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미희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5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and ego-resilience o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child gender. The participants were 2,119 first grade students(1,093 boys, 1,026 girls) in the fourth Korea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boys perceived parenting behavior more positively than girls. Girls perceived more difficulty in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than boys. Second, school adjustment of the boys and girl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and ego-resilience. Third, the more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the better perceived ego-resilience, the better the boys and girls could make adjustment in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s a fundamental data about parenting behavior and ego-resilience which can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a first grade student.

      • KCI등재후보

        동․식물 키우기 활동이 예비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민미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imal and plant growing activitie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53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in university. Before and after practicing animal and plant growing activities for 1 month, we examined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We also analyzed individual science inquiry journa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 education using animal and plant growing activities reveals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Second, the attitude change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bout science were showed increasing of positive recognition and interest about observing subject, value and sanctity of life, recognition of responsibility and better ability to take care of animal and plant,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scientific activity. Third, animal and plant growing activities reveals positive effects on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Finally, in the science teaching, the individual effic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rough animal and plant growing activity was increased into the experiential and expended scientific knowledge, ability to acquire scientific information, careful observation ability, and into the self-confidence as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hey have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importance of science teacher's role. 예비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적극적인 과학교수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동․식물 키우기 활동이 예비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서 아동과학지도를 수강하는 예비보육교사 53명을 대상으로 동․식물을 키우면서 주 1~2회 이상 총 8회 이상의 관찰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사전․사후에 검사도구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예비보육교사가 작성한 관찰일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식물 키우기 활동은 예비보육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 가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은 동․식물 키우기 과정에서 동․식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흥미 증가, 동․식물의 생명의 소중함 인식, 동․식물 키우기에 대한 두려움을 통한 책임감 인식 및 돌봄 능력 향상, 동․식물 키우기를 통해 행복감과 기쁨 경험하고 위안 받기와 같이 과학에 대한 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동․식물 키우기 활동은 예비보육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보육교사들은 동․식물 키우기 과정에서 실제적인 과학 지식의 형성, 적극적인 과학 정보습득 노력 증가, 체계적이고 세심한 관찰 능력 증가, 영유아 과학지도에서 동․식물 키우기 활동의 가치 및 교사의 역할 인식과 같이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 KCI등재

        아동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상황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민미희,성미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6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depending on child variables, family variables, school variables, and predictive influences among these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1,364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ldren's and Youth's Rights(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human rights sensitivity were school life experience, grade, the degree to which adolescents think they are respected in deciding family issues, gender, experiences of teacher's swear words, experiences of being neglected, and experiences of being bullied at school. Second, the variables influencing children's perception of human rights were gender, experiences of parents' swear words, school life experience, the degree to which adolescents think they are respected in deciding family issues, and father's educational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ed fundamental data about the important issues in researching children's right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m.

      • KCI등재후보

        2세 유아의 가상 이해 능력과 어머니의 상징사용과의 관계

        민미희,이순형 한국인간발달학회 2003 人間發達硏究 Vol.10 No.2

        This study investigated 2-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the pretense depending on type and stipulation of transformation, their mothers' symbol(verbal, behavior) use in pretend pl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ymbol use and 2-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the pretense. Twenty 2-year-olds(M=30.3 month) and their mothers were contacted via introductory letters describing purpose of this study. Children's playing with their mothers in pretend play was videotaped for 10 minutes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classify mothers' symbol use. Each child participated in the task for comprehension of pretense which was enacted by an experimenter. 2-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the pretense depending on type and stipulation of transformation was different. Mothers' use of 'assisting the child' was positively related to 2-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the pretense. Mothers' use of 'explanation about how to', 'assisting the child' was positively related to 2-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the pretense on 'wet/dry' type of transform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mothers' interaction pattern concerning symbol contribute their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2, 4세 유아의 가상 이해 능력의 차이

        민미희,이순형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4

        이 연구는 유아의 가상 이해 능력이 가상 이해 과제의 변형 유형과 조건에 따라 유아의 연령간에 차이가 있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안 2세 및 4세 유아 각각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가상 이해 과제를 통해 변형의 유형과 조건에 따른 유아의 가상 이해 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의 변형 유형에 따른 유아의 가상 이해 능력은 부분적으로 연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젖은/마른' 유형의 경우에는 4세 유아가 2세 유아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였으나, '비어있는/꽉찬' 유형과 '더러운/깨끗한' 유형에서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과제의 변형 조건에 따른 유아의 가상 이해 능력은 부분적으로 연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복잡 변형' 조건에서는 4세 유아가 2세 유아보다 수행이 더 높았다. 그러나 '단순변형' 조건에서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가상이해 과제의 변형 유형에서 유아의 연령에 따라 물리적 개념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고, 복잡한 변형 조건에서 4세 유아가 2세 유아보다 더 높은 수행을 보인 것을 통해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의 가상 이해에 대한 사고가 더욱 구조화되고 논리적이 됨을 지지해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2- and 4-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of pretense according to type and stipulation of transformation. Twenty 2-year-olds(M=30.3 months), twenty 4-year-olds (M= 51.1 months) were selected via introductory letters describing purpose of this study and snowball sampling. Each child participated in the task for comprehension of pretense which was enacted by an experiment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and 4-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pretense according to type of transformation partially. 4-year-olds had higher scores on 'wet/dry' type of transformation than 2-year-old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comprehension of pretense on 'empty/full' type and 'dirty/clean' type of transformation between two year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2- and 4-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pretense according to stipulation of transformation partially. 4-year-olds had higher scores on 'complex' stipulation of transformation than 2-year-old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 and 4-year-olds' ability to comprehend the pretense on 'simple'. These results showed that in 2- and 4-year-olds' kept track of the stipulated pretend transformation. And the findings suggest that ability to comprehend pretense composed of physical transform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children's age.

      • KCI등재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 및 성별간 다집단 분석

        민미희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및 아동의 친구관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경로에서 남녀 아동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2,399명(남아 1,193명, 여아 1,20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양육태도 및 친구관계는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폰 의존은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양육태도와 친구관계의 어려움이 직접 학업열의를 낮출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의존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학업열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양육태도, 친구관계 및 스마트폰 의존이 아동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경로는 아동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 수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부정적 양육태도, 친구관계, 스마트폰 의존, 학업열의 간의 관계는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매개변수로서 스마트폰 의존이 성별에 관계없이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간 다집단 분석

        민미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on the school readiness. The participants were 1,151 5-year-old preschoolers(595 boys, 556 girls) taken from the 7th year of the PSKC.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In addition multi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school readiness. Second, through social competence as a mediator,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influenced school readiness. Finally,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peer play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 to improve school readiness.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로에 남녀 유아간 차이가 있는 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의 만 5세 유아 1,151명(남아 595명, 여아 5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SPSS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고 AMOS프로그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은 학습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또래 놀이상호작용은 사회적 유능감을 매개하여 학습준비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경로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또래 놀이 상호작용이 학습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데 반해 여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 결과 남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반해 여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학습준비도에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 놀이 상호작용 및 사회적 유능감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전이 적응을 위한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수학교육의 연계성 분석

        민미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1~2st grade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domain, educational content are analyzed in both curriculum by 6 criteria, which are continuity(extension, reinforcement, repetition) or discontinuity(extinction, retrogression,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ere more inclusive and detailed than Nuri curriculum. Second, classification of five content domains both for mathematical content of Nuri curriculum and for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as continued. Third, Most educational content had high degree continuity, but some categories did not. In the numbers and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the numbers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arithmetic operation showed discontinuity(gap). The figures sec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In the measurement section, comparison of quantity and length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time showed discontinuity(gap). The regularity sec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In the data and probability section, classifica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diagram and graph showed discontinuity(gap).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continuity, and suggests further studies through investigating how they are implement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연계정도와 연계 형태를 연계(확대, 심화, 반복), 비연계(역행, 격차, 소멸)의 분석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두 교육과정의 목표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교육과정의 5개 내용 영역 구분이 연계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다. 수와 연산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수는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연산은 격차의 형태로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형 영역은 반복,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측정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양의 비교는 반복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시각과 시간은 격차의 형태로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길이는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규칙성 영역은 반복,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료와 가능성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분류하기는 반복,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표 만들기와 그래프 그리기는 격차로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맞추어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검토함으로써 보육 및 유아교육현장에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민미희 ( Min Mih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비롯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남녀 집단 간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만 6세 유아와 어머니, 육아지원기관의 담임교사 1,042명(남아 532명, 여아 5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적 양육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이 남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가 유의했는데 반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이 여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유아 성별에 따라 어머니 양육행동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준비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warmth parenting, control parenting, and self-esteem of preschoolers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while accounting for gender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were 1,042 6-year-old preschoolers (532 boys, 510 girl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aken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Panel.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using the RMSEA, SRMR, TLI, and CF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ther’s warmth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Secondly, mother’s warmth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rough self-esteem of preschoolers. Third,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elf-esteem of preschoolers to improv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Futhermore, it suggested that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needed depending on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