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

        문혁준 한국생애학회 2017 생애학회지 Vol.7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parent's satisfaction using day care in the workplace. For this study, 500 parents in Korea who use the workplace child care services participated and a survey method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x²-test, and t-test using the SPSS Win 21.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atisfaction percentage of the parents who use the workplace child care centers were generally high and the most used services were personality guidance and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lso, the average monthly total cost for child care before and after using day care in the workplace decreased from 3,010,322 won to 1,575,309 won. In addition, parents exhibited a strong interest in continuing their enrollment in workplace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more workplace child care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child care among working pare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give useful implications to policy makers in regards to parent's satisfaction using day care in the workplace.

      • 누리과정과 영아보육 운영 내실화 방안

        문혁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Vol.2012 No.추계

        ‘영유아가 꿈과 희망을 누리기 위해 해결해야 할 보육과제’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해 주신 이영환 교수님의 원고를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보육교사는 아 무나 해도 되는가?’와 ‘보육교사도 즐겁고 행복한 전문가가 될 수 있는가?’의 내용 이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발달지식, 귀인성향, 사회적 지지, 소진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문혁준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 developmental knowledge, attribution, social support, and burnout on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participants were 985 childcare teach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Gyonggi Providnce.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Knowledge about Child Development Scale by MacPhee(1981), Attribution Scale by Levenson(1981), Social Support Scale by Park(1985), Burnout Scale by Maslach & Jackson(1986), and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Scale by Lindsay & Lindsay(198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F test and Scheff. test for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imultaneous muitl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about development, attribution, social support, burnout, and professionalism were above the average. Second, a perceived level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correlated with the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about development, attribution, social support, and burnout. Third, among variables, internal responsibility of attribution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ildcare policy and system.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학력과 근무경력, 발달지식, 귀인성향,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소진 변인이 그들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총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도나 정책에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985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통계방법으로 t 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이상의 교사가 전문대졸 이하의 교사보다 발달기준/발달지표, 내적귀인성향, 정보적 지지, 정서고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4년 이상인 교사가 근무경력이 1-3년의 교사보다 발달기준/발달지표, 내적귀인성향, 평가적 지지, 만성피로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중 평가적 지지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로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 및 향후 보육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형태와 운영에 관한 연구 :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를 중심으로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0 생활과학연구논집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needs of working mothers on the parent education in child care program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00 mothers of two to six-year old children attending employer sponsored child care centers a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ing mothers pointed out coworkers as their most important source of child-rearing practices and perceived that it is necessary to include fathers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Second, they pointed out the subject as their most considerable factor to attend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guidi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s their most preferred subject of parent education. Third, they pointed out Saturday afternoon as their most preferred date and time of parent education and teacher-parent conference as their most preferred type of parent education. Further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Determinants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eniors

        문혁준 대한가정학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3 No.1

        This study determines what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 The sample selection consisted of 1484 high school seniors in Korea.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academic achievement than male students. Second, academic achievement by male students was related to levels of school satisfaction, academic motivation, and family strength, while academic achievement by female students was related to levels of parents’ education, family income, ego-resiliency, school satisfaction, academic motivation, and family strength. Third,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is academic motivation, followed by school satisfaction.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to develop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programs appropriate for both genders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어머니 변인 연구

        문혁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이해를 높이고,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00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행동, 기질과 정서지능,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설문도구로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차이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행동에서 더 긍정적이었으며,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 유아의 정서적 지능이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어머니 변인 외 아버지 변인과 관련하여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다각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