 개념인 경제생활을 생산, 분배, 소비 등의 경제 활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생산, 분배, 소비의 개념은 가계나 기업 같은 경제 주체의 활동으로 완결성 있게 짝 지워지지 않고 특히 분배는 그 주체가 모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본적인 경제 문제와 연관하여 이해할 경우 생산과 소비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 차원의 활동으로 볼 수 있으나 분배는 생산의 결실을 어떻게 나누는지의 규칙이나 방식에 관한 것으로 활동으로 보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경제 활동의 개념이 대학 수준의 경제학 전공 교재 설명과 괴리가 있는 것으로도 나타난다. 경제 활동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된 전공 교재 설명은 경제 주체의 활동과 경제 문제에 대한 것이다. 경제 주체의 활동에 대해 대부분의 전공 교재는 경제순환모형을 통해, 경제 문제에 대해서는 경제 체제와 연관지어 주요 경제 문제를 접근하는 답으로서 경제 체제를 구분한다. 고등학교 교과서들에서 경제 주체의 활동과 경제순환모형 상의 역할, 기본적인 경제 문제와 생산, 소비, 분배에 대한 결정의 중요성 등을 설명하는 방식은 이미 대학 전공 교재와 정합성이 매우 높다. 다만 분배 활동 정의의 문제점과 경제 주체 활동과의 정합성, 경제 체제 설명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생산 활동과 소비 활동은 기업과 가계의 경제 활동 및 그 관련성에서 다루고, 분배의 의미는 기본적 경제 문제와 경제 체제에 대한 설명에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내부자거래와 시장 효율성에 관한 실증연구 - 미국의 1980년대 경험을 중심으로 -

        민세진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4

        Corporate insiders have long been regulated explicitly since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of 1934 in the US. In the 1980s, insider trading received increased attention mainly because of active M&A activities, and the SEC(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leveled up their interest in insider trading, which resulted in more insider trading cases and reinforced statutory sanctions, such as Insider Trading Sanctions Act of 1984 and Insider Trading and Securities Fraud Act in 1988. While the corporate world was neither able nor inclined to defend itself against regulation supporters, insider trading has remained controversial in scholarly journals. The most common argument against insider trading is that insider trading erodes public confidence in capital markets, raises firms’ cost of capital, and makes it more difficult finance worthwhile projects. Alternative view in favor of allowing insider trading is that corporate insiders’ trading is a contractual arrangement to compensate insiders for their innovations without costly renegotiations. This paper studies corporate insiders’ trading behaviors related with mergers and acquisitions in the 1980s, when insider trading sanctions were substantially reinforced. Specifically, the followings are discussed: First, does trading by corporate insiders in merged firms reduce after sanction reinforcement? Second, do insiders in eventually merged or acquired firms buy or sell more shares than those in non-M&Aed firms before M&A announcement? Finally, does insiders’ buying or selling activity have an effect on overall trading in the market? To answer the questions, I compare the amount of insider trading of M&Aed firms and non-M&Aed firms in 1983 and 1989, between which statutory sanctions are significantly reinforced and a major insider trading scandal(Boesky scandal) occurred, and estimate the effects of insiders’ buying or selling on general trading in stock exchanges. Specifically, I obtain the coefficient estimates of insiders’ buying or selling amounts in estimation equations where ‘abnormal trading volume’-trading volume which is not explained by the ‘market model for volume’- i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sample group of M&Aed firms consists of 114 corporations, 44 of which were acquired or agreed to be acquired in 1983 and 70 in 1989. The control group is composed of respective 91 and 86 corporations, randomly chosen from the same industries of the sample firms but note acquired by the end of 1985 and 1991. The reason for the control group in the same industries is to properly filter out the ‘news media effect’ on trading volume, that is, to control abrupt changes in trading volume caused by M&A-related new and rumors. All the sample and control firms are chosen from 9 industries, which are energy, food, metal producing, machinery, electrical and electronics, measurement equipment, business services, computer and data processing, and health services. I choose these 9 industries because M&A prevailed in those industries in 1983 and 1989, and it is also advantageous to limit the number of industries for controlling industrial heterogeneity. The daily stock trading volume of the firms are retrieved from the Center for Research in Security Prices (CRSP) and trading records of the firms’ insiders are manually collected from the SEC’s ‘Official Summary.’ In spite of insider trading sanction reinforcement, corporate insiders’ trading did not curtail significantly, nor was more the M&Aed firms’ insider trading than that of non-M&Aed firms. Compared to the total shares outstanding, insider trading of non-M&Aed firms was more active than that of M&Aed firms, and insider trading for non-merged firms in 1983 was much more active than that in 1989. Another feature to note is that corporate insiders sell much more than they buy in the market, and that this is more severe for merged firms. Regarding the market’s response to corporate insider... 내부자거래란 공개되지 않은 중대한 기업 정보를 바탕으로 증권을 거래하는 행위이다. 미국에서 기업의 내부자들의 증권거래는 1934년 제정된 증권거래법(Securities and Exchange Act of 1934) 이래로 명시적으로 규제되어 왔고, 판례로는 1968년에 처음 등장하였다. 크게 주목받지 못하던 내부자거래가 본격적으로 대중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1980년대 활발한 인수합병 때문이었고, 이 때문에 증권감독당국인 SEC(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에서는 대대적인 감시 및 감독 강화와 함께 연방법 개정을 추진하여 1984년 내부자거래 금지법(Insider Trading Sanctions Act of 1984)과 1988년 내부자거래와 증권사기 규제법(Insider Trading and Securities Fraud Enforcement Act of 1988)이 탄생하였다. 본고에서는 1980년대 미국의 내부자거래 규제 강화를 배경으로 기업내부자들의 거래 행태 변화를 추적하고 이러한 거래 행태가 인수합병과 관련하여 차이가 있었는지 및 시장의 거래에 영향이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80년대의 두 차례에 걸친 대대적인 내부자거래 규제의 강화로 인해 기업 내부자들의 거래가 위축된 것 같지 않으며, 인수․합병된 회사들의 내부자들이 그렇지 않은 회사들의 내부자들에 비해 더 활발히 주식을 거래하고 있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오히려 총주식수에 대비했을 때 인수합병되지 않은 회사들의 내부자거래량이 더 많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기업내부자의 거래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1989년이 1983년에 비해 크게 나타났고 인수합병된 회사들에 대해서는 기업내부자들의 매도 행위에 대한 시장 반응이 두드러졌던 반면, 인수합병되지 않은 회사들에 대해서는 내부자들의 매수 행위가 더 큰 반응을 일으켰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