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ccessful Vaginal Delivery of a Pregnant Woman with Cantrell’s Pentalogy

        문경용,최승아,박찬욱,박중신,전종관,신희철 대한의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5 No.8

        Cantrell’s Pentalogy is a rare condition that consists of defects involving the abdominal wall, lower sternum, anterior diaphragm, pericardium, and heart. In the literature to date,pregnant women with Cantrell’s Pentalogy have not been discussed. We performed successful vaginal delivery of a 23-yr-old nulliparous, primigravid woma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this condition. Diagnosis was based on cardiac catheterization, angiography,and echocardiogram, and abdominopelvic CT. Vaginal delivery may be an option for women with Cantrell’s Pentalogy and may be attempted with caution.

      • KCI등재

        중학생 학업성취 예측을 위한 학업요구-자원 모형 검증

        문경용,이상민,김보람 한국교육방법학회 2018 교육방법연구 Vol.30 No.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nd test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in the educational contex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on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from 402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survey questionnaires on perceived parents’ pressure and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essure from parental expectation as a demand variabl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motional exhaustion, the early stage of severe academic burnout. Also, the academic supports from parents as a resource variable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burnout. Whereas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ademic engagement, the academic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Last, while their academic burnou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ressure an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engagement di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upportive behaviors and academic achievement. Research implications and study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소진과 학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Resource Model)을 학업 장면에서 검증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중학교 2, 3학년 총 4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학업압박기대, 부모의 학업지원행동, 학업소진, 학업참여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직무자원-모형에 입각하여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변인인 부모의 학업 압박기대는 학업소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원 변인으로 사용한 부모의 학업 지원행동은 학업참여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업소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업소진은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업참여가 학업성취에 매우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학업소진은 압박기대와 학업성취 사이를 매개하지 않았으며 학업참여는 부모의 지원행동과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소진과 학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서의 검증에 대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서 더욱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생식내분비학 : 난소과자극증후군에서 경피배액술의 필요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혈청 CA-125

        문경용,김훈,구승엽,최영민,김정구,문신용,김석현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99 No.-

        목적: 과배란유도의 합병증인 난소과자극증후군에서 다량의 복수로 인해 경피배액술을 필요로 하는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혈청 CA-125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과배란유도에 의한 중등도 이상의 난소과자극증후군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환자들 중 혈청 cancer antigen-125 (CA-125)를 측정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골반염과 난소 염전, 혈전색전증 등 다른 합병증이 동반된 환자들을 제외한 2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 입원 즉시 골반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양측 난소의 부피를 측정하고, 일반혈액검사, 혈청 CA-125를 포함한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복수의 양과 환자의 증상에 따라 경피배액술을 시행하였다. 경피배액술이 필요했던 군과 필요하지 않았던 군에서 연령, hCG 투여일로부터 경과일, 채취 난자 수, 양측 난소의 부피, hematocrit, CA-125를 비교하였으며 Mann-Whitney 검정을 시행하였다. 경피배액술의 필요성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혈청 CA-125의 효용성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27명의 환자들 중 경피배액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 (n=13)에서 경피배액술을 시행한 환자군 (n=14)에서 연령, 채취한 난자의 수, 양측 난소의 부피, hematocrit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경피배액술을 시행한 군에서 hCG 투여일로부터 경과일(16.29±6.91 vs 9.46±6.15, <i>p</i><0.01), 혈청 CA-125 (546.44±594.73 vs 92.50±56.24, <i>p</i><0.01) (U/ml)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혈청 CA-125는 hCG투여일로부터 경과일과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었으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ρ=0.786, <i>p</i><0.01), 연령, 채취한 난자 수, 양측 난소의 부피, hematocrit 과는 모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혈청 CA-125와 hCG 투여일로부터의 경과일을 검정변수로 하여 경피배액술을 예측하는데 대한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s (ROC) 곡선을 그렸을 때, area under the curve (AUC)는 각각 0.923과 0.808이었다. 혈청 CA-125의 경계치를190.75 (U/ml)로 하였을 때 민감도 85.7%, 특이도 100%를 보였다. 결론: 난소과자극증후군에서 경피배액술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혈청 CA-125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학습자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과 학습 부담에 대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박준명,문경용,도승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좋은 수업과 학습 부담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강의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좋은 수업으로의 실질적 개선을 이루어 나가도록 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수정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였다. 10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Exce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강의평가 문항에 대한 타당 여부와 강의평가 요인과 문항 간 적합 정도를 내용타당도(CVR), 안정도, 합치도, 수렴도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내용: 좋은 수업 요인은 5개 하위요인의 10개 문항, 학습 부담 요인은 2개 하위요인의 3개 문항이 도출되었고, 전반적 만족도 1개 문항, 개방형 1개 문항을 포함한 총 15개 강의평가 문항을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교수자 관점에서의 강의평가 도구가 대부분인 실정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과 학습 부담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강의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유방암 치료 후 타목시펜 사용 중 출혈이 발생한 여성에서 자궁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와 큐렛을 이용한 조직검사 결과의 비교

        이동옥 ( Dong Ock Lee ),주창우 ( Chang Woo Choo ),이정윤 ( Jung Yun Lee ),문경용 ( Kyoung Yong Moon ),정연경 ( Youn Kyung Chung ) 대한폐경학회 2008 대한폐경학회지 Vol.14 No.3

        연구목적: 타목시펜을 사용하는 유방암 환자 중 자궁출혈을 보이는 여성에서 큐렛을 이용한 자궁내막 생검 결과와 자궁내시경을 통한 자궁내막 생검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총 41명의 여성이 대상이 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46.7±7.2세였다. 모든 환자에서 전신 마취 후 큐렛을 이용하여 전자궁강 내 소파술을 시행하고 이어서 자궁내시경을 통한 자궁내강 평가 및 자궁내막 조직생검을 시행하여 두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큐렛을 이용한 자궁내막 생검은 24.4%에서 진단에 부적합한 검체를 보였고 자궁내시경을 통한 조직생검은 7.3%에서 부적합 검체를 보였다. 31.7% (13/41)에서 자궁내시경을 통해 자궁내막용종이 발견되었으나 이들 환자 모두 큐렛을 이용한 조직검사에서는 정상 혹은 위축성 자궁내막을 보이거나 (11명) 부적합 검체 (2명)를 보였다. 결론: 타목시펜 사용 중 자궁출혈을 보이는 유방암 환자에서 자궁내막 병변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자궁내시경을 시행해야 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curettage compared with hysteroscopic biopsy in women on tamoxifen after the diagnosis of breast cancer. Method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conducted with forty one women with postmenopausal bleeding during tamoxifen therapy. Under anesthesia, dilatation and curettage was immediately followed by hysteroscopic biopsy and the pathologic reports were compared. Results: By curettage, 24.4% of women showed insufficient tissue for diagnosis compared with 7.3% by hysteroscopic biopsy. In thirteen women (31.7%) endometrial polyp was diagnosed by hysteroscopic biopsy, although all of them showed normal or atrophic endometirum only by curettage. Conclusion: Hysteroscopic biopsy should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endometrial pathology in women on tamoxifen after breast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