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직무와 교사의 인성: 『논어』의 ‘호학(好學)’ 개념을 중심으로

        정혜진,민동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The personality that a teacher is expected to have can include a number of competencies. But in view of the duties that a teacher must perform, can you say that a few capabilities are sufficient? If so many of the competencies shown in the Teacher Personality Evaluation-Tool are required in teaching practice an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teach them separately, what is the most fundamental quality to relate to all of these competencies? Starting from these questions, this paper critically considers the concept of 'teacher personality' in existing teacher personality-related studies, and puts forward that with an alternative approach, teacher personality needs to be defined by the practice of teacher education, 'teacher self-cultivation'.This point was looked at in this paper based on the concept of hàoxué(好學)- like learning in" Analects". As a resul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ersonality of teachers is not the sum of these and other abilities, but the 'Nature'(心性) that makes them manifest, which is constantly confirmed and established by the long-standing practical efforts of teacher education. 교사가 갖추어야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성에는 수많은 역량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교사가 수행해야 할 직무에 비추어 볼 때 거기에는 도대체 몇 가지 역량이 구비되면 충분하다는 말을 할 수 있겠는가? 교직 인‧적성검사에 나타나 있는 그 많은 역량들이 교직실무에 요구되고 그 요구되는 역량들을 일일이 별도로 가르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면, 이 모든 역량들과 관련을 맺으면서도 그것들을 포괄할 수 있는 가장 으뜸가는 근본 자질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기존의 교사의 인성관련 연구들에 나타난 ‘교사의 인성’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 교사의 인성은 ‘교사의 인성함양’이라는 교사교육의 실천에 의하여 정의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 점을 본 논문에서는 『논어』에 나오는 好學-배우기를 좋아하는 것-의 개념에 기초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의하면, 교사의 인성은 이런 저런 여러 능력들의 총합이 아니라, 그런 능력들로 나타나게 하는 ‘심성’으로서, 그것은 오랜 교사교육의 실천적 노력-호학-에 의하여 끊임없이 확인되고 확립되는 것이다.

      • KCI등재

        임플란트 외형및 나사형태에 따른 응력 분산의3차원 유한요소법적 분석

        김일규,류승현,김주록,민동환,한예숙,송국현,손충렬,변효인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4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6 No.5

        The design of the implant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which the implant can sustain the impact of the intra-oral biologic load and to disperse the load adequately to the surrounding bone. In this study, based upon the implant and thread designs, we have assessed the equivalent stress and equivalent strain in the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when under 100N vertical force and 20N horizontal force were simultaneously loaded on the following 6 different kinds of implant design and 4 different kinds of thread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ylinder type or cylinder and tapered type is the most favorable design in the same diameter.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 of the tapered type and stepped cylinder type in the respect of design and project area,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implants. The square and reverse threads are better than triangular and plateau thread in the respect of maximum equivalent stress and strain in the cortical and cancellous bone and project area.

      • KCI등재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 연구: 영향요인 탐색 및 학교중퇴의도 차이 검증

        홍세희,윤소진,하승혁,민동환 통계청 2022 통계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수준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개인, 사회, 가정, 학교 요인 중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유의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잠재프로파일 별로 학교중퇴의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8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고등학생 3,4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은 총 3개(주관적 웰빙 저·중·고집단)로 분류되었다. 또한, 주관적 웰빙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사회, 가정, 학교 요인중 주관적 웰빙 집단 분류에는 10개의 변수(성별, 주관적 경제수준, 여가시간, 주관적 건강, 고민을 나눌 사람 여부, 차별 피해경험, 민주적 양육태도, 체벌/욕설 경험(부모), 친구의 배려, 교사의 존중)가 모든 집단 분류에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웰빙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학교중퇴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학교중퇴의도를 낮추고 주관적 웰빙을 높이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어야 할 방안에 대한 논의점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인공지능 교육 내용 분석

        박선주(Sunju Park),민동환(Donghwan Min),금선호(Seonho Kum),김상우(Sangwoo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2

        미래 사회로의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나 2021년 11월에 발표된 각론에 따르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교육의 시수 확충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반해 교과 교육 내에서 디지털·인공지능 융합을 통한 내용 재구조화를 제시하여 실천적인 적용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틀에서 개발된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및 교재를 분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진행될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실행 방안을 내용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고등학교 선택 교과목 2종과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개발한 학교급별 교재 5종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인공지능 교육은 인공지능 원리 이해와 활용 측면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공지능 교육의 세부 내용과 교과 융합 측면에서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교육 전반에서 인공지능의 원리와 활용 측면을 다양한 교과목과 연계하여 세분화해 구성하고, 인공지능과 다양한 교과목의 융합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교육내용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의 실천적 방안 제시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생활시간 잠재프로파일 분류: 정서 및 대인관계 요인의 영향력과 가상세계지향성 차이 검증

        조진희(Cho, Jinhee),민동환(Min, Donghwan),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생활시간을 활용하는 양상에 따라 하위집단을 분류하고, 가상세계지향성에 집단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의 중1 패널2차 자료를 활용해 중학교 2학년 2,438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잠재프로파일별로 가상세계지향성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부가적으로 Davis(2001)가 제시한 인지행동 모형을 기초로 하여 부적응적 심리 요인과 사회적관계 특성이 생활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생활시간 활용에 따라 세 가지 잠재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프로파일의 특성에 따라 “균형 시간활용”, “사교육 위주 시간활용”, “자유로운 시간활용”으로 프로파일을 명명하였다. 또한 관련 요인들의 영향력 검증 결과 사회적관계인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가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부적응적 심리를 반영하는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위축은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잠재프로파일별로 가상세계지향성 차이는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활시간 활용을 중심으로 온라인에 의존하는 성향인 가상세계지향 경향성에 차이가 있는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생활시간 활용양상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이 보다 바람직한 사회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개입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a group of adolescents into several latent subgroups regarding their daily time use patterns, and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exis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 to the level of virtual reality orientation among the latent profil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atent profiles of 2,438 participants taken from the second year in middle school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in the mean level of virtual reality orientation between the latent profiles were examined. Additionally,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adopted by Davis(2001),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the latent profiles 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eventually group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Our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relationships such as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however,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that may reflect maladaptive psychological behavior, did not affect the classification process.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rtual reality orientation were observed among the latent prof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