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부하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을 위한 실험 연구

        류택희,김정수,윤세의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12

        In general, manholes installed as urban drainage facilities are a variety forms such as straight path manholes, 90 degree bend manhole, three-way combining manhole, and four-way combining manhole. In particular, the surcharged flow at a four-way manholes installed in the downstream of urban sewer system is the main cause of the urban inundation caused by the energy lo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estimate the head loss coefficients at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manholes. The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change the manhole shapes (square, circle) and flow ratios were installed to estimate the head loss coefficients. In the experiments, two inflows (Qm, Qlat) were varied from 0 to 4.8ℓ/sec and 24 combinations were tested in total. The flow ratios Qlat/Qout were varied from 0 to 1 for a total flow Qout (Qout=Qm+2Qlat) of 2, 3, 4, and 4.8ℓ/sec, respectively. The variation of head losse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lateral inflow because the head loss coefficient increases as the flow ratios Qlat/Qout increases. It was estimated head loss coefficients of the circular manhole is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the square manho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head loss as discharges change. The range of head loss coefficients at four-way combining manho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ateral inflow ratio was estimated to be 0.4 to 0.8. Also, the relation equations between the head loss coefficients (K) and the lateral inflow ratios (Qlat/Qout) were suggested in this paper. 일반적으로 도심지 배수시설로 설치되는 맨홀은 중간맨홀, 90° 접합맨홀, 3방향 합류맨홀 및 4방향 합류맨홀 등 다양한 접합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도시유역의 중․하류부에 주로 설치되는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과부하흐름은 에너지 손실을 발생시켜 도심지의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그러므로 과부하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흐름특성 분석 및 손실계수의 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맨홀 및 관경은 하수도 시설기준을 준용하여 1/5로 축소 제작하였다. 선정된 실험조건인 맨홀 형상 조건(사각형, 원형), 유출유량(Qout)에 대한 측면유입유량(Qlat)의 비(Qlat/Qout) 및 실험 유량(2.0, 3.0, 4.0, 4.8 ℓ/sec)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측면유량비가 증가할수록 손실계수는 증가하였으며, 사각형 맨홀보다 원형 맨홀에서의 손실계수가 다소 낮게 산정되었다. 그러나 유출유량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는 미미하였다. 측면유량비에 따른 과부하 4방향 합류맨홀의 손실계수는 0.4~0.8로 산정되었다. 또한, 측면유량비 변화를 고려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수로 집수정의 배수능력 증대를 위한 실험 연구

        김정수,류택희,윤세의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5

        Recently, inundation damage of road was seriously occurred without drainage well or overflow due to lack of drainage capacity at drainage well installed on the slopes. The drainage well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rainfall drainage from the slopes. However, drainage well of waterway wa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site conditions during construction because the design and installation criteria of drainage well were uncl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flow characteristics and drainage capacity at drainage well of waterway for improvement of the design criteria. In this study, hydraulic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enact standard design criteria of drainage well.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1/4 reduction model) which can change the slope of waterway and the joining heights of waterway and drain pipe were installed to analyze of flow characteristics at the drainage well. The drainage efficiency of the drainage well was increased when the waterway was connected at the 1/3h of the drainage well and the drain pipe was joined at the 0.3D of the drainage well. 최근 도로 비탈면에 설치되는 도수로 집수정의 미설치 혹은 배수능력 부족에 의한 월류로 인하여 도로 침수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비탈을 따라 흐르는 우수를 배제하는 도수로 집수정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도수로 집수정의 설계 및 설치기준이 불분명하여 시공시 현장여건에 따라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비탈면 배수시설의 배수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설치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도수로 집수정의 흐름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수로 집수정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고 집수정의 배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설치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실험조건에 따라 표준 도수로 집수정 크기의 1/4 축소 수리모형을 제작하였다. 도수로 측구와 집수정의 접합각과 접합위치 및 집수정과 배수관거의 접합 높이 등을 변화시키면서 수리실험을 실시하였다. 수리실험 결과 도수로는 집수정 높이(h)의 1/3h 지점에 접합시키고 배수 관거는 집수정 바닥으로부터 연결관거의 직경(D)의 0.3D 지점에 접합하는 경우에 집수정에서의 배수효율이 증가하였다.

      • KCI등재

        Time-Dependent Density Functional Theory Study on Cyclopentadithiophene- Benzothiadiazole-Based Push-Pull-Type Copolymers for New Design of Donor Materials in Bulk Heterojunction Organic Solar Cells

        구자민,김대균,류택희,정은환,Yves Lansac,장윤희 대한화학회 2012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3 No.3

        Push-pull-type copolymers − low-band-gap copolymers of electron-rich fused-ring units (such as cyclopentadithiophene; CPDT) and electron-deficient units (such as benzothiadiazole; BT) − are promising donor materials for organic solar cells. Following a design principles proposed in our previous study, we investigate the electronic structure of a series of new CPDTBT derivatives with various electron-withdrawing groups using the time-dependent density functional theory and predict their power conversion efficiency from a newlydeveloped protocol using the Scharber diagram. Significantly improved efficiencies are expected for derivatives with carbonyl [C=O], carbonothioyl [C=S], dicyano [C(CN)2] and dicyanomethylene [C=C(CN)2] groups, but these polymers with no long alkyl side chain attached to them are likely to be insoluble in most organic solvents and inapplicable to low-cost solution processes. We thus devise several approaches to attach alkyl side chains to these polymers while keeping their high efficiencies.

      • KCI등재

        도로 빗물받이 유입구의 차집유량 산정식

        김정수,곽상호,류택희,윤세의,Kim, Jung Soo,Kwak, Sang Ho,Ryu, Taek Hee,Yoon, Sei Eui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6

        The grate inlets generally were installed to intercept surface runoff on the roads and intercepted flow was drained to the underground sewer system. The equation of interception flow was used to determine the size and spacing of grate inlet on the roa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terception capacity of grate inlet.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be changed with the longitudinal slopes(2, 4, 6, 8, 10%) of street, the transverse slopes(2, 4, 7, 10%), and the lengths(50, 100, 150cm) of grate inlet was installed for this study. The range of the experimental discharges were calculated with change of road lanes(2, 3, 4) and design frequencies(5, 10, 20, 30year). As the transverse slope increased, it led to the increase of interception capacity at grate inlets. The long lengths of grate inlet with direction of flow increased the interception capacity by the increase of side inflow. On the basis of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results, the empirical equations for calculation of the interception capacity were derived wit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equations, the suggested equation of this study was estimated reasonable one for increased design frequency. Therefore, this study can suggest the basic data for design of drainage facility at road. 일반적으로 쇠살대 빗물받이는 도로 표면유출 흐름을 차집하여 도시배수 시설로 배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빗물받이의 규모 및 설치간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빗물받이 차집유량 산정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쇠살대 빗물받이 유입구의 차집능력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빗물받이의 차집유량 산정을 위해 수리실험모형을 제작하여 72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빗물받이 제원은 현재 대부분의 국도에 설치되는 크기인 $40{\times}50cm$, $40{\times}100cm$ 및 $40{\times}150cm$를 Froude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1/2로 축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측구의 유량은 도로의 차선(2~4차선), 경사(도로 종경사 2~10 %, 측구 횡경사 2~10 %) 및 설계빈도(최대 30년)을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측구의 횡경사가 커질수록 빗물받이로 유입되는 유량은 증가하였으며, 빗물받이 유입부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입부 측면부를 통한 횡유입량을 증가시켜 빗물받이 유입부의 차집효율을 증가시켰다. 실측 차집유량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실시하여 빗물받이 유입구 크기별 차집유입량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기존 경험식과 비교한 결과, 도출된 산정식은 상향된 빈도를 반영한 빗물받이 유입부의 차집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하였으며, 도로 배수시설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로 빗물받이 유입구의 차집유량 산정식

        김정수,곽상호,류택희,윤세의 한국수자원학회 2016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9 No.6

        일반적으로 쇠살대 빗물받이는 도로 표면유출 흐름을 차집하여 도시배수 시설로 배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빗물받이의 규모 및 설치간격 을 결정하기 위하여 빗물받이 차집유량 산정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쇠살대 빗물받이 유입구의 차집능력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빗물받이의 차집유량 산정을 위해 수리실험모형을 제작하여 720회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빗물받이 제원은 현재 대부분의 국도에 설치 되는 크기인 40×50cm,40×100cm 및 40×150cm를 Froude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1/2로 축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측구의 유량은 도로의 차선 (2~4차선), 경사(도로 종경사 2~10%, 측구 횡경사 2~10%) 및 설계빈도(최대 30년)을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측구의 횡경사가 커질수록 빗물받 이로 유입되는 유량은 증가하였으며, 빗물받이 유입부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입부 측면부를 통한 횡유입량을 증가시켜 빗물받이 유입부의 차집효 율을 증가시켰다. 실측 차집유량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실시하여 빗물받이 유입구 크기별 차집유입량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기존 경험식과 비교한 결 과, 도출된 산정식은 상향된 빈도를 반영한 빗물받이 유입부의 차집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하였으며, 도로 배수시설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 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ate inlets generally were installed to intercept surface runoff on the roads and intercepted flow was drained to the underground sewer system. The equation of interception flow was used to determine the size and spacing of grate inlet on the roa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terception capacity of grate inlet. Hydraulic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can be changed with the longitudinal slopes(2, 4, 6, 8, 10%) of street, the transverse slopes(2, 4, 7, 10%), and the lengths(50, 100, 150cm) of grate inlet was installed for this study. The range of the experimental discharges were calculated with change of road lanes(2, 3, 4) and design frequencies(5, 10, 20, 30year). As the transverse slope increased, it led to the increase of interception capacity at grate inlets. The long lengths of grate inlet with direction of flow increased the interception capacity by the increase of side inflow. On the basis of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results, the empirical equations for calculation of the interception capacity were derived wit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equations, the suggested equation of this study was estimated reasonable one for increased design frequency. Therefore, this study can suggest the basic data for design of drainage facility at road.

      • KCI등재

        도로 빗물받이의 차집능력 분석

        이종태,윤세의,김갑수,김영란,류택희 한국수자원학회 200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측구 부분을 수리모형으로 제작하여 빗물받이의 차집능력을 검토하였다. 측구의 유량은 도로의 차선(2-4차선) 및 빗물받이 간격(10-30m)을 고려하여 4-15l/sec의 유량을 사용하였고, 도로의 종방향 경사는 0, 2, 5, 7%를 선택하였으며, 측구의 횡경사는 4, 7, 10%를 사용하였다. 유입부의 규모는 의 4종류를 사용하였으며, 총 실험 횟수는 240회이다. 측구의 횡경사가 클수록 전체적인 빗물받이의 차집유량은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