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여성에서 인터루킨-1 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유전자 다형성과 비만 및체질과의 관련성 연구

        문성원 ( Seong Won Moon ),박종하 ( Jong Ha Park ),염승룡 ( Seung Ryong Yeom ),이수경 ( Soo Kyung Lee ),신병철 ( Byung Cheul Shin ),권영달 ( Young Dal Kwon ),송용선 ( Yung Sun Song ),최현주 ( Hyun Joo Choi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4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14 No.4

        목적: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IL-1ra)의 혈장 농도는 비만에서 증가되며 강한 유전적 통제를 받는다. 이에 비만과 IL-1ra 유전자 다형성 및 사상체질과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67명의 정상군, 133명의 과체중군, 61명의 비만군 대상자에서 IL-1ra 유전자의 intron 2에서의 penta-allelic 86-bp tandem repeat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IL-1ra의 유전자형은 PCR을 통해 분석하였다.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은 체성분분석기를 이용하였으며, 사상체질 분석은 QSCC II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정상체중군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군에서 A1A2 carrier의 빈도가 높았으며, 대립유전자 2형 보유자의 빈도가 정상체중군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군에서 2배정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태음인의 빈도는 정상체중군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IL-1ra A2- carrier인 과체중과 비만군에서의 태음인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결론: IL-1ra 유전자 다형성은 BMI에 대하여 중요한 영향을 주는 인자는 아닌 것으로 보이나, 본 연구는 비만과 비만 후보유전자로서의 IL-1ra 유전자의 다형성 및 사상체질과의 관계를 규명하려고 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가 있다.

      • CCL 보호와 위변조 탐지에 적합한 이중 비디오 워터마킹 시스템

        문성원(Sung-Won Moon),이흥규(Heung-Kyu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2

        Social Network Service, 블로그, 동영상 공유 산업의 발달로 UGC(User Generated Contents)가 범람하고 있으며 UGC의 저작권 보호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UGC의 저작권 보호의 수단으로 Creative Commons License(CCL)이 소개되었으나 현재 CCL의 훼손 및 무시를 방지할 기술적 해결책이 미비하여 원저작자의 저작권 침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디지털 워터마킹을 CCL 적용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CCL을 보호하고 UGC의 무단 공유 및 변경을 막고자한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동영상에 크기 변환, 화면비 변환, 로고삽입, 시간축 절삭, 프레임률 변화와 같은 공격이 가해진 이후에도 내성 워터마크를 통해 CCL을 비롯한 저작권 정보를 온전히 검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준-연성 워터마크를 통해 동영상의 위변조 여부를 알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이중 비디오 워터마킹을 통한 CCL 보호 및 동영상 위변조 판별

        문성원(Sung-Won Moon),이흥규(Heung-Kyu Lee)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9 No.12

        Copyright protection issues for personal user’s User Generated Contents (UGC) have been arising with the rapid growth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blog, and video sharing services. In this situation, Creative Commons License (CCL) has been established as a convenient method to protect copyrights of UGCs. However, the lack of technical method to protect CCL causes illegal manipulations and sharing of CCL applied UGC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ual watermarking system which protects copyrights of CCL applied UGC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anipulations such as rescaling, cropping, clipping, temporal manipulation, and frame rate changing are detected by semi-fragile watermarks. Simultaneously, robust watermarks notify the CCL information after above manipulations. To prevent interference of two watermarks, robust watermarks are embedded at spatial domain while fragile watermarks are embedded at block based DCT domain.

      • KCI등재

        논문 : 안과 밖, 그리고 시간성 -현상에서 윤리로-

        문성원 ( Sung Won Mo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시대와 철학 Vol.22 No.2

        이 논문은 죽음과 관련하여 시간을 논의하는 하이데거의 견해로부터 출발하여, 주체의 죽음이라는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움의 시간성이 레비나스 철학을 통해 어떻게 모색되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레비나스는 서양철학이 내세워왔던 진리나 존재가 동일자와의 동화가능성을 전제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동화 불가능한 타자와의 관계를 새로움의 원천으로 내세운다. 레비나스에 따르면, 이 타자에 대해 응답하는 책임성이야말로 우리 삶의 근본적인 지평인 윤리이고, 시간성도 이를 바탕으로 성립한다. 레비나스가 시간을 공경이나 인내, 용서 등의 윤리적 함의가 강한 용어로 서술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레비나스는 주체의 죽음을 넘어서는 길로 자손 낳음을 제시하고 이를 새로운 시작을 가능하게 하는 용서와 연결 짓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책임을 통한 헌신이 그러한 길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 두 가지 중 후자가 레비나스의 기본 입장에 더 충실한 방식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This paper sketches the problem of time as a relation to other from the view of Emmanuel Levinas. He criticizes the western traditional ontologies, especially that of Heidegger`s, in that they have defined non-identifiable other in the name of being. According to Levinas, the relation to other, which is infinite and cannot be represented, makes the interiority of the one possible. He thinks that time is the relation of interiority to the transcendent exteriority, on the base of responsibility of the one to other. Since the responsibility establishes the realm of ethics that is the premier sphere of our lives, time could be described by the terms of ethics, for example, deference, patience, pardon etc. Therefore, the time is not limited to the phenomena of a subject. It goes beyond the one to other. For the way of transcendence of time, Levinas suggests the fecundity as pardon on the one hand, and the devotion to the other as the responsibility of a mortal being for a mortal being on the other hand.

      • SCOPUSKCI등재

        오미자가 나박김치의 발효 중 관능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문성원(Sung-Won Moon),장명숙(Myung-Sook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9 No.5

        본 연구는 김치의 맛과 색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저장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첨가제로서 오미자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한 것으로 나박김치의 발효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오미자국물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오미자국물은 물에 대한 오미자의 첨가량을 0.5, 1.0, 1.5, 2.0%로 하여 우려낸 오미자국물을 사용하여 각각 나박김치를 담근 후 10℃에서 25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미생물학적특성을 오미자국물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 검토하였다. 관능적평가는 기호특성과 강도특성 2가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는데, 기호특성 결과를 종합해 보면 조직감을 제외한 모든 평가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좋게 평가된 처리구는 1.0% 처리구와 0.5% 처리구로 나타났다. 발효 2일에서 7일 사이에는 대조구가 좋게 평가되었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10일 이후에는 1.0%와 0.5% 처리구를 선호하였다. 조직감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고, 오미자국물 2.0%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색은 전반적으로 대조구, 오미자국물 0.5%와 1.0% 처리구가 1.5%나 2.0% 처리구에 비해 좋게 평가되었다. 강도특성 평가 결과 단맛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나박김치의 오미자국물농도가 1.5%나 2.0%로 진할수록 강하게 표현되었고, 단맛의 경우만 발효 초기와 7일에는 1.0% 처리구가, 발효 10일 이후에는 0.5% 처리구가 강한 단맛의 평가결과를 나타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서서히 증 가하여 최대균수에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최대균수를 보인 시기는 처리구별로 달라 발효 2일에 대조구와 0.5% 처리구, 발효 7일에 1.0%, 1.5%와 2.0% 처리구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보면 오미자국물이 나박김치의 품질과 발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오미자국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높았으며, 특히 발효 7일까지 오미자국물이 발효를 지연시키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였다. 오미자의 최적 사용량은 0.5%~1.0%로 나타났으나, 1.0% 오미자국물의 사용이 나박김치의 색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발효를 약간 더 늦추고, 감칠맛을 더 주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오미자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나박김치를 담글 경우 더 좋은 품질과 저장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산업화에의 응용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pplication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eservation of nabak kimchi was attempted and the optimal amount of omija level and its effect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during fermentation were examined. Effects of omija juice which had been prepared by extracting omija seeds for 9 hr at room temperature (22.5±0.5℃) with different ratios (0.5, 1.0, 1.5, 2.0% ; w/v) of water were examined against control (kimchi prepared without omija). Organoleptic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were measured up to 25 days at 10℃ after preparation.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he aspects of both acceptability and intensity characteristics. In whole, 0.5 and 1.0%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s of evaluation, compared to control, 1.5, and 2.0% treatments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As fermentation progresses, however, sample of 1.0% treatment ranked first between day 4 to 7 and also so did sample of 0.5% treatment along with 1.0% treatment from behind day 10. As for color, control, 0.5% treatment, and 1.0% treatment were more favored than rest of the samples. In texture, 2.0%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s, whereas control was rated the lowest. In the intensity of characteristics 1.5% and 2.0% treatments showed higher values except sweet taste in which 1.0% treatment ranked top during the initial 7 days and then 0.5% treatment took the first place at behind day 10. Total cell counts and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howing the maximum levels of microbial counts on different days, to say, day 2 for control and 0.5% treatment and day 7 for 1.0, 1.5 and 2.0% treatments. The application of omija juice in nabak kimchi enhanced eating qualities of the fermented product and the fermentation-retarding effect of omija juice was clearly shown during the initial seven days of fermentatin. The optimum levels of omija juice in nabak kimchi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were between 0.5 to 1.0% per added water content, preferably 1.0% for color, fermentation-retarding effect, and savory taste of the product.

      • 적대적 생성 신경망기반 데이터 증강을 통한 해상객체 식별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

        문성원(SungWon Moon),이지원(Jiwon Lee),오아름(Ahreum Oh),남도원(Dowon Nam),유원영(Wonyoung Yoo) 대한전자공학회 202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With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GAN), it has become possible to successfully create images of various classes[1]. In this situation, through various studies, methods of using the image generated by GAN as a meaningful result have been proposed. In some field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has been successfully improved by using augmented data through GAN, but research on maritime imag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intend to show through an experiment that the performance of marine object identification can be improved by enhancing data through GAN.

      • KCI등재

        웰빙에서 윤리로

        문성원(Moon Sung-won) 대한철학회 2005 哲學硏究 Vol.95 No.-

        본 논문은 '웰빙'(well-being)을 '잘-있음'으로 이해하는 가운데, 웰빙이라는 발상의 특성과 한계를 짚어보고자 한다. '잘-있음'이 '잘못-있음'과 대비되는 한에서 웰빙은 일종의 어긋남에 대한 바로잡음을 함축하는 것이고, 그런 점에서 웰빙은 소외의 극복을 내세우는 문제틀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웰빙의 자연친화적인 문제의식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철학사에서는 이 같은 구상의 선례를 장 자크 루소의 '잘-있음'(bien-être)에서 찾아볼 수 있다. 루소에게서 '잘-있음'은 우선 자연적 안락을 뜻하는데, 문명 세계에서는 이 잘-있음이 부와 연결되는 까닭에 불평등의 문제에 부딪힌다. 루소는 이러한 잘-있음의 모순을 '소유적 사랑'(amour propre)과 '자기 사랑'(amour de soi)의 구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소유적 사랑은 자연스런 자기 사랑에 대비되는 인위적 관계의 산물이다. 그것은 비교와 경쟁을 부추키며, 자기 사랑에 따른 잘-있음을 넘어서서 탐욕과 억압을 낳는다. 그러므로 루소에 따르면, 우리에게는 소유적 사랑이 아닌 자기 사랑에 바탕을 둔 잘-있음의 회복이 필요하다. 이것이 우리가 루소에게서 따올수 있는 참된 웰빙의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잘-있음은 현재와 같이 소유적 사랑이 지배적인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실현하기 어렵다. 오늘의 상황에서는 오히려 '웰빙'이 새로운 소비 조장의 구실이나 사회적 구별의 징표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상력을 통해 자연과의 교감을 회복함으로써 잘-있음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이것 또한 자칫 도피적인 몽상에 이르기 쉽다. 이런 점들을 고려할 때, 우리는 '잘-있음'의 문제틀 자체를 의문시하게 된다. '잘-있음'을 우리가 추구해야 할 목표로 삼는 것이 과연 정당한 일일까? 레비나스는 우리가 있음(esse)을 고집하여 이해관계(intér-esse-ment)에 얽매이는 사태를 넘어서서, 있음과 다른 것, 곧 이해관계를 벗어남(dés-intéressement)으로서의 윤리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레비나스의 견지에 기대어, 잘-있음으로서의 웰빙이 지니는 한계를 성찰하고 있다. In this study I sketch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well-being' as a social issue. Well-being, being contrasted to 'ill-being', implies a correction of deviation ; so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e problematique of alienation ; it aims to recovery of nature, especially of natural health. We can find a precedent of this idea in J. J. Rousseau. His word 'bien-être', whose translation in English is 'well-being', means natural comfort, which is not realized in civilization. Well-being in civilization is related to wealth and inequality, therefore, it contradicts itself. This contradiction, in Rousseau's thought, could be resolved by the distinction between 'amour propre'(love of property) and 'amour de soi'(love of self) ; the one is artificial, while the other is natural ; the one brings about comparison, competition, avarice, repression, hence leads to ill-being, while the other makes real well-being possible. Therefore, according to Rousseau, we need the recovery of 'amour de soi' for well-being. However, we know that it is difficult to get it in capitalist society, where the 'amour propre' is dominent. In Capitalism, 'well-being' appears as a moto for new consumption and as a mark for social distinction. It is often proposed that the sympathy with nature can be acquired by imagination, but it seems to fall into escapist revery so easily. In theses conditions, we should doubt the problematique of 'well-being'. Is it righteous to seek for well-being? E. Levinas says that we ought to go beyond essence(being), because esse(being) is bound to interest(intér-esse-ment) and leads to conflicts and wars. 'Beyond essence' in Levinas' philosophy, we meet ethics as disinterest (dés-intéressement), which calls 'well-being' itself into question.

      • KCI등재

        논문 : 정치와 윤리 -데리다의 레비나스론-

        문성원 ( Sungwon Mo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3

        흔히 레비나스 철학의 약점으로 그의 윤리적 주장을 실현할 정치적 기획이나 매개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기도 한다. 그러나 정치적 내용의 부족이 그 철학의 정치적 함의마저 없애버리는 것은 아니다. 정치 너머 또는 정치 바깥을 지향하는 철학도 그러한 지향을 통해 정치의 변화를 꾀할 수있고 또 그럼으로써 나름의 정치 철학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레비나스에 대한 데리다의 해석을 검토함으로써 레비나스 윤리의 정치철학적 의미를 드러내 보고자 한다. 데리다는 레비나스가 내세우는 대면적 직접성의 절대화에 대해서는 거리를 두지만, 타자에 대한 개방성은 적극 받아들인다. 제삼자와 보편성의 문제를 천착한다는 점에서 보면, 데리다가 레비나스를 정치 영역 쪽으로더 끌어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데리다는 우리가 기대하는 변화가 직접성을 빙자하거나 초월적 권위를 빌린 자의에 의해 지배되지 않을까 경계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런 위험을 떨치고 새로움에 개방적일 수 있는 지침을윤리 안에 담아낼 수 있을 법하다. 레비나스의 철학은 우리가 그런 지침을 활용할 능력이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해 보도록 하는 하나의 기준 역할을 할 수 있다. 레비나스는 경쟁적 이익의 조정이 관건인 정치적 현실 가운데서 우리에게 낯설고 약한 자에 대한 책임을, 더 나아가 우리 스스로의 강함이 아니라 약함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It is said that one of the week points of Emmanuel Levinas’ philosophy is the shortage of political programmes, which makes his thoughts unrealistic. However, his ethical position could have its own political meaning by the orientation toward the outside of politics. This paper inquires into the meaning through Derrida’s critical interpretations of Levinas’ philosophy. We can say that Derrida has hospitalized Levinas in the sense that he welcomed Levinas on his theoretical place. Especially in his book Adieu to Emmanuel Levinas, Derrida questions the absoluteness of the face-to-face relation, accepting the openness to the other. He raises tenaciously the problem of universality concerning the third who is not present in face-to-face relation. It is by the third that the political interferes in Levinas’ thoughts. According to Derrida, Levinas could not found it on the ethical. There is a hiatus or silence between politics and ethics in Levinas. However, it demands our responsibility to bridge the gap. Derrida suggests that the hospitality for refugees, sans-papiers, etc. is the ethical in the political as an enclose.

      • KCI등재

        개방성의 깊이: 레비나스의 윤리적 개방성

        문성원(Sungwon Mo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3

        이 글에서는 개방의 조건 및 정당성 문제와 관련하여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윤리적 개방성 개념을 주로 다룬다. 레비나스가 내세우는 주체와 타자 사이의 윤리적 관계의 특징은 첫째, 주체가 아닌 타자의 우위, 둘째 타자의 호소에 대한 주체의 구체적 응답이라는 두 계기를 중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 레비나스에서 타자의 우위가 강조됨에 따라 감성에서도 주체 위주의 ‘향유’보다는 주체의 수동성과 타자의 영향이 한층 부각된다. 고통과 ‘상처받기 쉬움’이 주체의 감수성에서 중심을 이루게 되는 이유다. 또 주체 자체가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까닭에 주체에는 이미 타자가 근접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에 따라 주체가 타자에 대해 응답하는 관계인 책임도 근접해 있는 타자에 대한 ‘대신함’이라는 방식을 띠게 된다. 이렇듯 레비나스는 주체의 됨됨이 자체에 타자에 대한 관계가 배어 있으며, 타자에 대한 노출과 개방성은 우리 삶의 피할 수 없는 조건을 이룬다고 보고 있다. 레비나스가 내세우는 타자의 ‘얼굴’은 그러한 노출과 개방의 직접적 접촉면으로서, 낯섦과 가까움, 다름과 같음, 무한과 유한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는 이 얼굴의 깊이를 통해, 낯선 타자들에 대한 열림의 자세를 가다듬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Emmanuel Levinas’s concept of ethical openness in relation to the conditions and justification of openn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at Levinas promotes can be understood based on two moments: first, the priority of the other, not the subject, and second, the subject s concrete response to the appeal of the other. As the priority of the other is emphasized in Levinas, the passivity of the subject and the influence of the other are more emphasized than the subject-centered “enjoyment” in sensibility. This is why pain and “vulnerability” are central to the sensitivity of the subject. In addition, because the subject itself is considered to be formed through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t is recognized that the other is already close to the subject. That is the proximity of the other. Correspondingly, the subject s responsibility to the other takes on a form of ‘substitution’ for the other. Therefore, Levinas believes, the subject has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in itself, and the exposure and openness to the other is the inevitable condition of our lives. Levinas s “face” of the other is a direct contact area of the exposure and openness, and plays a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the strange and the close, the different and the same, and the infinite and the finite. Through the depth of this face, we will be able to refine the attitude of openness to strang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