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철도차량용 추진제어장치의 고능률 PWM기법에 관한 연구

        민병권,서광덕,원충연,Min, Byoung-Gwon,Seo, Kwang-Duk,Won, Chung-Yuen 대한전자공학회 1998 電子工學會論文誌, S Vol.s35 No.10

        이 논문은 고속전철, 지하철과 같은 철도차량의 추진제어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고능률 저주파 스위칭 PWM 기법에 관한 것이다. 500Hz이하의 낮은 스위칭 주파수로써 6스텝까지의 과변조제어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고주파 함유율을 저하 시키기 위한 PWM 방법으로 동기 기법을 공가벡터변조에 적용하였으며 DSP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과 효용성은 디지털 시뮬레이션과 실용량 모델의 실험을 통해 보인다. 실험은 전동차 추진제어장치인 1.65MVA IGBT VVVF인버터와 160톤의 전동차를 등가화한 관성부하를 통해 수행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high performance low switching PWM technique or the propulsion system of railway such as subway and high speed train. In order to achieve the continuous voltage control to six-step and s low harmonics with low switching frequency under 500Hz, the synchronous technique is combined with a space vector overmodulation and implemented by using DSP. Improved performance and a validation of proposed method are showed by the digital simulatio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a 1.65MVA IGBT VVVF inverter and inertia load equivalent to 160 tons railway cars.

      • SCIESCOPUSKCI등재
      • 태양광발전용 3kW급 PCS개발

        민병권(Min, Byoung-Gwon),류승표(Ryu, Seung-Pyo),전세봉(Jeon, Se-Bong),이봉우(Lee, Bong-Woo),김남해(Kim, Nam-Ha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Recently, because of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using fossil fuels and harmfulness of atomic power plants. the interests concerning new and renewable energy resources are rising increasingly. And of all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PV generation systems are recognized as the most useful and desirable renewable energy source in allowance for installation conditions. In this development, the 3kWp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is realiz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3kWp PCS developed by Hyundai Heavy Industries Co. (HHI). The photovoltaic array used in this system is composed of 60 modules of 50Wp capacity. The developed system is tested as procedures and items of test regulation recognized by governmen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xcell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Now, the 3kWp PCS developed is installed in the PV model house built in HHI plant and is being tested for practical use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한국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기운생동’의 재해석

        민병권 ( Min Byoung G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재해석을 통하여 나타는 형식들을 고찰함으로써 정체성을 찾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가 현대 수묵화 장르에서 ‘기운생동’이란 중추적 개념을 되새겨 본 이유는 그것이 변함없는 제1의 조형원리로 현재까지 작용하여 왔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 현대미술의 시작인 앵포르멜 및 액션패인팅과 같은 서구 추상 양식들이 전통적 예술인 수묵화의 조형원리인 기운생동에 까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매우 눈여겨 보아야할 미술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현대 수묵화의 변모가 일어날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문화사적 시각으로 해석해보았으며, 이를 위하여 기운생동의 개념 변화 양상과 그 의의를 동양회화의 중심이었던 중국과 한국의 화론 연구를 통하여 시대적 흐름과 연계하여 알아봄으로써 연구의 배경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한국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재해석 표현을 ‘서체의 필획’, ‘형상 심미의 재해석’, ‘일기(逸氣)의 형상 해체’, ‘추상적 기호 해석’이라는 네 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기운생동의 재해석을 통하여 나타난 내용과 형식상의 변화를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한국의 현대 수묵화에서는 동양과 서구의 조형방법이 서로 융합되며 새로운 조형적 미감을 창출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동양회화의 본질적 개념으로서의 기운생동이 오늘날 다양한 변화 속에서의 정체성 문제를 고찰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하여 전통화단의 중심축인 수묵화 장르의 과거와 미래, 그리고 현재를 조명하고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identity through examining forms that arise from reinterpretation of 'vibrant energe' in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s. Central ideological focus has been placed on 'vibrant energe' as this has constantly been a primary formal principle in ink painting. Furthermore, the fact that Western abstract forms like Art Informel and Action Painting which marks the beginning of Korean contemporary art having influenced the formal principle of Korean ink painting, a very traditional art, is very noteworthy. Hence, this study interpreted the inevitable transformation from cultural historical view. To achieve this, it has attempted to offer the basis on the background of study through Korean and Chinese art historical research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context, which placed central importance on the significance of 'vibrant energe'. The main body explores the expression of reinterpretation of 'vibrant energe' in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 through four main keywords - 'strokes of typeface', 'reinterpretation of formal aesthetics', 'breaking down of extraordinary character', and 'interpretation abstract signifier'. The study analyzes the formal change and content of painting that appear in reinterpretation of 'vibrant energe' in contemporary ink paint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ve methods of oriental and western are merged to create a new formative aesthetic in the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nvestigates the identity issue in diverse changes taking place today, and that illuminates and diagnoses the past, future, and present of the ink painting genre,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raditional art.

      • KCI등재

        초ㆍ중등 미술교육에서 한국화를 통한 감성개발의 의의

        민병권(Min Byoung Gwo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1

        본 연구는 현대 물질문명의 생활방식과 미술교육에 있어 서구조형방법의 편중된 학습으로 인하여 생긴 학생들의 서구화된 감성을 전통 회화인 한국화의 다양한 조형방법의 학습을 통하여 어떻게 한국인의 고유 심미의식과 미감 등 감성을 개발시킬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이러한 한국적 미감의 회복을 통한 감성개발을 위해서는 초ㆍ중등 미술 교육에 있어 한국화를 단순히 전통미술이라는 인식을 넘어 적극적이며 체계적인 실기방법을 정립하여야 하며, 이를 통하여 어떻게 동양의 전통적 사상을 직간접적으로 체득함으로써 감성을 풍부하게 함과 동시에 인성도야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방법을 탐색해야 한다. 현재 초ㆍ중등 미술교육에 있어 한국화 실기부문은 형식과 방법론에 그치고 그것을 왜 교육해야하는지에 대한 전인격적 감성개발의 측면으로 다가서지 못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화의 실기교육을 통한 감성개발이라는 주제로 알아봄으로써 오늘날 서구적 감성에 젖어 살아갈 수밖에 없는 학생들에게 동서양의 균형 있는 감성을 키울 수 있도록 그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다. This research explores how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esthetical awareness and sense of beauty intrinsic to Korean sentiment can be realized by incorporating learning of various visual technique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in the education of students whose emotional tendencies have been influenced by overly westernized visual methods when it comes to the life style and the art education of the 21st century's material civilization. In order to instigate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recovery of Korean sense of beauty, a more proactive and systematic art practice must be established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education, beyond the confined frame of Korean painting as a mere traditional art domain. Through this effort,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how emotional enrichment and individual development can be strengthened through students' direct and indirect learning of oriental traditional concepts.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rt education's Korean painting practice falls short in just teaching formal methodology rather than giving light into why such education is needed, thereby being insufficient in accommodating personal development. Hence, this study examines traditional sense of beauty embedded in the forms of Korean paintings as the subject of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 for Koreans as a means to suggest a way to restore a more balanced emotional development between the Oriental culture and the Western in students who are living in an environment where western influence dominates.

      • KCI등재

        한국 현대 수묵화에 나타난 `탈전통` 성격 연구

        민병권 ( Byoung Gown M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전통회화의 중심축이었던 수묵화가 현대에 들어와 `탈전통`의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주목하고 이를 다각적으로 연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탈전통`의 현상은 현대뿐만이 아닌 그 이전에도 있었던 것으로, 이는 전통의 속성상 한군데 머무르지 않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현대 수묵화는 형식상으로 보았을 때 구도와 필묵 및 재료에 있어 이전보다 매우 파격적인 실험이 엿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상에 있어서도 소재 및 주제에 있어 다양한 현대적 특성이 드러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수묵화 변화양상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현대 수묵화의 다양한 조형적 실험의 결과가 단순히 오랜 세월 동안 누려왔던 전통회화의 영광에 머무르지 않고 오늘날의 회화로서 가치를 획득함으로써 동시대 미술로 편입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아울러 현대 수묵화는 다양한 조형실험을 통하여 전통적 가치의 해체를 통하여 동시대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 미술의 한 장르로서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되었음도 알아보았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의 현대 수묵화에 있어 탈전통 현상은 부정적인 측면 역시 존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수묵화 장르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완벽한 개념 해체가 역설적으로 장르의 존폐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조형적 변화의 긍정적 측면과 함께 부정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 현대 수묵화 장르의 특성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 예측하고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orean ink painting used to be at the center of traditionalism. but, recently, in entering the contemporary period, it has been demonstrating a tendency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ism.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in multiple angles this tendency in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 The tendency of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ism` had occurred before the contemporary times, as tradition is bound to adapt to its times, instead of resisting the change in the course of different times. However, today`s Korean ink painting has not only been showing exceptional experiments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 than ever before in terms of style of composition and use of medium. It has been demonstrating very diverse contemporar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ubject matters and themes, all of which amount to a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change that used to take place in the field of oriental ink painting. The study interprets such result of various formal experimentation as an attempt to be incorporated into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by validating its status as today`s painting, rather than being complacent in the honor of tradition that had reigned for centuries. Today`s oriental ink painting dismantles the traditional value through various formal experiments. This, on top of allowing today`s Korean ink painting to acquire contemporary significance, has led the creation of new set of values as a contemporary art genre. Despite its merits, there are also negative sides of this tendency of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 in the field of Korean contemporary ink painting. The complete conceptual dismantling of ink painting genre`s form and content is ironically bringing the genre itself onto the brink of extin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dict and assess possible development that may be expected to take place in the future of Korean ink painting through comprehensively analyzing both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spects of the various formal changes occur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