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직헌신도와 직무환경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문혁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mmitment to teaching and the job environment on th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sample consisted of 300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from cities S, B, and I in Korea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level varied by the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career years. Teachers with a four-year university degree (or above) or more than five years in their career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teachers with a two- or three-year college degree or less than five years in their career. Second, love of education in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was found to be a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performance, followed by professional support in the teacher's job environment. Overall, results suggest the job environment and commitment to teaching are important factors that promote performance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refore, programs to address such issues are strongly needed.

      • KCI등재후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어머니 변인 연구

        문혁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이해를 높이고,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1000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아의 사회적 행동, 기질과 정서지능,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설문도구로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차이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적 행동에서 더 긍정적이었으며, 둘째, 남아와 여아 모두 유아의 정서적 지능이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어머니 변인 외 아버지 변인과 관련하여 유아의 사회적 행동을 다각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기질과 어머니의 훈육방식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문혁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ir mother's disciplinary styles on the ability to self-regulate their behavior.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mothers of 500 kindergarten children in S and I city, Korea. The stud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he mother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to self-regulate behavior varied with the gender. Girls showed a higher ability to self-regulate their behavior. Second, among the mother's disciplinary styles, emotional response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ability to self-regulate behavior, followed by the child's extrovert temperament.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mother's disciplinary practi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promote the ability to self-regulate behavior among young children. Therefore, there is a strong need for programs to address such issues. 본 연구는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 내적 변인인 기질과 어머니 변인인 훈육방식의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500명이며,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검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질 중 외향성과 어머니의 훈육방식 중 감정반응형이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모색함으로써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Factors Related to Paternal Disciplinary Practices of U.S. Families

        문혁준 대한가정학회 2010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omplex process of paternal disciplinary practices and identified the factors related to paternal disciplinary practices in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cumulative risk factors on the ineffective disciplinary practices of fath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0 fathers of six-year-old children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Los Angele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or the following variables: 1)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2) child temperament; 3) marital & job satisfaction; 4) quality of life; 5) social support; 6)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and 7) paternal disciplinary practices. Descriptive analysis, zero-order correl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chi-square analyses were used for data description and analysi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father, and contextual factors contribute to paternal disciplinary practices.

      • 연구윤리: 한국보육지원학회

        문혁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추계

        연구의 계획, 수행, 보고 등과 같은 연구의 전 과정에서 책임 있는 태도로 바람직한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지켜야 할 윤리적 원칙(한국연구재단, 2011, p.12)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를 매개로

        문혁준,최윤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 경로를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건강한 대인관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2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완벽주의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벽주의는완전매개를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심리통제적 양육행동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파악하고 심리적 통제의 하위요인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적 요인을 찾아내어 부모의 양육행동에 대한 자료를 도출하고 대학생의 건강한 대인관계 발달에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문혁준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62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who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differed by gender. Second,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higher level of adolescent's positive self-esteem, lower level of adolescent's negative self-esteem, and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separation. Third, positive self-esteem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adolesc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followed by parent's regulation.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esteem is very important to promote positive interpersonal competence among adolescents. Therefore, programs to address such issues are strongly need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 내적 변인인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 관계 요인인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하는 고등학교 5곳의 2학년생을 임의표집하였으며, 배포된 650명의 설문지 중 625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검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는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모와의 심리적 분리정도 중 통제가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활용할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