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 보강 매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토벽화 마감층 제작특성 연구

        문혜영,이경민,정용재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토벽화 마감층 제작에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는 천연 보강 매제인 아교, 전분풀, 도박풀을 3%, 5%, 7%, 10% 농도로 적용하여 흙 반죽의 작업성부터 완성된 마감층의 물성 및 내후성까지 전반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농도 5% 이하의 전분풀과 3%의 도박풀을 배합하였을 때 마감층의 제작에 유리하였다. 아교를 배합한 흙 반죽은 농도가 높을수록 건조하고 쉽게 부서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졌으나 저농도의 아교를 배합할 경우 표면 안정성이 높아 3% 이하의 저농도에서 보강 매제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전분풀은 작업성과 강도 보강의 효과가 뛰어났으나 7%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시 동결융해에 의한 표면 안정성이 떨어졌다. 도박풀의 경우 강도 보강의 효과가 있었으나 5% 농도 이상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였고 농도 3%의 경우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동결융해 후에도 표면이 안정하여 보강 매제로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토벽화 마감층의 전통기술 및 재료를 복원하고 보강 매제의 용법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soil mural finishing layers fabricated using animal glue, starch adhesive(wheat paste), and Dobak glue. We assessed the workability and weatherproofing properties of the earthen plaster and finishing layers fabricated using concentrations of 3%, 5%, 7% and 10% for each adhesive. The results showed that a mixture using 3% or 5% starch adhesive or 3% Dobak glue was suitable for constructing the finishing layer. For finishing layers made with animal glue, earthen plaster had poor workability. It was dry and easily broken as the concentrations of animal glue increased. However, specimens made with low concentrations of animal glue did not exhibit surface deterioration after a freezing-thawing test. Therefore, animal glue mixtures could possibly be used for constructing finishing layers in concentrations lower than 3%. Mixtures containing starch adhesive produced plasters with good workability. Additionally, starch adhesive enhanced compression strength. However, when starch adhesive was mixed at concentrations above 7%, the surface exhibited roughening and staining in freezing-thawing tests. When Dobak glue was used in mixtures, it enhanced compression strength, but concentrations above 5% produced specimens with surface cracking. For concentrations of 3%, there were no cracks and the specimens were stable after freezing-thawing tests, so concentrations below 3% of Dobak glue are suitable for constructing finishing layers. We expect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restoring the traditional technology of soil mural finishing layers and suggest using adhesives to constructthe finishing layer.

      • KCI등재

        호텔ㆍ레스토랑 산업 셀프서비스기술 수용고객의 서비스품질 지각: 셀프서 비스기술 유형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문혜영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호텔ㆍ레스토랑 산업의 셀프서비스기술 서비스품질(SSTQUAL) 특성(기능, 즐거움, 보안, 디자인, 고객화), 지각된 유용성, 태도 및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구조적 관계에서 SST 유형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최근 3개월 이내 호텔 및 레스토랑 셀프서비스기술(SST)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253부의 유효 표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은 기술분석, 신뢰도, 상관분석, 확인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을 수행하였으며, SST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5가지 SSTQUAL 요인 중 기능, 즐거움 요인만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안, 디자인, 고객화는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의 지각된 유용성은 태도 및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도는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ST 유형(키오스크 및 모바일 기반 )은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ㆍ레스토랑 고객의 SST 수용에 대한 유용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능 및 즐거움의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1학년 함수단원 문제해결에서의 오류에 대한 분석

        문혜영,김응환,Mun, Hye-Young,Kim, Yung-Hwan 한국학교수학회 201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4 No.3

        본 논문은 수학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실수 즉 오류를 분석을 통하여 수학의 교수학습방법의 보완을 위한 범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교사들 에게 제공되는 학생들의 수학적 지식에 대한 이해 정도 및 쉽게 빠지는 오류, 수학문제에 접근하는 방법 및 잘못된 해결 전략 등의 정보는 대체로 학생들의 오류를 분석함으로써 얻어 질 수 있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고교수학을 어렵게 느끼는데 그 중 특히 '함수'문제에서 막연한 어려움과 부담감을 느끼며 함수와 관련된 문제풀이에서 많은 실패를 겪고 있다. 구체 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함수단원 문제해결 과정에서 보이는 오류를 분석하여 함수단원 수학문제해결능력을 키우고자 충남의 ${\bigcirc}{\bigcirc}$고등학교 1학년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함수단원 8문제로 구성된 검사지를 풀게 하고 그것을 토대로 오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오류에서 몇 가지 공통적인 패턴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것을 7가지 오류 분류 패턴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에 투입하여 수학교육의 개선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is to develop the ability of transforming various problems in general situations into mathematics problems and then solving the problem mathematically.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the mathematics problem-solving can be tri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oose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after figuring out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the mathematics learning or their problem-solving strategies. The error analysis is helpful for mathematics learning by providing teachers more efficient teaching strategies and by letting students know the cause of failure and then find a correct way.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et up and analyzed. First, the error classification pattern was set up. Second, the errors in the solving process of the function proble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rror classification pattern.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90 first grade students of ${\bigcirc}{\bigcirc}$high school in Chung-nam. They were asked to solve 8 problems in the function part. The following error classification patterns were set up by referring to the preceding studies about the error and the error patterns shown in the survey. (1)Misused Data, (2)Misinterpreted Language, (3)Logically Invalid Inference, (4)Distorted Theorem or Definition, (5)Unverified Solution, (6)Technical Errors, (7)Discontinuance of solving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errors due to the above error classification pattern were given below First, students don't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function completely. Even if they do, they lack in the application ability. Second, students make many mistakes when they interpret the mathematics problem into different types of languages such as equations, signals, graphs, and figures. Third, students misuse or ignore the data given in the problem. Fourth, students often give up or never try the solving process. The research on the error analysis should be done further because it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fo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 KCI우수등재

        셀프서비스기술 서비스품질, 지각된 가치,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기기애호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문혜영,김홍범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4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between SSTQUAL characteristics, perceived value, PAD(arousal, dominance),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hotel and restaurant industry, as well 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gadget lo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STQUAL, perceived value, PA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Initially, the SSTQAUL appeared to have a substantial influence on perceived value and attitude. However, it was discovered that perceived valu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In addition, attitude had a substantial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Second, SSTQUAL and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AD, and the PAD had a substantial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irdly, it was discovered that gadget love propensity (high versus low grou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attitude and PAD-behavioral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AD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creasing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SSTs in hotels and restaurants, and suggested that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formulated differently based on the level of gadget-loving propensity. 이 연구는 호텔⋅레스토랑산업의 기술주도 서비스 인카운터를 경험하고 있는 고객들 대상으로 SSTQUAL 요인, 지각된 가치, 감정반응PAD(각성, 지배)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고객의 기기애호도정도에 따라 이러한 영향 관계가 어떻게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 검증을 통한 결론은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SSTQUAL 요인은 지각된 가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가치는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는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고객의 SSTQUAL 요인과 지각된 가치는 감정반응PAD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반응PAD는 고객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의 기기애호도 정도(고/저 집단) 에 따른 SSTQUAL 요인, 지각된 가치, 감정반응, 태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7개의경로 중 지각된 가치와 태도, 감정반응PAD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SST 사용 환경에서고객이 지각하는 감정반응PAD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호텔⋅레스토랑 SST의 행동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기애호도 성향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에 대한 접근방식이 달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수리·보존 이력 및 손상변화에 관한 문헌적 고찰

        문혜영,김설희,이태종,장성윤,정혜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0 No.-

        Currently, mural paintings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have severe white pollution all over them and damage to the painting layer, and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is treating them for conservation. In this process, for setting directions for more systematic conservation treatment, this study would figure out the history of the conservation state of the mural. The mural has been through several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movements of the place of storage for about 100 years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Josadang Shrine, and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would be needed in that most of the damages were caused by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past. Thus, this study collected material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related to the mural painting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which have not been revealed and investigated how the conservation states were changed. So that they would be utilized in setting directio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cords of preservation for about 100 years since around 1916 when the mural was separated from the Josadang Shrine were drawn up as a chronological table, and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main conditions of damages by periods. The mural had two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1925 and 1985 and four times of movement of the place of storage after the separation from the Josadang Shrine. When separated from the building, there were cracks and losses of the wall, and it was reinforced with gypsum (CaSO4) in the first conservation treatment. The gypsum used at this time rose from the humid environment to the surface, and the overall mural was covered. The painting layer had already had losses around the middle height before the separation and generally been weak. Thus, reinforcement and adhesion were done, using resins in two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However, accordingly, additional damages currently have occurred seriously like the excessive hardening and flaking of the painting layer, the discoloration of the remaining adhesive agents and polishes. As for the data on the Josadang Shrine mural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 have been gaps in terms of periods, and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records related to conservation treatment have informally been written.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history and changes of conservation state of the mural paintings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through this study, which would be going to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in establishing pla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future. 현재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전면에 걸친 백색 오염과 채색층 손상 등이 심각하여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보존처리 중에 있다. 이 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인 보존처리 방향 수립을 위하여 벽화의 보존 상태 이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벽화는 조사당에서 분리된 후 약 100여 년 동안 여러 차례의 보존처리와 환경 변화가 있었는데, 손상의 대부분이 과거 보존처리에서 기인한다는 점에서 더욱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확인되지 않은 부석사 조사당 벽화 관련 일제강점기 이후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기별로 보존 상태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보존처리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916년경 조사당에서 벽화가 분리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약 100여 년간 벽화의 보존 이력을 연표로 작성하고 주요한 손상 상태를 시기별로 비교할 수 있었다. 벽화는 조사당에서 분리된 후 1925년경과 1985년, 총 두 차례의 보존처리와 네 차례의 보관 장소 이전이 있었다. 건물에서 분리될 때 벽체 균열 및 손실이 발생하여 첫 번째 보존처리에서 이를 석고(Gypsum, CaSO4)로 메움처리하고 목재보관함에 넣은 것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때 사용된 석고가 다습한 환경에서 표면으로 용출되어 벽화 전면을 피복하게 되었다. 채색층은 분리 이전부터 중간 높이 부근의 손실이 있었고 전반적으로 약화된 상태였다. 이에 두 차례의 보존처리에서 수지를 이용한 경화·고착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로 인해 현재는 채색층의 과도한 경화와 박리·박락, 잔류한 고착제의 변색 및 광택과 같은 추가적인 손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의 조사당 벽화 자료는 시기상 공백이 존재하고 보존처리와 관련한 기록이 약식으로 기재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이력과 보존 상태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보존처리 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예정이다.

      • KCI등재

        담보신탁과 담보권신탁에 대한 연구

        문혜영 대한변호사협회 202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09

        A collateral trust is a trust for the purpose of securing debts, and it has been developed mainly around real estate collateral trus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llateral trust, a settlor transfers an ownership of trust asset to a trustee and designates creditors as a beneficiary of the trust, and the trustee obtains the complete legal ownership of the trust asset internally and externally. On the other hand, a security trust is a trust adopted by the newly amended Trust Act in 2012, and it is established by the way of establishing a security right for the trustee. Both of the trusts above are trust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debt. A collateral trust and a security trust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re trusts to secure debts. However, a trustee of a collateral trust has complete legal ownership of trust asset, while a trustee of a security trust has only collateral rights, and which makes a big difference in bankruptcy proceedings of the settlor. Recently, there has been a discussion to deny the bankruptcy remoteness of collateral trusts and treat them as collateral rights, which is thought to result from confusing the concept of collateral trusts and security trusts. In addition, collateral trusts are often treated as similar to yangdo-dambo under Korean law and Deed of Trust under US law, and which is also inappropriate.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concepts of a yangdo-dambo under Korean law, a Deed of Trust under US law, and a security trust established by way of yangdo-dambo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se legal vehicles from a collateral trust. 담보신탁은 채무를 담보하기 위한 목적의 신탁으로, 주로 부동산담보신탁을 중심으로 발전해온 제도이다. 이러한 담보신탁은 위탁자가 수탁자에 대하여 신탁대상자산의 소유권을 이전하고 채권자를 신탁의 수익자로 지정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며, 수탁자가 신탁대상자산에 대하여 대내외적으로 완전한 소유권을 가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담보권신탁은 2012년에 신탁법이 개정되면서 명문으로 도입된 것으로서 위탁자가 수탁자에 대하여 담보권을 설정해주는 방식으로 신탁을 설정하는 것을 말하며, 이 또한 채무를 담보하기 위한 목적의 신탁에 해당한다. 담보신탁과 담보권신탁은 채무를 담보하기 위한 신탁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담보신탁은 수탁자에게 소유권이 완전하게 이전되는 것인데 반해 담보권신탁은 수탁자가 담보권만을 보유하게 된다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도산절연성에서 큰 차이를 가져온다. 그런데, 최근 담보신탁의 도산절연성을 부정하고 이를 담보권으로 취급하려는 논의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담보신탁과 담보권신탁의 개념을 혼동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담보신탁을 우리법 상의 양도담보와 미국법상의 Deed of Trust와 유사한 것으로 취급하려는 시각에서 출발하는데 이러한 시각 또한 타당하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양도담보와 Deed of Trust, 그리고 양도담보 설정을 통한 담보권신탁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러한 제도가 담보신탁과 어떠한 점에서 다른지 논의함으로써 담보신탁과 담보권신탁을 명확히 구별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기술준비도와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기술준비도 차원구조 및 측정모형의 우수성 비교 중심으로

        문혜영,문혜선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 분야 및 신기술 수용과 관련한 기술준비도의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술준비도 척도의 대안적 모델을 비교하여 내적 요인구조를 확인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고객의 TBSS 서비스에 대한 행동의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준비도 중요인자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Parasuraman(2000)과 Parasuraman & Colby(2015)에 의해 개발된 기술준비도 척도(TRI 2.0)를 기반으로선행연구들에서 활용하고 있는 차원구조 중 대안모형을 도출하여 각 모형의 우수성 평가를 시도하고자 한다. 둘째, 대안모형의 비교분석을 통해 선택된 기술준비도 차원모형과 레스토랑 TBSS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레스토랑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총 5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유효표본 430부를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과제 및가설검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 모형으로 제시된 모형 중 모형 2(범주형 모형/4요인-낙관성, 혁신성, 불안감, 불편감)와 모형 4(위계적 모형/2차원 2요인-긍정적 기술준비도, 부정적 기술준비도)가상대적으로 적합도 지수가 높아 우수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선택된 2개의 모형과 TBSS에 대한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는 모형 2에서는 4요인 중 낙관성 요인만이, 모형 4에서는 긍정적 기술준비도가 고객의행동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