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심리적자본이 중년기 성인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본, 사회자본, 경제자본의 단일매개효과 및 다중매개효과-

        문유정 ( Youjeong Mo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심리적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 경제자본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심리적자본과 주관적 행복의 사이에서 인적자본, 사회자본, 경제자본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중년기 성인 657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SPSS18.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심리적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 경제자본은 주관적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자본과 주관적 행복 사이에서 인적자본, 사회자본, 경제자본은 각각 단일 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년기 성인의 행복감을 고양시킬 수 있는 심리적자본 배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접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on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aged adul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subjective happiness.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from 657 middle-aged adults living in Korea and analyzed using SPSS 18.0 and SPSS Process Macro. As a result, first, psychological capital,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respectively. Second,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have a single mediating effect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subjective happines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nd operate a program to cultivate psychological capital as a way to increase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aged adults.

      • KCI등재
      • KCI등재

        자본과 커뮤니티웰빙에 관한 연구 - 나주지역을 중심으로 -

        문유정(Moon, YouJeong),조준(Cho, Joon),박상하(Park, Sangha)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경제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 자연자본, 인프라자본이 나주지역 주민의 커뮤니티웰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제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신뢰), 문화자본, 인프라자본은 커뮤니티웰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자본(네트워크)과 자연자본은 커뮤니티웰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나주지역의 커뮤니티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economic, human, social, cultural, natural and infrastructure capital on community well-being. After collecting data from 518 inhabitants (Naju residents), we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18.0, and then conduc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to determine how economic, human, social, cultural, natural, and infrastructure capital affects community well-being. As a result, the economic, human, social(trust), cultural and infrastructure capita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well-being, respectively. However, social(network) and natural capital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ractical intervention plan of social welfare to improve the community well-being of the residents of Naju.

      • AR 글래스를 활용한 수어 통역 앱 목(目)요일

        문유정 ( Yoo-jung Moon ),최지선 ( Ji-sun Choi ),강예원 ( Ye-won Kang ),황미라 ( Mi-ra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마스크 착용의 보편화로 청각장애인들이 일상에서 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들의 소통의 불편함을 줄여주기 위해 AR글래스를 활용한 수어 통역 애플케이션을 구현한다. 구현한 통역 애플리케이션은 STT를 활용해 텍스트를 지문자로 분리하여 수어 애니메이션을 AR글래스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R 글래스를 활용해 대화 상대자와 눈을 마주 보며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판례분석을 통해 살펴본 상담실무에서의 법적 쟁점

        문유정(Yujeong Moon),조항(Hang J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판례분석을 통해 상담실무에서 발생하는 법적 분쟁의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4월까지의 대법원·각 급 법원·헌법재판소의 판례들을 대법원종합법률정보, 헌법재판소, 로앤비(lawnb) 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총 23건의판례들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집된 판례를 양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법적 분쟁유형, 연도별 판례, 소송 제기인별 현황, 책임소재별 현황, 재판 유형으로 구분하여 그 빈도를 살펴보았으며,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상담을 하면서 발생하는 문제’, ‘근로계약’, ‘상담센터 운영’, ‘출판/저작권’, ‘내담자의 법적 분쟁 문제’, ‘기타’로 구분된 6개의 법적 분쟁유형에 해당하는 판례들의 세부 내용들을 사건 개요, 판결요지, 법적 근거, 특이사항 별로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판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상담 현장의 법적 분쟁 내용들과 그 판결의 근거 내용들은 상담 전문가의자격 문제, 근무환경 문제, 행정 업무에서의 어려움, 상담윤리 문제, 상담 관련 법제도의 비체계성 문제 등과 관련된 이슈들을 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상담사들에 대한 법 교육 및 정부차원의 체계화된 법률 제정, 상담자 및 내담자의 권리인식 증진의 필요성 등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상담 분야에서 최초로 시도된 본 판례분석연구의 결과가 상담사들을 위한 법 교육에, 더 나아가 상담 분야 법령 마련에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ssues of legal disputes that arise in counseling practice through case analysis. For this, the researchers collected the legal cases up to 2021 from the Supreme Court Comprehensive Legal Informa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Lawnb website, and made a final selection of 23 cases in total and analyzed them. For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frequency by type of legal dispute, case by year, status by litigator, status by responsible parties, and type of trial. For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researchers classified 23 legal cases into six types of legal disputes: ‘problems arising from counseling’, ‘employment contract’, ‘management of counseling organization’, ‘publishing/copyright’, ‘client’s legal dispute issues’, and ‘other’, and the researcher also looked into the details including the case summary, summary of judgment, legal basi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legal disputes in the counseling and the basis for the judgment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of this study included the issues of qualifications of counselors, working environment, difficulties in administrative work, counseling ethics, and the non-systematic structure of the legal system related to counseling. These results showed the need of legal education for counselors, enactment of laws for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and the need to promote awareness of the rights of counselors and clients. Lastly, as it was the first attempt in the field of counseling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will be used meaningfully in legal education for counselors and furthermore in the preparation of legislation for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ir services in Korea

      • KCI등재

        E.R.G 욕구가 장애인의 자립생활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전라남도 거주 장애인을 중심으로 -

        문유정(Moon, YouJeong),조준(Cho, Joon),정환율(Jeong, Hwanyul),이준호(Lee, Jun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거주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자립생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E.R.G 욕구 요인을 밝혀내어 성공적인 자립생활을 위한 개입 방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전라남도지역 장애인 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18.0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수준(심한장애, 심하지 않은 장애) 및 장애유형(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별 자립생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E.R.G 욕구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에는 연령이 낮을수록, 신체적 장애인의 경우에는 심한 장애인과 심하지 않은 장애인은 모두 성장욕구(자아존중감) 만족이 높을수록 장애인의 자립결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수준 및 장애유형별로 자립생활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다르게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terventions for successful independent living by identifying the factors of E.R.G needs that affect independent living decisions for the disabled in Jeollanamdo.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8.0 using the data of 2021 Survey on the Needs of the Disabled in Jeollanamdo. This study found that the E.R.G needs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to live independe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ability(severe or mild disability) and type of disability(physical or mental disability).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mentally disabled,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self-determination. A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growth needs(self-esteem),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self-determination regardless of disability level. Based on the results, it was proposed to apply different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that can be helpful in determining independent living according to the level and type of disability.

      • KCI등재

        나주지역 주민의 문화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적자본의 매개효과 -

        문유정(Moon, YouJeong),조준(Cho, Joon),박상하(Park, Sangha)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나주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문화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고, 문화자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적자본이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단계별 접근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자본은 삶의 만족도에, 문화자본은 인적자본에, 그리고 인적자본은 삶의 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화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인적자본은 부분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나주지역 주민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ultural captial on satisfaction of life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tial and satisfaction of life. After collecting data from 410 of Naju residents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tial and satisfaction of life, a step-by-step approach which Baron and Kenny(1986) suggested was used. subsequently,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s were found. First, cultural capital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uman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and human capital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human capital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tial and satisfaction of life. Based on the findings, The practical intervention plan of social welfare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Naju resi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제자본이 중년기 성인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의 단일 매개효과 및 이중 매개효과 -

        문유정(Moon, You Jeong),이명신(Lee, Myung Shi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경제자본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의 단일 매개효과와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년기 성인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자본 간의 이동을 밝혀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자본은 주관적 행복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자본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은 각각 단일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자본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은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자본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효과는 사회자본에서 인적자본을 경로하는 간접효과가 인적자본에서 사회자본을 경로하는 간접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중년기 성인의 주관적 행복을 함양시킬 수 있는 자본 간의 이동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ital and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aged adults. In addition, we examine the single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in order) to find out the movement of capital which can be helpful for promoting the happiness in middle-aged adul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capital does not have a direct impa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each have a single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have double mediating effect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ital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showed that the indirect impact from social capital to human capital was greater than the indirect impact from human capital to social capital.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movement of capital that could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in middle-aged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